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17-18세기: 화학의 학문적 기초확립
ⅰ) 1746년: 연실식황산 제조시작: Gay-Lussac탑
ⅱ) 1792년: 석탄가스 제조: C+H2O=CO+H2: 암모니아 합성공업에 이용
ⅲ) 1823년: 알칼리공업시작: Le Blanc소오다법, 소오다회(Na2CO3) 생산
ⅳ) 1866년: Solvey법(암모니아소오다법)
ⅴ) 1890년: 전기화학공업 공업화: 소금의 전해에 의한 가성소다 및 염산제조
2) 19세기말-20세기초: 화학평형론, 화학속도론 확립
ⅰ) 1913년: 암모니아 합성법(Haber-Bosch법)공업화성공
ⅱ) 20세기: 인조비료, 유리, 요업제품, 무기전자재료, 무기구조재료, 무기약품
2. 제조공정의 변화
1) 재료개발에 의한 공정의 다양화: 고온, 고압, 내열, 내식, 내압재료
2) 전기, 기계의 응용, 자동제어시스템도입
3) 화학, 물리, 기계, 전기, 전자, 재료등의 장치산업
3. 무기화학공업 : 무기물을 대상으로하는 화학공업
1) 무기산공업 : 황산, 질산, 염산, 인산
2) 소금 및 소오다공업 : 소금, 소오다회, 가성소오다, 염소, 표백분
3) 암모니아 및 그 유도제품공업
4) 화학비료공업 : 인산, 질소, 칼륨, 복합비료
5) 무기고체 및 무기약품공업 : 건축재료, 법랑, 세라믹스, 금속성 경질재료, 탄소개질, 충전제, 무기안료
6) 알루미늄, 크롬, 규소, 망간 및 그 화합물공업
7) 실리콘공업
8) 핵연료공업
제 1 장 기초무기질
I. 물
1. 경제적 중요성
1) 값싸고 순도 높은 물이 공업에 필수적 : 발전소, 각종 공업용, 관개용, 가정용
2) 식수 : 하천수처리, 바닷물과 염수로부터 RO(역삼투압) 또는 증류
3) 각종 용수의 관리항목
pH, BOD, COD, SS(부유물질량), DO(용존산소량), 대장균균수
4) COD수질기준
구분 | 등급 | 이용목적별 적용대상 | 화학적 산소 요구량(COD-단위:mg/ℓ) |
생 활 환 경 | Ⅰ | 상수원수 1급 자연환경보전 | 1 이하 |
Ⅱ | 상수원수 2급 수산용수 1급 수영용수 | 3 이하 | |
Ⅲ | 상수원수 3급 수산용수 2급 공업용수 1급 | 6 이하 | |
Ⅳ | 공업용수 2급 농업용수 | 8 이하 | |
Ⅴ | 공업용수 3급 생활환경보전 | 10 이하 |
2. 식용수
1) 인체의 70%가 물 : W.H.O.에서 모든 질병의 80%는 오염된 물을 마시는 것이
원인이다.
2) 중금속 : Hg, Pb, As, Cr, Cd, Zn, Fe, Cu, Na, Mn, F(섭취량에 따라 치아변색)
3. 식용수의 생산공정
1) Chlorination (또는 오존처리)
* Cl2 + H2O → HCl + HClO( 하이포아염소산 - hypochlorous acid )
* HClO↔ H+ + ClO-
* 병원균제거, 바이러스의 비활성화
2) Flocculation(응집) 및 Sedimentation(침전)
* 혼탁물, 콜로이드성 유기불순물등 제거
* Al2(SO4)3 + 6H2O → 2Al(OH)3↓ + 3H2SO4
* Fe2(SO4)3 + 6H2O → 2Fe(OH)3↓ + 3H2SO4
3) Filtration(여과)
* 응집단계를 거친 물에 대한 처리
* 모래여과층 : 모래입자크기 0.2-2mm
4) 활성탄 처리
* 유기성 불순물들의 제거
5) pH조절
4. 수돗물 정수용 R.O.장치
수도관의 녹, 지역별 사용원수의 상이, 처리수에 대한 불신
1) 고탁도 휠터 : 부유물 차단
2) 1차 침전휠터 : 오염물질, 녹찌꺼기 제거
3) 2차 프리카본 휠터 : 염소성분,유기화학물질(Trihalomethane, Benzopyrene)제거
4) 3차 멤브레인 휠터 (역삼투압식 : R.O.) : 중금속,발암물질 제거
5) 4차 포스트카본 휠터 : 가스성분, 냄새제거
6) 5차 U.V.휠터 : 자외선살균
7) 부속장치 : 승압펌프, 자동세척장치, 자동수위조절장치
5. 여과장치의 종류
1) Filtering
: Filter의 mesh에 의한 구분
2) 정밀여과법(Microfiltration)
: 용질크기가 0.1-10μm정도를 분리하는 막분리공정
3) 한외여과법(Ultrafiltration)
: 분자크기가 10-1000Å에 달하는 Macromolecule이나 콜로이드입자를 분리하는
막분리 공정(막의 공경은 20-500Å이다.)
