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6년 봄 특선 산행 - 安東의 名山 - 와룡산.아기산.학가산
산행일자 : 2016.4.23(토요일)
산행날씨 : 맑음
산행인원 : 단독
산행형태 : 원점회귀산행
교 통 : 자가운전
*산행순서 - 산행시간/거리
산행순서 | 산이름 | 높이 | 산행거리 | 4/23(토)산행시간 |
1 | 와룡산(안동시 와룡면) | 461m | 4.7km | 1:50분(05:55~07:45) |
2 | 아기산(안동시 임동면) | 591m | 6.1km | 2:38분(09:04~11:42) |
3 | 학가산(안동시 서후면) | 882m | 9.0km | 3:38분(13:15~16:53) |
*네비주소
와룡산 - 주계리주차장 : 경북 안동시 와룡면 주계리 363-1
아기산 - 수곡리주차장 : 경북 안동시 임동면 수곡리 464
덕가산 - 광흥사주차장 : 경북 안동시 서후면 자품리 813
학가산온천 - 경북 안동시 서후면 명리 423 (광흥사-온천까지 8km/약15분소요)
*주요지점별 산행거리(총6.1km)
수애당(주차장) - 1.5km - 봉황사 - 1.7km - 아기산정상 - 1.2km - 에재 - 0.5km - 두루미봉 - 1.2km - 버섯재배사
*교통(자가운전)
부천-와룡산(4/22 금 19:40~24:20) 264km/4:40분
와룡산-아기산(4/23 토 07:50~08:35) 32km/45분
아기산-덕가산(4/23 토 12:20~13:10) 41km/50분
덕가산-덕가산온천(4/23 토 17:10~17:25) 8km/15분
덕가산온천-부천(4/23 토 19:00~22:30) 245km/3:30분
(총590km/10시간)
*주요지점별 산행시간
09:04 산행시작.무실마을
09:21 에재 갈림길
09:28 봉황사
09:32 등산로2코스 입구-이정표(정상1.7km 수곡(무실)1.5km)
09:58 능선안부-이정표(정상0.6km 봉황사1.1km 유시연묘소0.5km 수곡(무실)마을2.1km)
10:05 덕강재 갈림길-이정표(정상0.3km 덕강재1.6km 덕강재에서 지례예술촌까지4km)
10:08 현위치번호 - 03 아기산
10:13 덕강재갈림길.나무의자3개-이정표(정상0.1km 덕강재1.6km 덕강재에서 지례예술촌까지4km 봉황사1.6km)
10:16/27 아기산정상(591m).정상석.안내문.삼각점
10:37 미녀목.안내문.평상
10:40 이정표(등산로.내려가는길)
10:43 현위치번호 : 04 아기산
10:50 에재.이정표(정상1.2km 봉황사1.2km 두루미0.5km 주차장(버섯재배사)1.8km)
11:00 두루미봉.현위치번호.나무의자4개 - 두루미봉의 현위치번호 : 05 아기산
11:21 이정표(버섯재배사0.9km 정상2.3km)
11:42 버섯재배사/산행종료
11:46 수곡교앞
11:50 주차장
안동시 와룡면의 와룡산을 산행한후 다음 산행지인 아기산(591m)로 이동합니다.
와룡산 주차장에서 아기산 주차장까지는 약33km/60분 정도 소요되며
34번도로상의 전망쉼터에서 쉬어가는데 안동호 건너편으로 아기산(591m)이 조망됩니다.
이어서 34번 도로에서 우측방향의 "수곡교"를 건너가면 무실마을 수애당 인근의 아기산주차장에 도착하게
되고 주차장 앞쪽으로 안동호가 펼쳐지는데 정자와 잘 어울립니다.
텅빈 주차장에 주차하고 약간의 간식을 한후 산행을 시작하는데 주차장 부근에 "수애당"이 있습니다.
버스정류장 옆의 "무실마을"표시석 세워진 곳이 등산로입구입니다.
