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래 무침
재료 : 달래 2단(200g), 고춧가루 5큰술, 물 2큰술, 까나리액젓 2큰술, 다진 마늘 1큰술, 설탕 1/2큰술, 통깨 1큰술
요리법
①달래는 다듬어 씻어서 채반에 건진다.
②고춧가루에 액젓과 물을 넣고 섞어 잠시 불려둔다.
③달래에 ②와 다진 마늘, 설탕을 넣고 버무린 후 통깨를 넣는다.
냉이 초고추장 무침
재료 : 냉이 100g, 고추장 1큰술, 고춧가루 1작은술, 다진마늘 1작은술, 설탕 1/2큰술, 식초 1/2큰술, 깨 1/2작은술,
소금 1/2작은술, 간장 1/2큰술, 청초, 홍초, 대파 약간
요리법
1. 냉이는 다듬어 깨끗이 씻고 소금을 넣은 끓는 물에 살짝 데친 후 찬물에 헹궈 물기를 짠다.
2. 청초, 홍초, 대파는 가늘게 채 썰어 찬물에 담궜다가 건진다.
3. 상에 내기 직전에, 준비한 야채를 그릇에 담고 양념장을 고루 뿌려서 살짝 버무린다.
곰취 김치
재료 : 곰취 3kg, 묽은 쌀풀 1컵, 맑은 액젓 1/2컵. 굵은 대파 2개를 3~4cm로 어슷 썰어 둔것, 마늘 1컵을 곱게 채썬것,
김치용 고춧가루 1/2컵, 물 10컵, 소금 천일염 (죽염을 넣으면 더욱 좋습니다)
요리법
1. 넓은 그릇에 쌀풀, 액젓, 마늘, 생강, 고축가루를 넣고 고루 섞습니다. 파와 실고추를 뿌려 넣고 4~5컵의 물을 부은 다음,
소금으로 간을 맞춰 다시 섞습니다.
2 .양념에 곰취 묶음을 하나씩 적셔, 항아리에 차곡차곡 눕혀 담습니다.
3 .늘림을 하고, 소금물로 양념 그릇을 살짝 헹궈 위에 붓습니다. 간을 맞추고 서늘한 곳에 놓아둡니다.
곰취김치의 국물을 물을 끓여 뜨거울 때 부은 다음 그대로 식혀도 됩니다.
씀바귀 뿌리무침
재료 : 씀바귀 뿌리 200g, 초고추장(고추장 2큰술, 설탕 2큰술, 식초 2큰술, 마늘 다진 것 2/3 작은술), 통깨, 쪽파 2뿌리
요리법
1. 씀바귀 뿌리는 칼로 흝어서 잔털을 긁어내고 깨끗하게 씻는다. 끓는 물에 소금을 넣고 삶아 찬물에 하룻밤 정도 담가
쓴맛을 뺀다.
2. 씀바귀 뿌리의 물기를 꼭 짜고 적당한 길이로 썬다.
3. 볼에 고추장, 설탕, 식초, 마늘 다진 것을 넣고 섞는다.
4. 쪽파는 다듬어서 씻어 송송 썬다.
5. 3의 볼에 1의 씀바귀를 넣고 무친 다음 쪽파 송송 썬 것과통깨를 넣고 무쳐서 접시에 담는다
참나물 무침
재료 : 참나물 한봉지
멸치액젓 2큰술,고추가루2큰술,설탕1큰술,참기름1/2큰술,깨소금 약간
요리법
1. 참나물을 깨끗이 손질하여 먹기좋은 크기로 잘라준다.
2. 위 분량의 양념장을 잘 섞어준다.
3. 볼에 참나물과 양념장을 넣어 잘 버무려준다.
취나물 무침
재료 : 취나물 반봉지, 된장 약간, 참기름 약간, 다진파 약간
요리법
1. 먹을만큼 취나물을 덜어서 물에 씻고, 손질을 한다.
2. 물을 끓인다. 손질한 생생한 취나물을 퐁당 담근다. 그리고 살짝 데쳐졌다고 생각되면 건져낸다.
3. 살짝 데친 취나물의 물기가 없도록 쭉 짠다.
