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초1 남아의 도벽
Q 초1 남자아이의 엄마입니다. 최근 학교에서 같은 반 친구 물건을 숨겼다가 본인이 우연히 찾은 것 처럼 돌려주는 행동을 두 번 했던 것을 알게 됐습니다. 이유를 물어보니 없어진 줄 알았다가 찾아줬을 때 친구들의 기뻐하는 표정이 좋다고 답했습니다. 하지만 실제로 아이가 찾아준 것처럼 돌려줬을 때 그 친구들은 기뻐하지도 않았고 없어졌을 때 저희 아이가 가져간 걸 의심했다고 합니다. 아이에게 그 친구들이 물건이 없어졌을 때 어떤 기분이었을지 남의 물건을 가져가는 것은 훔치는 행위이고 장난이 될 수 없다고 알려주고 넘어갔습니다.
세 번째는 친구의 장난감을 집으로 가지고 왔습니다. 친구가 보여줬을 때 갖고 싶어서 숨겼는데 놀다 보니 돌려주는 걸 깜빡했고 집으로 오는 길에 생각이 났다고 했습니다. 이 일로 아이를 굉장히 혼냈고 친구물건을 직접 돌려주고 부모인 저희와 함께 사과했습니다.
그런데 오늘 하교 후 집에 와서 친구가 떨어뜨린 지갑을 갖다주고 오느라 늦었다며 말했고, 그 친구의 지갑인걸 어떻게 알았는지 물어보니 가방에 늘 매달고 다니는 거라 알고 있다고 했습니다. 하지만, 저는 그 아이의 가방에 달린 그 지갑이 바닥에 쉽게 떨어질 만한 지갑이 아닌 걸 알고 있습니다. 학원에 다녀온 아이를 앉혀놓고 물으니, 기억이 잘 안 난다고 하다가 정확히 모르겠다고 하길 반복하며 결국 자기가 만져보다가 고리를 뺐고, 엘리베이터 문이 열리면서 학교에 들고 갈 순 없으니 그냥 엘리베이터에 두고 내렸다고 했습니다. 집에 올 때 엘리베이터에서 그대로 있는 지갑을 보곤 그 친구 집에 돌려주고 온 거고 그걸 자기가 지갑을 찾아주고 왔다고 말했다고 합니다. 앞서 친구 장난감을 들고 집에 왔을 때 반복된 행동으로 손바닥을 때리기까지 하며 혼냈던 터라 더 이상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왜 그랬냐 물으니 호기심에 물건이 신기해서 만져봤다고 했고 고리를 뺐을 때는 학교에 들고갈 수 없으니 두고 갈 생각만 하고 돌려준다는 생각까진 미치지 못했다고 했습니다. 일단 그 친구에게 직접 가서 사과하기로 했습니다만, 이런 일이 계속 반복되는 거 같아 걱정됩니다.
혼날 때는 다신 안 그러겠다고 진심으로 이야기하지만 불과 며칠 지나지도 않았는데 똑같은 일이 반복되니... 너무 참담합니다.
A 초등학교 1학년 아이가 위의 같은 행동을 하여서 부모님이 많이 놀라고 걱정되실 것 같습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이 시기의 아이들 가운데 어떤 아이들은 아드님과 같은 일을 겪으면서 지나가게 됩니다. 그런데 아이가 커서 도벽이 있는 성인으로 성장하느냐 사회에 도움이 되는 성인으로 성장하느냐는 부모님이 보여주신 행동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중요합니다.
아이를 혼내거나, 더구나 때리는 것은 안 됩니다. 이미 혼내보고 때려보셨기 때문에 소용이 없다는 것을 아셨을 겁니다. 사람이 맞고 잔소리 듣는다고 행동 수정이 되면 이 세상에 범죄자는 사라졌을 것입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것들을 제안해 드립니다.
첫째, 평소에 아이가 가족 구성원 중 누구와 시간을 많이 보내는지, 특히 가족간의 대화가 많은지 아니면 아이가 혼자 보내는 시간이 얼마나 되는지, 형제가 있다면 형제 사이의 관계는 어떤지 등, 올리신 글만 가지고는 알 수 없지만, 먼저 아이가 위와 같은 행동을 할 수 밖에 없는 가정환경을 먼저 살펴보셔야 합니다.