4) Nanofiltration
: RO와 UF의 처리범위의 중간범위인 M.W.가 수백-수천인 용매를 처리하는 과정
5) 역삼투법(Reverse osmosis)
:이온 및 분자크기가 10Å이내인 용질을 분리하는 막분리공정
6. 공업용수
: 지하수이용 또는 해수이용
1) 지하수
: 여과층(모래, 자갈, 활성탄층의 혼합형)- 이온교환수지
Anion exchange resin, Cation exchange resin
2) 바닷물로부터 담수의 제조
ⅰ) NaCl 약3.5wt% 및 칼슘, 마그네슘, 수소탄산이온들로구성
ⅱ) 식수는 0.05%이상의 NaCl이나 0.1%이하의 용해된 염을 함유해서는 안된다.
ⅲ) 방법 : 증발법, 역삼투압법
7. 폐수처리
: 폐수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방법
1) 일반생활하수 : 미생물처리
ⅰ) 스크린→ ⅱ) 폭기조(공기주입) →ⅲ) 소포조(거품제거) →ⅳ) 침전조(자연침강) →
(미생물존재)
ⅴ) 소독조(차아 염소산소다)→ 방류
2) 산업폐수
ⅰ) 스크린→ⅱ) pH조정→ⅲ) 응집반응조→ⅳ) 침전조→ⅴ) 폭기조(미생물처리시 선택)→
ⅵ) 안정조→ⅶ) pH조정조→ⅷ) 산화제(COD용), 표백제(색도) →ⅸ) 여과기;모래, 활성탄
→ⅹ) 최종처리수조→?) 방류
* 응집제 : 황산반토, 황산제2철, PAC(polyaluminium chloride) 3개중 1개를 사용
* 응집보조제 : Curi-Floc
II. 수소
1. 경제적 중요성
1) 지구상에 1wt% 로 9번째 많은 원소
지표면의 Oxygen(50%), Silicon (25%), Aluminium (8%), Iron (6%)로 구성
2) 공업원료 : 암모니아 합성, 수소첨가 반응, 수소화분해 반응, 액체수소로서 로켓연료로
이용
3) 대체 에너지 자원으로 연구중 → 대성그룹의 예
2. 수소제조
1) 중요한 제조법 : 90%는 화석연료에서 제조
ⅰ) 천연가스, 중유, 원유등 탄화수소의 분해에 의한 혼합가스로부터 제조
ⅱ) 수성가스(코오크스나 석탄의 가스화)로부터 제조
ⅲ) 물전해법
2) 제조공정
ⅰ) 석유화학공정과 석탄의 가스화
① 촉매(알루미나를 담체로한 니켈촉매)에 의한 수증기 개질공정
: 수증기를 천연가스나 경질유분(메탄을 주로하는 가스)과 반응시킨다.
메탄을 고온에서 수증기 또는 CO2와 반응시키는 방법( 700-800℃, 40bar )
CnH2n+2 + nO2 → 2nCO + 2(n + 1)H2
ⅱ) 석탄이나 코오크스의 가스화
3C + O2 + H2O → H2 + 3CO
적열한 코오크스에 수증기를 통할 때 얻는 혼합가스(CO+H2)를 수성가스(water gas) : 1000℃이상에서 반응
ⅲ) 물의 전기분해
: 수소생산의 4%
2H2O + 2e- → H2 + 2OH- cathode, 환원
2OH-→ H2O + 1/2O2 + 2e- anode, 산화
-----------------------------------------------
H2O→ H2 + 1/2O2
① 극히 순수한 수소 생산,
② 순수한 물은 전리도가 적어서 저항이 크므로 공업적으로는 15-20%의 가성소다용액
을 전해
③ 격막식 전해조 : 두전극액과 기포가 섞이지 않게 한 것
④ 종형 " : 격막없이 전극에 수집 뚜껑을 씌워 2가지 가스를 분리
3) 수소의 다른 제조공정
ⅰ) 물의 직접적인 열분해
H2O→ H2 + 1/2O2 : 2000℃이상의 고온
4) 부산물로 수소의 생산
ⅰ) 코오크스공장 및 용광로
ⅱ) Fischer-Tropsch합성
: 일산화탄소의 수소접촉에 의한 탄화수소 합성법으로 수성가스를 100-150atm,
400-450℃에서 반응시킴.
ⅲ) 암모니아합성
: 3H2 : N2를 1회 촉매층 통과시 10-40%의 NH3함유
ⅳ) 염화알칼리전기분해와 염산의 전기분해공정
3. 수소가스의 정제
물의 전기분해에 의한 방법이외는 황화합물(석탄, 석유), CO, CO2, CH4등 함유
원료가스-탈황-CO전화(CO+H2O ↔ CO2+H2)-CO2제거-CO제거
1. 과산화수소( H2O2 )
1) 성질 : 무색액체, 비점 152.1℃, 빙점 -0.41℃
수소결합을 통하여 고도로 회합도, 밀도는 물의 1.4배, 강력한 산화성
2) 용도 : 세제 제조, 종이와 직물의 표백, 폐기성 배출물 처리
2. 과산화나트륨( Na2O2 )
1) 용도 : 표백제( 동식물의 섬유조직, 각종 공산품), 산화제
Ⅳ. 질소와 질소화합물
1. 질소
1) 성질
ⅰ) 질소는 대기권에서 78%의 부피를 차지한다.