09:04 산행시작.무실마을
수애당 뒷쪽으로 조금 진행하면 산속으로 들어가는 등산로 입구에 도착하게 되며
이곳에는 아기산 등산안내도와 이정표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큰일입니다.
입산이 가능한것으로 알고 왔는데 5월15일까지 입산통제구역입니다.
20만원 이하의 과태료 처분을 받을수 있습니다.
이곳에서 산행을 시작한다면 정상까지 2.7km에 1:40분이 소요된답니다.
출입금지 표시판이 있는 이곳에서 산행을 포기하고 봉황사로 올라가기로 하며
좌측으로 100m정도 진행하면 봉황사길을 만나게 됩니다.
여기서 시멘트 포장도로따라 올라가며
좌측으로 사과나무밭을 만나게 되고 이후에도 사과나무밭은 계속 만납니다.
봉황사 0.6km 이정표를 지나가며 좌측에서 올라오는 아스팔트 도로 만나 지금부터는 차선없는
아스팔트 포장도로따라 올라가다가 "에재갈림길"을 만납니다.
09:21 에재 갈림길
우측에 가옥이 몇채를 만나고 좌측으로 사과밭의 사과꽃을 바라보면서 올라가면 봉황사에 이르게 됩니다.
09:28 봉황사
조용한 봉황사에서 아기산이 조망됩니다.
09:32 등산로2코스 입구
이정표(정상1.7km 수곡(무실)1.5km)
아치형 목교를 건너면서 산행은 시작되며 한동안 완만하게 오르다가 경사지역을 올라가서 안부에 이릅니다.
09:58 능선안부
이정표(정상0.6km 봉황사1.1km 유시연묘소0.5km 수곡(무실)마을2.1km)
안부에는 유시연 묘소 안내문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10:05 덕강재 갈림길
이정표(정상0.3km 덕강재1.6km 덕강재에서 지례예술촌까지4km)
10:08 현위치번호 - 03 아기산
10:13 덕강재갈림길.나무의자3개
이정표(정상0.1km 덕강재1.6km 덕강재에서 지례예술촌까지4km 봉황사1.6km)
10:16/27 아기산정상(591m)
정상에는 정상석과 안내문 그리고 글씨없는 삼각점이 있습니다.
아기산 유래 안내문
태백산 지맥인 인월산이 뻗어 내려 여기 남쪽에 우뚝 솟은 아기산은
임동에서 가장 높은 면의 진산이다.
산의 이름은 한자로 아기산으로도 쓰이며 한발이 심할때는 이곳에서
기우제를 올리면 영험이 많아 반드시 비를 내렸다고 한다.
산자락 북ㄴ에는 봉황사(옛 황산사)란 신라의 유명한 고찰과
무실마을인 전주류씨 집성촌이 있다.
조선조에 이조참판 류복기 선생은 이산을 호로 삼아 기봉이라 하였는데
그의 후손들은 이곳을 무실마을의 당산으로 모시고 매년 정월 보름달
아기당에서 고사를 올린다.
아기산 정상에서 약간의 간식을 한후에 에재로 내려가는데 주변은 소나무가 많이 보입니다.
에재로 내려가면서 앞쪽으로 오늘 진행할 "두루미봉"방향이 나무가지 사이로 조망되며 미녀목을 만납니다.
10:37 미녀목.안내문.평상
미녀목 안내문
우리가 태어나 솔가지를 끼우는 금줄에서부터 춘궁기 송기,이승을 떠날때
송판으로 만든 관에 들어가 뒷산 솔밭에 묻히는 것처럼 소나무는 우리 삶의
소중한 문화가 되어 있다.
소나무는 육지에서 자란다 하여 육송, 수솬과 수간이 붉다고 하여 적성,
바닷가에 자라는 해송보다 잎이 유연하다고 하여 여송이라고도 한다.
소나무 잎은 2개의 비늘잎으로 아랫부분 2-3mm의 엽초 안에 들어있다.
