"이번엔 홍콩주가 연계 ELS 공포"...수조원 손실 '걱정'
안녕하세요. 일요서울입니다.
홍콩H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주가연계증권(ELS)의 원금 손실이 알려지면서
상품에 가입한 투자자들이 불안해 하고 있는데요.
해당 상품에서 40%대 원금 손실이 잇따라
발생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5대 시중은행(KB국민, 신한, 우리, 하나, NH농협)에서
내년 상반기 만기 도래하는 관련
상품 규모만 8조 원 이상으로
현 지수 수준이 계속될 경우 손실 규모는
3조 원 대 이상으로 불어날 것으로 전망됩니다.
금융권에 따르면 ELS의 기초자산이 되는
홍콩 H지수는 2021년 2월 19일 1만2106.77로
고점을 찍은 뒤 줄곧 하락해 지난 24일에는
6075.65까지 떨어지는 등 반 토막이 났답니다.
H지수가 현 수준을 유지한다면
손실 규모가 3조 원 안팎일 것으로 추산됩니다.
라임펀드 피해액(1조6000억 원)의 2배에 육박하는데요.
이에 라임, 옵티머스, DLF(파생결합펀드)에 이어
또 한 번의 대형 펀드 사태로 번질까 걱정입니다.
더욱이 피해자 상당수가
고액의 예금을 준다는 말에 속은
60대 이상의 노인들이라는 점이입니다.
금감원에 따르면 지난 10월 기준
금감원에 접수된 홍콩 ELS 상품 관련 민원은
총 25건 중 17건이 65세 이상 고령자의 민원인 것으로
파악됐답니다.
나무위키는 이들에게
고위험 상품을 제대로 된 설명 없이 팔았다는 것이
피해자 주장이라고 지적합니다.
온라인 커뮤니티에도 ELS 손실을 우려하며
불안에 떨고 있는 투자자들의 사연들이 올라왔답니다.
나무위키에 따르면 ELS는
금융파생상품의 하나로 특정 주식의 가격이나
주가지수의 수치에 연계된 매우 위험성이 높은 증권.
삼성전자, 포스코 등과 같은 개별 주식에 연동된
상품부터 KOSPI200지수나 KRX100, 닛케이225 등
주가지수에 연동된 상품까지
아주 다양하게 존재하고 있답니다.
일반적으로 최대 연 5~25%의
수익률을 확정시켜놓고 있다는 것이 특징.
현물 주식이나 펀드와 달리 기대수익률이 아닌
확정수익률이기 때문에, 이론상 블랙 스완이 없고
예상대로만 시장이 흘러간다면 계약 만료시점에서
약정된 수익을 얻을 수 있답니다.
다만 일정 범위내의 주가 하락 위험은
손해를 전혀 안보지만그 범위를 벗어나면
쪽박 위험이 훨씬 큰 도박성의 상품.
특히 상당수 원금 비보장형 ELS 상품의 설명서를 살펴보면
주가상승시 이익은 10~20%로 제한하고 손실은 50~100%까지
몽땅 투자자에게 떠넘기는 구조를 볼 수 있답니다.
이에 금융투자전문가은
"1~2 종목만 정하는 유형의 ELS라면
그냥 동일한 금액으로 그 ELS 종목의 주식을
여러번에 나눠서 사는 쪽이 차라리 낫다"고
입을 모으고 있습니다.
한편 금융감독원은
홍콩H지수 연계 ELS 상품 판매 현황 및
손실 가능성 등을 파악하기 위해
현장 조사를 진행 중이랍니다.
해당 상품 판매 규모가 가장 컸던
KB국민은행은 다음 달 1일까지 진행되며,
하나은행은 최근 이뤄진 정기 검사를 통해,
신한·우리·NH농협 등은 서면 조사를 받고 있답니다.
▼ 기사 원문 보기 ▼
▼ 지난 기사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