ⅱ) 실온에서 N2의 유일한 반응은 Li와 반응하여 Li3N, 전이금속착물, 질소고정박테리아
와 반응 : 클로바, 완두콩, 대두등의 뿌리마디 혹에서 자생하거나 공생으로 제한적
2) 제법
: 공기의 액화 및 분별종류
2. 암모니아
1) 성질
ⅰ) 무색의 자극성 기체 : bp -33.35℃
ⅱ) 센수소결합으로 고도의 회합도
ⅲ) 높은 유전상수
2) 용도
ⅰ) 높은 유전상수에 의한 우수한 이온성 용매 : 유기화합물에 국한
ⅱ) 물보다 유전상수가 훨씬 작으므로 무기화합물에는 좋은 용매가 아니다.
ⅲ) 공업적 질소화합물의 출발물질 : 질산(물에 흡수되어 질산이 됨),
유기화합물 합성( 아마이드, 니트릴, 아민)
ⅳ) 합성비료의 제조
3) 제조원리
ⅰ) 질소, 수소, 암모니아 사이의 화학평형에 대한 1904년 Haber? 연구에 기초
ⅱ) 최초의 Haber-Bosch법에 대한 생산공장 : 1913년 BASF
ⅲ) 1 : 3비율의 질소와 수소의 혼합물인 합성기체를 이용
1/2 N2 + 3/2H2 ↔ NH3
4) 제법
ⅰ) 수소, 질소 및 일산화탄소 혼합물의 제조
① 질소 : 공기의 저온분류
b.p. : 산소( -183℃) , 질소 (-195.8℃)로 12.8℃ 차이
② 수소 및 일산화탄소 혼합물 : Ⅱ-2-2)참조
a. 수증기 개질법(천연가스와 나프타를 사용)
: naphtha(광의의 의미로 가솔린등 휘발성 석유를 총칭한다. 가솔린의 비점 범위의
경질유분을 말한다.)
b. 중질유의 부분산화
c. 석탄의 가스화
ⅱ) 일산화탄소의 전환(conversion) : Ⅱ-3 수소가스의 정제
ⅲ) 이산화탄소와 황화수소의 제거
: 적절한 용매를 사용, 물리적 화학적 흡수
ⅳ) 합성가스의 최종 정제
ⅴ) 합성가스로부터 암모니아로의 전환반응
① 순환공정 : 합성기체를 압력반응기에서 순환하여 암모니아 합성가스 제조
② 액체 암모니아를 증발 응축(-25℃)하여 분리 : 수냉 또는 공냉법이 이용된다.
3. 히드라진( N2H4 )
1) N2H4는 암모니아의 수소원자가 NH2원자단으로 치환된 것
2) 발연성의 무수액체( bp114℃) : 공기중에서 연소하여 상당량의 열을 발생
N2H4(l) + O2(g) ↔ N2(g) + 2H2O(l), ΔH = -622kJmol-1
3) 보일러용 물에 미량(ppm)의 히드라진으로 부식을 방지 MAGNETITE층을 형성하여
내벽을 보호 (MAGNETITE : Fe3O4 , 흑색 분말 또는 결정
4) 히드라진유도체들은 발포제, 고분자반응의 개시제, 의약품, 제초제로 이용
5) 제조 : 암모니아나 요소같은 암모니아 유도체를 산화시켜 제조
4. 히드록실아민( NH2OH )
1) NH2OH는 NH3보다 약한 염기이다.
2) 흰색의 불안정한 고체
3) 카프로락탐(caprolactam; C6H11NO = 113; 6-Nylon의 원료, polyamide의 원료)제조시
히드록실아민을 중간생성물로 이용
환원제, 페인트, 피부보호제, 의약품, 살충제로 사용되는 OXIME의 제조에 사용
4) 제조 : 질산염 또는 아질산염을 SO2로 환원 또는 전기적환원으로 만든다.