(리기다소나무 3개. 잣나무5개)
소나무 암꽃은 길이 5mm내외이며 엷은 보라색으로 가지 윗부분에 달리며
암꽃머리에 수꽃의 꽃가루가 4-5월에 내려앉게 되는데 이를 수분이라고 한다.
수분 후 다음해 봄에 수정이 일어나 송방울이 맺게 된다.
약 1억 7000만년전에 나타났다고 추정되는 소나무의 어원은 우두머리를
나타내는 솔이 "ㄹ"이 탈락하고 소나무가 되었다고도 하며,
여기에 미녀목은 약250-300년전 한 생명체로 태어나 오늘날 이 자리에
섰으며 등산객의 입과 입으로 아름다운 여자와 같다고 해서 특별히
고명된 것으로 많은 등산객들의 사랑이 있었으면 한다.
미녀목 주변에는 휴식을 취할수 있는 평상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10:40 이정표(등산로.내려가는길)
이곳에서 등산로는 좌측으로 90도 틀어져서 내려갑니다.
10:43 현위치번호 : 04 아기산
10:50 에재
이정표(정상1.2km 봉황사1.2km 두루미0.5km 주차장(버섯재배사)1.8km)
에재에서 두루미0.5km방향으로 완만하게 올라갑니다.
11:00 두루미봉.현위치번호.나무의자4개
두루미봉의 현위치번호 : 05 아기산
두루미봉에서 나무의자4개가 설치되어 있어 쉬어가기 좋은곳입니다.
진행방향 좌측으로 출발지 주차장과 안동호가 조망되며
우측방향으로도 살짝 모습을 드러낸 안동호가 내려다 보입니다.
이후에 9시방향에 봉황사가 내려다 보이며 등산로는 소나무길로서 완만하게 진행합니다.
올라간 봉우리에 "두루미"로 표시되어 있는데 제판단에는 잘못된것 같습니다.
두루미봉은 이미 지나왔습니다.
11:21 이정표(버섯재배사0.9km 정상2.3km)
이곳에서 좌측으로 틀어져서 경사지역을 내려갑니다.
하산로 주변은 소나무가 빼곡하며 잠시후 과수원앞에서 안동호 전망이 트이고 날머리 부분이 보입니다.
11:42 버섯재배사/산행종료
버섯재배사에서 산행을 종료하고 무실마을로 향합니다.
이곳에는 등산안내도와 이정표(정상3.2km)가 설치되어있습니다.
무실마을 주차장으로 진행하는데 차선없는 아스팔트 포장도로를 따라 갑니다.
11:46 수곡교앞
11:50 주차장
주차장에 도착하여 차량을 회수합니다.
다음 산행지 학가산으로 출발하기전에 점심을 준비해서 식사후 주변조망을 마음껏 즐기게 되는데
이곳이 너무 마음에 들어 떠나가기가 싫습니다.
산행개념도
산행사진
안동시 와룡면의 와룡산을 산행한후 다음 산행지인 아기산(591m)로 이동중입니다.
와룡산 주차장에서 아기산 주차장까지는 약33km/60분 정도 소요됩니다.
34번도로상의 전망쉼터에서 바라본 잠시후에 산행할 아기산(591m)방향입니다.
34번 도로에서 우측방향의 "수곡교"를 건너갑니다.
무실마을 수애당 인근의 아기산주차장에 도착합니다.
주차장 앞쪽에 안동호가 펼쳐지는데 정자와 잘 어울립니다.
주차장 부근에 "수애당"이 있습니다.
수애당
수애당
무실마을 버스 정류장입니다.
안동시내로 나가는 버스 시간표입니다.
버스정류장 옆이 등산로입구입니다.
09:04 산행시작
무실마을 표시석입니다.
수애당 뒷쪽으로 조금 진행하면 산속으로 들어가는 등산로 입구에 도착합니다.
이곳에 아기산 등산안내도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큰일입니다.
입산이 가능한것으로 알고 왔는데 5월15일까지 입산통제구역입니다.
20만원 이하의 과태료 처분을 받을수 있습니다.