둘째, 이런 일은 혼내거나 때릴 일이 아니라 정확하게 정보를 주어야 합니다. 그러므로 친근하고 편안하지만 다소 엄숙한 분위기에서 말해야 합니다. 길게 설명하지 말고 ‘남의 물건을 훔치면 왜 안되는지’를 짧게 설명하고 끝내야 합니다.
셋째, 평소에 부모가 아이와 대화하고 놀아주는 시간을 많이 가져야 합니다. 부모와 공부가 아닌 대화를 통해서 아이는 자연스럽게 사회성을 배우고 도덕성을 배우게 됩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아이를 데리고 가까운 상담실에 가서 꼭 도움을 받으시기 바랍니다.
시도 때도 없이 물건을 훔치는 아이, 치료가 필요할까요?
1. 전문가의 진단
병적 도벽은 일반적으로 과소 진단되는 경향이 있으며, 주로 기분장애, 불안장애, 섭식장애와 같은 다른 정신과적 상태와 함께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전문가와의 검사와 상담을 통해 체계적으로 아이의 심리상태와 행동을 평가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2. 적절한 치료
병적 도벽에 대한 치료방식은 심리치료적 접근에서 약물치료와 심리치료를 병행하는 방식으로 변화해 왔습니다.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s), 항우울제 등의 약물치료를 인지행동치료와 함께 병행하여 진행했을 때 치료효과가 가장 높은 것으로 보고됩니다.
3. 가족 내 소통방식 개선
오랫동안 유지되어 온 가족 구성원 내 소통방식은 바꾸기 어렵습니다. 어떤 부분이 개선되어야 할지 인식하기조차 쉽지 않습니다. 가족 상담 또는 부모 상담을 통해 구성원 각자의 소통 패턴은 어떤지, 자녀와 대화하며 보내는 시간이 너무 부족한 건 아닌지, 상호적으로 이뤄져 온 소통 패턴은 어떤지, 이러한 소통 패턴이 아이에게 어떤 영향을 미쳤을지 구체적으로 탐색해 보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 어떻게 소통 방식을 변화해 나갈지 가족과 함께 정하고 노력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4. 자녀 내면의 결핍 탐색하기
도벽의 심리적 원인 중 하나로 충족되지 못한 욕구가 제시되는 만큼 아이의 내면에 어떠한 결핍이 강한 충동을 일으키는지 아는 것은 중요한 부분입니다. 잃어버린 관계의 회복, 중요한 사람을 상실한 후 느끼는 허탈감 등의 상황에서 도벽 충동이 많이 나타난다는 연구 결과가 있을 만큼 아이가 관계에서 비롯된 스트레스를 적절히 다루는데 부족한 부분이 무엇인지 탐색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그리고, 아이가 훔친 것을 부모가 알게 됐을 때 무조건 나무라기보다는 “너는 나쁜 아이는 아니지만, 훔친 행동은 나쁜 거야”와 같이 자신과 행동을 분리하여 바라볼 수 있게 타일러 결핍이나 죄책감이 악화되지 않게 훈육해야 할 것입니다.
5. 감정 표현 방법 탐색하기
부모와 자녀 관계와 가정에 특별한 문제가 없음에도 아이가 도벽 충동을 보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학교나 가정에서 부정적 정서를 적절하게 표출하고 해소하는 방법을 모를 때에 내재한 분노나 죄책감이 도벽 충동을 일으키는 때도 있습니다. 부모는 개방적인 태도로 아이의 말을 경청하고, 도벽 행위 후 아이가 느끼는 감정에 관해 이야기를 나누어 아이가 그 감정에 충분히 머물 수 있도록 돕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하지만, 이러한 변화만으로 도벽 충동이 완화되진 않습니다. 전문가와 상담을 받으며 치료하셔야 합니다.