5. 질산
1) 경제적 중요성
ⅰ) 상위 10개 공업용 화학물지중의 하나, 황산 다음으로 중요한 약품
ⅱ) 대부분 50-70%, 약20%는 98-100%고농도
ⅲ) 용도
: 미국의 경우 약 75%가 비료용, 약 15%가 폭약용, 나머지는 합성섬유, 염료,
플라스틱, 의약, 중간체등의 제조원료, 최근 로켓이나 미사일등에 발연질산,
질소함유비료제조, 폭발물제조(질산나트륨)
2) 제법
ⅰ) 1908년 Ostward가 백금박을 촉매로 부생암모니아를 산화해서 질산을 만드는 공장
건설
ⅱ) 대부분이 Ostwald공정(1902년)을 사용한 암모니아의 촉매산화에 의하여 생산
: 현재 공법은 모두 암모니아 산화법
ⅲ) 대기중의 질소를 공업적으로 이용하는 순서
N2 → NH3 → NO → HNO3
3) 제조공정
ⅰ) 암모니아의 접촉식 연소
대기중의 산소를 사용하여 암모니아의 연소
: 820-950℃, 1-12bar, 촉매(백금망; 백금 또는 백금-로듐합금)
4NH3 + 5O2 → 4NO + 6H2O
ⅱ) 일산화질소의 산화 : 저온산화( 140℃이하, 가압 )
2NO + O2 → 2NO2
ⅲ) 이산화질소로부터 질산으로의 전환
NO2를 물에 흡수시켜 HNO3로 한다.
3NO2 + H2O → 2HNO3 + NO
ⅳ) 3개의 발열반응단계로 구성되며 다음은 총괄반응
NH3 + 2O2 → HNO3 + H2O
4) 질산의 농축
ⅰ) 증류하여 농축(상압법 : 50%, 가압법 및 산소산화법 : 60-68%)
ⅱ) 직접합성법 (98%)
NH3 + 2O2 → HNO3 + H2O
Ⅴ. 인과 인화합물
1. 인과 무기성인 화합물의 개요
1) 일반적 개요
ⅰ) 인은 비료의 유효성분 : 채광된 인광석의 90%는 비료의 제조에 사용된다.
ⅱ) 인은 증류하여 물에서 P4로 응축 : P4는 공기중에서 발화하므로 물속에서 보관
ⅲ) 적인과 흑인은 대기중에서 안정하나 가열하면 연소한다.
ⅳ) P4는 CS2, 벤젠에 녹고 맹독성
2) 원료물질
ⅰ) 인광석 : 인은 apatite계의 광석 Ca5(PO4)3(F, Cl, OH)에 존재
ⅱ) 일반적으로 최저 5% 함량을 갖는 P2O5가 채광된다.
ⅲ) 상업적으로 가장 중요한 것은 Fluorapatites이다.
* Apatite group : Phosphates, Arsenates, Vanadates
* A5(XO4)3(F, Cl, OH)
A = Ca, Sr, Pb, Na, K
X = P, As, V, Si
* Hexagonal 구조
3) 제련과정
분쇄 → 세척 → 체거름 → 산화철의 자성분리 → 부유법에 의한 석영제거 → 하소법에
의한 유기불순물 제거 → 혼합
* 하소 : 물질을 공기중에서 태워 휘발성 성분을 없애고 재로 만드는 일
4) 인광석의 인함유율을 고려한 자료
ⅰ) %P2O5 또는 %Ca3(PO4)2 : bone phosphate of lime( BPL)
ⅱ) 1%의 P2O5는 2.19% BPL과 같다 : 31x2 + 16x5 = 142, 40x3 + (31+64)x2 = 310
ⅲ) 수율 및 인산농도의 계산 : P2O5 분자량이용
2. 인산( H3PO4 )
1) 성질
비중 1.88, 상온 무색투명, 사방정계에 속하는 결정
2) 이용 : 교재 p. 59
비료, 세제
수처리제
가축사료용 영양제
지연제
인산자체 : 금속처리
건식인산 : 식품공업분야
건식인산 또는 정제한 인산 : 분말세제
3) 인산의 제조
인산제법 | 건식법 | 전기로법 | 인광석, 규석혼합물→코오크스 도는 무연탄으로 환원→인을 기화시킴 →공기 또는 과열수증기로 산화(P4O10)→물에 용해→인산 |
용광로법 |
| ||
습식법 | 황산분해법 | 현재 이 방법만이 시행되고 있다. | |
염산분해법 | 거의 실시되지 않고 있다. | ||
질산분해법 |
ⅰ) 습식법에 의한 인산제조 : 인광석중 칼슘인산염의 예
① 인광석중 칼슘인산염과 황산의 반응
: 황산칼슘은 반응조건에 따라 이수화물이나 반수화물로 침전된다.
a. Ca3(PO4)2 + 3H2SO4 → 3CaSO4 + 2H3PO4
b. Ca5(PO4)3F + 5H2SO4 + 10H2O → 3H3PO4 + 5(CaSO4·2H2O) + HF
석고
c. Ca5(PO4)3F + 5H2SO4 + XH2O → 3H3PO4 + 5(CaSO4·YH2O) + HF + ZH2O
* 기타 인광석의 예는, Phosphophyllite; Zn2(Fe+2, Mn)(PO4)2·4H2O
Phosphates; (Mg, Fe)Al2(PO4)2(OH)2
ⅱ) 습식법 공정
① 이수화물법
a. 인산농도는 P2O5기준으로 28-32%
b. 인광석의 인함량을 기준으로 P2O5의 수율은 95%
c. 유럽의 모든나라에서 채택
d. 인광석을 황산으로 60-65℃에서 분해하면 이수석고가 된다.