이곳에서 산행을 시작한다면 정상까지 2.7km에 1:40분이 소요된답니다.
출입금지 표시판이 있는 이곳에서 산행을 포기하고 봉황사로 올라가기로 합니다.
좌측으로 100m정도 진행하면 봉황사길을 만나게 됩니다.
여기서 시멘트 포장도로따라 올라갑니다.
봉황사로 올라가는 시멘트포장도로입니다.
좌측으로 사과나무밭을 만나게 되며 이후에는 사과나무밭은 계속 만납니다.
봉황사 0.6km남았습니다.
좌측에서 올라오는 아스팔트 도로 만나 지금부터는 차선없는 아스팔트 포장도로따라 올라갑니다.
봉황사 방향입니다.
09:21 에재 갈림길
우측에 가옥이 몇채있습니다.
사과나무꽃이 계곡을 수 놓습니다.
봉황사에 거의 도착한것 같습니다.
09:28 봉황사
봉황사에서 바라본 아기산 방향입니다.
봉황사
봉황사
봉황사에 설치된 아기산 안내문입니다.
봉황사
09:32 등산로2코스 입구
이정표(정상1.7km 수곡(무실)1.5km)
아치형 목교를 건너면서 산행은 시작됩니다.
처음에는 비교적 완만하게 올라갑니다.
된비알을 올라갑니다.
09:58 능선안부
이정표(정상0.6km 봉황사1.1km 유시연묘소0.5km 수곡(무실)마을2.1km)
유시연 묘소 안내문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정상으로 올라가면서 뒤돌아본 529봉 방향입니다.
10:05 덕강재 갈림길
이정표(정상0.3km 덕강재1.6km 덕강재에서 지례예술촌까지4km)
10:08 현위치번호 - 03 아기산
10:13 덕강재갈림길.나무의자3개
이정표(정상0.1km 덕강재1.6km 덕강재에서 지례예술촌까지4km 봉황사1.6km)
10:16/27 아기산정상(591m)
아기산 유래 안내문
태백산 지맥인 인월산이 뻗어 내려 여기 남쪽에 우뚝 솟은 아기산은
임동에서 가장 높은 면의 진산이다.
산의 이름은 한자로 아기산으로도 쓰이며 한발이 심할때는 이곳에서
기우제를 올리면 영험이 많아 반드시 비를 내렸다고 한다.
산자락 북ㄴ에는 봉황사(옛 황산사)란 신라의 유명한 고찰과
무실마을인 전주류씨 집성촌이 있다.
조선조에 이조참판 류복기 선생은 이산을 호로 삼아 기봉이라 하였는데
그의 후손들은 이곳을 무실마을의 당산으로 모시고 매년 정월 보름달
아기당에서 고사를 올린다.
아기산 정상부
아기산 주변
아기산 주변
아기산 주변
정상에서 바라본 529봉 방향입니다.
정상석 뒷편 모습입니다.
정상의 삼각점입니다.
정상에서 에재방향으로 내려갑니다.
소나무가 많이 보입니다.
에재로 내려가면서 바라본 진행할 "두루미봉"방향입니다.
10:37 미녀목
미녀목 안내문
우리가 태어나 솔가지를 끼우는 금줄에서부터 춘궁기 송기,이승을 떠날때
송판으로 만든 관에 들어가 뒷산 솔밭에 묻히는 것처럼 소나무는 우리 삶의
소중한 문화가 되어 있다.
소나무는 육지에서 자란다 하여 육송, 수솬과 수간이 붉다고 하여 적성,
바닷가에 자라는 해송보다 잎이 유연하다고 하여 여송이라고도 한다.
소나무 잎은 2개의 비늘잎으로 아랫부분 2-3mm의 엽초 안에 들어있다.
(리기다소나무 3개. 잣나무5개)
소나무 암꽃은 길이 5mm내외이며 엷은 보라색으로 가지 윗부분에 달리며
암꽃머리에 수꽃의 꽃가루가 4-5월에 내려앉게 되는데 이를 수분이라고 한다.