본 센터는 아동과 청소년을 비롯한 모든 연령의 상담을 진행하는 센터로 사회성 발달을 위한 집단상담, 치료놀이 및 각종 상담방식이 다양한 치료센터입니다. 또한 전문 치료사가 배치되어 고민하고 어려워하는 부분을 정확하고 친절하게 상담을 해드리고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를 방문하시어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향숙 소장님 인터뷰 및 칼럼] >> 가족 행복학 개론 "부모의 '대화습관'이 자녀의 인격을 형성한다“
[상담 후기] >> 청소년 도벽아이 0동헌 상담 후기
[이향숙 소장님]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아동복지학과 박사 (아동심리치료전공)
상담 경력 25년, 대학교수 및 외래교수 경력 30년
현) KG 패스원사이버대학교, 서울사이버평생교육원 외래교수
KBS, MBC, SBS, EBS, JTBC, 조선일보, 동아일보, 중앙일보, 청와대신문 등 아동청소년가족상담 자문
자격) 미국 Certified Theraplay Therapist (The Theraplay Institute)
심리치료 수련감독자 및 상담전문가 1급 (한국상담학회)
부부가족상담 수련감독자 및 상담전문가 1급 (한국상담학회)
사티어 부부가족 상담전문가 1급 (한국사티어변형체계치료학회 공인)
청소년상담 수련감독자 및 상담전문가 (한국청소년상담학회 공인)
재활심리치료사 1급 (한국재활심리학회 공인)
사티어의 의사소통훈련 프로그램 강사/ 사티어 부모역할훈련 프로그램 강사
MBTI 일반강사/ 중등2급 정교사/ Montessori 교사/ 유치원 정교사/ 사회복지사/ 보육교사 등
인터뷰) 이향숙 박사 “아이 사회성 교육의 중요성”
https://tv.naver.com/v/15458031
저서) 초등 사회성 수업 , 이향숙 외 공저. 메이트북스 (2020)
>> 언제까지 아이에게 친구들과 사이좋게 잘 지내라는 뜬구름 잡기식의 잔소리만 할 것인가? 초등학생인 우리 아이의 사회성을 길러줄 수 있는 답이 이 책에 담겨 있다. 사회성에 대해 20여 년간 상담하고 관련 프로그램을 개발해 아이의 사회성에 대한 고민을 해결해온 이향숙 박사의 오랜경험과 노하우가 이 책 한 권에 고스란히 담겨 있다. (책 소개 中)
*참고문헌
김청송. (2020). 사례중심의 이상심리학. 싸이앤북스, 2nd ed.
성진규, & 최낙경. (2023). [건강톡톡] 도둑질을 해야 마음이 편해져요... ‘도벽’ 어떻게 치료해야 하나요? www.hidoc.co.kr. https://mobile.hidoc.co.kr/healthstory/news/C0000764301
양호정. (2015). 도벽문제가 있는 여중생의 가족치료 사례연구. Journal of Emotional & Behavioral Disorders, 31(3), 299-332.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 S. M. T. F., &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5 (Vol. 5, No. 5).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urst, R., Katz, G., Teitelbaum, A., Zislin, J., & Dannon, P. N. (2001). Kleptomania: diagnosis and treatment options. CNS drugs, 15, 185-195.
Grant, J. E. (2006). Understanding and treating kleptomania: new models and new treatments. Israel Journal of Psychiatry and Related Sciences, 43(2), 81.
Kirsch, J. L., Simeon, D., Berlin, H., & Hollander, E. (2015). Disruptive, impulse control, and conduct disorders: Intermittent explosive disorder, kleptomania, and pyromania. Psychiatry, 1367-1393.
Nugraha, M. (2020, June). Self-Control Kleptomania Sufferers. In Proceedings of the First Nommensen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reativity & Technology, NICCT, 20-21 September 2019, Medan, North Sumatera, Indonesia.
Wang, X., & Xu, J. (2021). The Influence of Family Structure and Adult Attachment Style on Theft Behaviors in Men: a Case-Control Study.
*사진첨부: pixabay
*작성 및 옮긴이: 한국아동청소년심리상담센터 인턴 김주경
첫댓글 ★ 한국아동청소년심리상담센터 홈페이지
http://www.kccp.kr.
★ 상담 후기
https://www.kccp.kr/bbs/board.php?bo_table=702
★ 무료온라인상담하기
https://www.kccp.kr/bbs/board.php?bo_table=6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