② 반수화물법 : 3가지 변형공정
a. 제1변형법(반수화물법)
ⓐ 인산농도 40-50%
ⓑ 수율은 93% 정도
ⓒ 황산으로 90-100℃로 분해하여 반수화물이 직접 여과되어나오는 형태
b. 제2변형법(이수반수화물법)
ⓐ 인산농도는 33-38%
ⓑ 수율은 99% 이상
ⓒ 이수화물을 원심분리기로 여과하고 이수화물을 황산중에서 가열, 반수화물을
성장시킴.
c. 제3변형법(반수이수화물법)
ⓐ 인산농도 42% 이상
ⓑ 수율은 이수화물법보다 높다
ⓒ 비싼 인광석 사정으로 수율을 높인 것
ⓓ 한국에서 채택
ⓔ 인광석을 황산으로 90-100℃에서 분해하여 반수석고로 하고 60℃로 수시간
유지 이수석고 성장시킴
d. 무수화물법
ⓐ 인산농도 50%이상
ⓑ 수율 93%정도
ⓒ 황산에 의한 분해온도를 95-110℃로 한 것
* 이수염 = 이수화물
③ 산의 농축
: 비료생산에는 40-54%의 오산화인을 함유하는 산
a. 증발공정
b. 정제공정
ⓐ 불용성 불순물들의 침전
ⓑ 추출법(액-액추출: 유기성 추출시약과 불순한 인산의 혼합에 의한 상분리)
ⅲ) 건식인산의 제조
① 백인의 공기연소에 의한 오산화인을 물(혹은 묽은 인산)에 흡수
a. 4P + 5O2 → P4O10
b. P4O10 + 6H2O → 4H3PO4
② 54.5 - 61.5%의 P2O5를 포함한 poly인산이 생산
3. 인산염
: 비료제조에 사용되는 것 이외의 인산염의 이용
1) 인산염나트륨
이용 : 교재 p. 65, 66
ⅰ) Pentasodium triphosphate(일명 삼폴리인산 나트륨: sodium tripolyphosphate(STPP)
: 양적으로 가장 중요하며 세제, 청정제에 사용된다.
ⅱ) mono-, di-, trisodium phosphate : 공업용, 금속용세척, 인산화반응, 보일러용
물처리, 섬유산업의 완충제
ⅲ) Disodium hydrogenphosphate : 동물사료, 음식의 영양제
ⅳ) Disodium dihydrogen diphosphate : 빵가루 부풀림
ⅴ) Tetrasodium phosphate : 공업용 세척제
2) 인산암모늄염 : NH4H2PO4, (NH4)2HPO4
3) Tetrapotassium diphosphate : K4P2O7
4) 인산염칼슘 : CaH4(PO4)2, CaHPO4
4. 인
1) 백인
ⅰ) 공업적으로 다른 종류의 인보다 중요
ⅱ) 백인의 제조
자갈(규소)을 첨가하여 코오크스로 인회석을 전열환원반응시킴
Ca3(PO4)2 + 5CO → 3CaO + 5CO2 + 2P
5CO2 + 5C → 10CO
-----------------------------------
Ca3(PO4)2 + 5C → 3CaO + 5CO + 2P
2) 적인
ⅱ) 이용: 교재 p. 70
① 인화성물질: 성냥갑, 불꽃제조 및 폴리아마이드와 같은 물질에 지연제로 사용
② 백인보다 덜 중요; 가격은 백인의 2배
ⅱ) 적인의 제조;
① 발열반응으로 고체상태의 적인 생성
② 백인 → 350℃ ball maill에 공급 → 반연속적으로 적인으로 전환
5. 인의 유도체
1) 오산화인 : P2O5 or P4O10
생성된 백인의 약85%는 오산화인으로 제조된다.
2) 오황화인 : P2S5 or P4S10
3) 할로겐화인
ⅰ) 삼염화인(PCl3)
ⅱ) 오염화인(PCl5)
ⅲ) 산염화인(POCl3)
ⅳ) Phosphorus sulfochloride(thiophosphoryl chloride)
Ⅵ. 황과 황화합물
1. 황(S)
1) 원료
ⅰ) 천연가스, 원유의 원소황
ⅱ) 원소황 퇴적물 : 시실리, 루이지애나, 텍사스, 일본, 멕시코 등
ⅲ) 금속황화물광석 :황화철광(FeS2) : 53.4% 함유
자류철광(Fe5S6-Fe16S17) : 25-35% 함유
2) 성질
: 사슬화경향이 탄소 다음으로 세다.