수분 후 다음해 봄에 수정이 일어나 송방울이 맺게 된다.
약 1억 7000만년전에 나타났다고 추정되는 소나무의 어원은 우두머리를
나타내는 솔이 "ㄹ"이 탈락하고 소나무가 되었다고도 하며,
여기에 미녀목은 약250-300년전 한 생명체로 태어나 오늘날 이 자리에
섰으며 등산객의 입과 입으로 아름다운 여자와 같다고 해서 특별히
고명된 것으로 많은 등산객들의 사랑이 있었으면 한다.
미녀목 주변에는 휴식을 취할수 있는 평상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10:40 이정표(등산로.내려가는길)
이곳에서 등산로는 좌측으로 90도 틀어져서 내려갑니다.
등산로는 순하게 이어집니다.
10:43 현위치번호 : 04 아기산
에재에 도착합니다.
10:50 에재
이정표(정상1.2km 봉황사1.2km 두루미0.5km 주차장(버섯재배사)1.8km)
에재에서 두루미0.5km방향으로 완만하게 올라갑니다.
11:00 두루미봉.현위치번호.나무의자4개
두루미봉의 현위치번호 : 05 아기산
두루미봉에서 나무의자4개가 설치되어 있어 쉬어가기 좋은곳입니다.
두루미봉에서 바라본 아기산 정상방향입니다.
진행방향 좌측으로 출발지 주차장과 안동호가 조망됩니다.
완만한 등산로가 이어집니다.
우측방향으로도 살짝 모습을 드러낸 안동호의 모습입니다.
9시방향에 봉황사가 내려다 보입니다.
아기산 정상이 조망됩니다.
소나무길을 완만하게 진행합니다.
올라간 봉우리에 "두루미"로 표시되어 있는데 제판단에는 잘못된것 같습니다.
두루미봉은 이미 지나왔습니다.
사진 좌측이 아기산 정상이고 우측은 529봉입니다.
봉황사가 잘 조망됩니다.
안동호입니다.
무실마을로 들어오는 "수곡교"도 보입니다.
11:21 이정표(버섯재배사0.9km 정상2.3km)
이곳에서 좌측으로 틀어져서 경사지역을 내려갑니다.
하산로 주변은 소나무가 빼곡합니다.
과수원앞에서 안동호 전망이 트이고 날머리 부분이 보입니다.
시멘트 도로따라 조금 더 진행합니다.
11:42 버섯재배사/산행종료
버섯재배사에서 산행을 종료하고 무실마을로 향합니다.
이정표(정상3.2km)
이곳에는 등산안내도와 이정표가 설치되어있습니다.
무실마을로 진행하는 차선없는 아스팔트 포장도로입니다.
멀리 오늘 산행한 아기산이 고개를 내밀고 있는듯 합니다.
우측으로 안동호를 바라보며 걸어갑니다.
수곡교 앞 입니다.
수곡교앞에는 아기산 등산 안내도가 설치되어있습니다.
수곡교앞
수곡교앞
수곡교앞
도로를 조금 더 따라갑니다.
무실마을 표지석입니다.
11:50 주차장
주차장에 도착하여 차량을 회수합니다.
안동호와 팔각정이 잘 어울립니다.
수곡리 무실마을로 들어는 수곡교입니다.
주차장에서 바라본 수애당과 두루미봉 방향입니다.
오늘 세번째 산행지 "학가산"으로 출발하기 전에 간단하게 점심을 해결합니다.
주차장을 출발하려니 금방 이곳에 정이 들었는지 발길이 떨어지지 않습니다.
이곳 주차장 주변은 정말 너무 전망이 종습니다.
하지만 이곳에 다시는 오지 못할겁니다.
왜냐하면 전국에 가야할 산이 너무 많기 때문입니다.
수곡리 무실마을에서 출발하여 수곡교를 건너갑니다.
오늘 세번째 산행지 학가산은 어떤 모습으로 나그네을 반겨줄까요?
산행기끝/북한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