3) 이용(교재 p. 89)
: 황산제조, 이산화황, 삼산화황, 황함유 콘크리트, 화약, 폭약, 이황화탄소, 오황화인,
황염료와 약품, 고무 가황제 제조등
4) 제조
ⅰ) 원소 황 퇴적물로부터의 제조
Frasch법 : 약 165℃의 과열된 물을 3개의 동심파이프의 외부링(8" pipe)을 통하여
퇴적층의 황이 함유되어있는 층으로 내려보낸다. 황은 뜨거운 물에 용해된
후 중앙의 파이프(1" pipe, 500psi)를 통하여 유입된 압축공기에 의하여
두 번째 링(3" pipe)을 통하여 용해된 상태로 위로 올라온다.
ⅱ) 황화수소 및 이산화황으로부터의 제조
: 황의 또다른 자원은 천연가스, 정제가스, 합성가스등에 있는 황화수소가 있다.
이 원료를 공기/산소에 의하여 원소황으로 전환한다.
H2S + 1.5O2 → SO2 + H2O
2H2S + SO2 → 3S + 2H2O
------------------------
3H2S + 1.5O2 → 3S + 3H2O
ⅲ) 황철광으로부터의 제조
: 황철광(FeS2)을 공기부재하에서 약 1200℃로 가열하면 황과 액체황화제2철을
얻을 수 있다.
FeS2 → FeS + S; 소성물중에는 약간의 FeS가 남는다.
ⅳ) 토황으로부터 제조
: 규산질 광물질중 유리황이 침투해서 된 것; 황 50%이상 함유
2. 황산
1) 성질
ⅰ) 무색, 높은 점도, 농황산은 95-98%, 비중은 1.84
ⅱ) 물과 혼합하여 발열, dil. H2SO4는 강산의 성질
ⅲ) 금과 백금족원소는 conc. H2SO4에도 침식되지 않는다.
2) 역사
ⅰ) 명반 혹은 녹반을 가열분해하여 발생하는 아황산 가스를 물에 흡수시켜 만든 것이 시초
ⅱ) 18세기초 황과 칠레초석(NaNO3)을 원료로 사용하여 소량의 황산이 제조 시판
ⅲ) 1746년 연실 출현
3) 이용
ⅰ) 건조제, 탈수제, 염료, 폭약제조, 건조제
ⅱ) 78, 96, 98, 100%산으로 판매, 인과 질소비료생산에 소비
ⅲ) 석유화학, 무기 및 유기화학물질 제조,
4) 황산제조 방법
: 이산화황을 삼산화황으로 산화후 삼산화황을 물과 반응시킴
SO2 + 1/2O2 → SO3 → H2SO4
*배소 : 광석등의 고체 시료를 융해하지 않을 정도의 고온도로 주위의 기체 또는
첨가제로 화학반응을 일으켜 조작 처리하기 쉬운 화합물로 변형시킨 것
ⅰ) 이산화황의 제조
① 황을 이산화황으로 연소 : 미국의 경우 약 90%
S + O2 → SO2
② 황화광으로부터 제조 : 구주지역
2FeS2 + 5.5O2 → Fe2O3 + 4SO2
③ 석고를 원료로 시멘트를 제조함과 동시에 SO2를 발생시킴 : 영국, 독일
CaSO4 + C - CaO + SO2 + CO
CaO는 점토와 결합하여 시멘트가 됨
④ 금속제련 폐가스 이용(구리, 아연등이 황화광으로 산출) : 캐나다, 온산의 동제련소등
⑤ 중유 탈황시에 회수되는 황의 이용
⑥ 석유정제시 부생 또는 제철소의 코오크스로 가스제조시 부생되는 H2S에 의한 SO2제조
ⅱ) 이산화황으로부터 황산으로의 전환
: 발연황산 및 농황산은 합성염료, 의약품, 플라스틱, 폭약, 유기화합물 중간체제조등에
이용
접촉법으로 제조, 연실법은 더 이상 사용되지 않음.
① 연실법
: 산화질소를 촉매로하여 SO2, O2 및 H2O를 기상반응 또는 기액상 반응을 시켜서
황산을 제조하는 방법
② 접촉법
: 발연황산의 제조연구 즉 접촉법에 의한 황산제조를 말한다.
SO2를 SO3로 산화(백금 또는 바나듐 촉매)
SO2 + 1/2O2 ↔ SO3
ⅲ) 삼산화황의 황산으로 전환
: SO3는 98%황산에 흡수시켜 발연황산이나 100%황산을 만든다.
ⅳ) 폐황산과 금속황산염으로부터의 황산
: 폐황산의 농축은 생태학적인 문제로 인하여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벤추리 재농축법, 액증버너법, 강제순환증발기, Pauling-Plinke법, Bayer -Bertrams
법등(물을 산으로부터 제거하여 농축하는 방법)
2H2SO4 → 2SO2 + O2 + 2H2O
ⅴ) 그 외의 제조
a. 냉각 grid를 갖춘 유동층 반응기내에서 이산화황의 등온산화
b. 황화수소로부터 얻어진 이산화황을 연소시키는 습식기체접촉공정
2H2S + 3O2 → 2SO2 + 2H2O
c. 질화법
SO2 + 2NOHSO4 + 2H2O → 3H2SO4 + 2NO
5) 황화물
ⅰ) 이산화황(SO2)
: 황함유 화학물질의 제조에 이용
물과같은 용매에 SO2를 함유하는 기체의 흡수, 흡수된 이산화황은 증기로 추출
ⅱ) 삼산화황(SO3)
: 슬폰산제조, 유기화합물의 슬폰화제로 이용
낮은 삼산화황함량의 발연황산을 증류한 후 30-35℃에서 액화시켜 제조
ⅲ) 이염화이황(S2Cl2)
: 윤활유 및 절삭유등의 첨가제, 촉매로 이용
240℃에서 염소를 액체황에 불어넣은 뒤 증류식 정제를 통해 연속적으로 제조
Cl2 + 2S → S2Cl2
ⅳ) 이염화황(SCl2)
: 염화티오닐제조, 황화반응, 염소화반응
저온에서 요오드같은 촉매를 사용하여 액체 이염화이황과 염소기체를 반응시킨다.
S2Cl2 + Cl2 → 2SCl2
ⅴ) 염화티오닐(SOCl2)
: 이산화황 또는 삼산화황과 염소를 이염화황 또는 이염화이황과 반응시켜 생산한다.
유기중간체, 식물보호제, 살충제등 제조시, 의약품, 염소화제, 갈바니전지의 비수용성 전해질
SO2 + SCl2 + Cl2 → 2SOCl2
SO3 + S2Cl2 + 2Cl2 → 3SOCl2
Ⅶ. 할로겐과 할로겐화합물
: 모든 원소들과 할로겐화합물 형성(He, Ne, Ar 제외)
이온성 또는 공유성할로겐화물 및 유기할로겐화합물
1. 플르오르와 플르오르화합물
1) 원료, 성질 및 이용
ⅰ) 플루오르(불소)의주원료
① 형석 CaF2(Fluorspar) : 30-60%
② 인광석 Ca5(PO4)3F (Fluorapatite) : 2-45 등으로 널리 존재한다.
③ 천연빙정석 Na3AlF6(cryolite) 등
ⅱ) 화학반응성이 크다(실온 또는 고온에서 모든 원소와 반응) : O2, He, Ne, Kr는 제외
ⅲ) 이용
① acidspar로 불리우는 acid-grade형석은 플르오르화수소제조에 이용
② 플르오르화수소는 염화플르오르화탄화수소나 인조빙정석(cryolite), 플루오르화알루
미늄등의 제조에 이용
③ 인조빙정석, 플루오르화알루미늄등은 알루미늄괴 생산에 필요한 물질들
④ Metspar로 불리우는 metallurgical grade형석은 플루오르화칼슘함량이 60-85%
정도로 주로 철강산업에 이용; metspar와 acid spar의 중간에 해당하는 것으로
ceramic grade형석이 있다.
2) 플루오르 및 플루오르무기물
ⅰ) 플루오르 : 정기분해방법
2HF → H2 + F2
ⅱ) 플루오르화수소 : 형석과 황산의 반응
CaF2 + H2SO4 → 2HFg + CaSO4
2. 염소 및 염소화합물
1) 원료, 성질 및 이용
ⅰ) 염소는 바닷물, 소금물호수 및 암염광등에 존재
ⅱ) 녹색의 유독성 기체
* 간수(brine) : 해수를 증발 농축하여 소금의 대부분을 석출한 후의 모액
ⅲ) 이용 : 염산제조, 물처리, 수산화나트륨
1980년초까지는 염소생산이 화학제품이 생산척도이었으나, 환경적 원인들로 인하여
다른 물질로 대체되고 있다.
2) 제조공정
ⅰ) 염화나트륨: 바닷물 또는 천연매장광
1차 증발지에서 해수농축 → 2차 증발지에서 황산칼슘 침전 → 최종 증발지에서
염화나트륨으로 결정화
ⅱ) 염소 및 가성소다 제법 비교
: 수은법은 격막법으로 전환, 최근 이온교환막법이 대두
① 격막법
: 포화함수 양극에 도입
a. 음극반응은 환원반응 : 수소발생
음극 : H2O + e- → 0.5H2 + OH-
Na+ + OH- → NaOH
b. 양극반응은 산화반응
2Cl → Cl2 +2e-
c. 수산화나트륨의 농축
: 음극용액 50%로 농축
② 수은법
: 음극에서 H+대신에 Na+가 방전하여 석출하도록 전해의 양식을 바꾼 것
전해조 : 수은층은 음극: 나트륨 흡수
양극 : 염소발생
분해조 : 아말감이 물에 의하여 가수분해 : 수은 수산화나트륨 및 수소로 전환
a. 수은법 전해조는 전해실과 분해실로 구분된다.
ⓐ 전해조 반응
양극반응 : Cl- → 0.5Cl2 + e-
음극반응 : x(Hg) + Na+ + e- → Na(Hg)
ⓑ 분해조 반응
양극반응 : Na(Hg) → Na+ + (Hg) + e
음극반응 : H2O + e → OH- + 1/2 H2
ⓒ 분해실 전체반응
: Na(Hg) + H2O → NaOH + 1/2H2 + (Hg)
분해한 수은은 순환사용한다.
③ 이온교환막법
: 격막으로 양이온 교환수지막을 사용 : 양이온만 통과, 음이온은 통과 못함.
a. 전해가 개시되면 양극에서 염소가 발생
b. Na+는 양이온교환막을 통과하여 양극실에서 음극실로 이동
c. 음극에서는 H2 와 OH-가 생성, OH-는 양극실에서 이동해온 Na+와 합쳐서 NaOH- 생성
d. 양극실의 배출 저농도 함수는 원염 첨가후 재사용
3) 수은법, 격막법 및 이온교환막법의 비교
ⅰ) 격막법
① 낮은 가성소오다 품질 : 12%
② 염소기체에 산소 함유
③ 농축보일러 시설의 대기오염, 석명방출
④ 저급 소금물사용
⑤ 수은법에 비해 낮은 전압사용
ⅱ) 수은법
① 높은 가성소오다 품질 : 50%
② 전력소비가 격막법의 10-15% : 전류밀도(I/Area), 격막법의 5-6배, 높은 생산성
③ 수은오염
④ 엄격한 소금물의 순도요구
⑤ 순수한 염소기체 제조
ⅲ) 이온교환막법
① 중간 가성소오다 함량 : 33%(격막법의 품질불야 문제 해결)
② 적은 에너지 소요 : 전력소비 수은법의 77%
③ 수은법의 수은공해, 대기 및 석면공해 해결
④ 고순도의 소금물 사용
⑤ 염소기체에 산소 함유
3. 염산-염화수소
1) 원료, 성질 및 이용
ⅰ) 소금물의 전기분해
ⅱ) HCl가스는 무색투명한 자극성기체, 수용액을 생산
ⅲ) 금속의 산세척, 중화반응, 이온교환수진 재생
2) 염화수소-염산 제조
ⅰ) 수소와 염소의 직접반응
: 소금물 전해시 NaOH, H2 및 Cl2 생성
HCl의 합성반응은 연쇄반응, 혼합가스는 햇빛에 폭발하면서 화합하여 HCl생성
H2 (gas)+ Cl2 (gas)→ 2HCl (gas)
① 저온저압
Cl2 + energy → 2Cl
Cl + H2 → HCl + H
H + Cl2 → HCl + Cl
Cl은 다시 H2와 반응하여 반복하여 HCl 생성
②고온고압
Cl2 + energy → Cl2*
Cl2* + H2 → 2HCl*
2HCl* + 2Cl2 → 2HCl + 2Cl2* * : 활성화
a. 연쇄반응은 2배, 4배로 기하급수적 증가.
b. 폭발에 유의
ⓐ 공기와 같은 불활성가스로 Cl2를 희석
ⓑ 석영괘, 자기괘등 반응완화촉매의 이용
ⓒ H2 과잉 공급으로 연쇄반응의 원인인 Cl2를 미반응상태로 남지않도록 함.
c. 생성된 HCl가스를 물에 흡수시켜 염산으로 함.
ⅱ) 부생 염화수소-염산
: 수금의 황산분해법
NaCl + H2SO4 → NaHSO4 + HCl
NaHSO4 + NaCl → NaSO4 +HCl
--------------------------------
2NaCl + H2SO4 → NaSO4 + 2HCl
4. 염소-산소 화합물
이용: 수처리제, 소독제, 표백제
1) 차아염소산염
차아염소산 칼슘 : Ca(OCl)2
2) 염소산염
염소산 나트륨 : NaClO2라늄추출, 제초제원료
3) 염소산염
염소산 나트륨, 칼륨 : NaClO3, KClO3
4) 과염소산염
과염소산 나트륨 : NaClO4
5. 브롬과 브롬 화합물
1) 원료, 성질, 제조 및 이용
ⅰ) 브롬화물로 소량 존재
ⅱ) 실온에서 큰 밀도,암적색 유동성 액체, 물에 용해, 비극성용매와 용해(CS2, CCl4)
ⅲ) 브롬
① 해수로부터 브롬제조 : 가서소다 제조후의 잔류용액이용
② 브롬이온을 염소분자를 이용 산화하여 기체상태로 얻음
2Br- + Cl2 → 2Cl- + Br2 (취급주의)
ⅳ) 이용 : 유기화합물 제조 등
6. 요오드와 요오드화합물
1) 원료, 성질, 제조 및 이용
ⅰ) ① 간수중 요오드화물
② 칠레초석(NaNO3)중 요오드산염
③ 해양생물중 농축 요오드
ⅱ) ① 검은색 고체, 약간의 비금속 광택
② 대기압에서 승화한다(용융안됨)
③비극성용매(CS2, CCl4) 에 용해, 전분과 청색의 착물을 형성
ⅲ) 요오드
: 소금물로부터 80%의 양 (30-100ppm 함유)
ⅳ) 이용 : 소독, 의약품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