4. 마늘 다진 것 약간, 파 다진 것 약간, 된장 약간, 참기름 약간과 함께 오물조물 버무린다.
◈ 달래무침
재료 : 달래 150g, 오이 1개, 밤 3개, 배 ⅓개, 굵은소금 약간
양념장 : 간장 3큰술, 고운 고춧가루 ½큰술, 굵은 고춧가루 ½큰술, 깨소금·설탕·식초 1큰술씩
요리
1. 달래는 머리 부분에 있는 잔뿌리를 잘 다듬어 씻은 다음 5cm 길이로 자른다.
2. 오이는 굵은소금으로 문질러 씻은 다음 길이로 반 갈라 어슷썰기 한다.
3. 밤은 속껍질까지 벗겨 납작하게 저미고, 배는 속을 파낸 다음 길이로 반 갈라 오이와 같은 모양으로
어슷썰기 한다.
4. 볼에 달래와 오이, 밤, 배를 넣고 고루 섞은 다음 분량의 재료를 섞어 만든 양념장으로 먹기 직전에 버무린다.
◈ 참나물 된장 두부무침
재료 : 참나물 400g, 소금 약간
양념장 : 된장 4큰술, 두부 200g, 다진 마늘 1큰술, 다진 파·들기름 2큰술씩, 생강즙 ½작은술
요리
1. 참나물은 억센 부분을 잘라내어 끓는 물에 소금을 넣고 파랗게 데쳐 찬물에 헹군 후 물기를 꼭 짠다.
2. 된장은 커터로 곱게 갈고 두부는 고운 체에 내린다. 또는 부드럽게 으깨어 준다.
3. 큰 볼에 ②와 나머지 양념장 재료를 넣고 섞어 된장 두부 양념장을 만든다.
4. ③에 손질한 참나물을 넣어 골고루 버무린다.
◈ 봄동무침
재료 : 봄동 400g, 달래 100g, 실파 80g, 무 100g, 굵은 고추가루 2큰술, 고운 고추가루 1큰술
양념장 : 멸치액젓·밥 2큰술씩, 다진 마늘 1큰술, 생강즙 ½작은술, 설탕 ½큰술, 물 ¼컵
요리
1. 봄동은 밑동을 잘라 낱낱이 떼어 다듬어 깨끗이 씻는다. 큰 잎은 손으로 찢어 물기를 뺀다.
2. 무는 손질하여 채 썬 다음 먼저 굵은 고춧가루와 고운 고춧가루를 넣고 버무려 물들인다.
3. 실파는 손질하여 3cm 길이로 자른다. 또 달래도 꼼꼼이 손질하여 먹기좋게 잘라준다.
4. 볼에 분량의 양념장 재료를 모두 넣고 골고루 섞은 다음 마지막에 ②의 무를 넣어 같이 섞는다.
5. 넓은 그릇에 봄동과 실파, 양념장을 넣고 살짝 버무려 접시에 담는다.
◈ 씀바귀 풋마늘 고추장무침
재료 : 씀바귀·풋마늘 200g씩, 굵은소금 약간
양념장 : 고추장 ½컵, 식초 4큰술, 설탕 3큰술, 다진 마늘 ·생강즙 ½작은술씩, 다진 파·깨소금 2큰술씩
요리
1. 씀바귀는 잘 다듬어 3∼4cm로 자른 다음 끓는 물에 소금을 넣고 데쳐 물에 담가 쓴맛을 우려낸다.
2. 볼에 분량의 양념장 재료를 모두 넣고 골고루 섞어 고추장 양념장을 만든다.
3. 큰 볼에 ①의 씀바귀를 물기 빼서 넣은 다음 양념장을 넣어 골고루 무친다.
씀바귀처럼 쌉싸름한 나물을 무칠 때는 고추장에 식초, 설탕을 넣어 상큼하게 무쳐야 쓴맛이 덜하다.
또한 풋마늘 이외에 미나리나 톳나물 등을 곁들여 맛을 내도 좋다.
◈ 냉이 멸치된장국
재료 : 고추장 ½컵, 식초 4큰술, 설탕 3큰술, 다진 마늘 ·생강즙 ½작은술씩, 다진 파·깨소금 2큰술씩.
굵은 파 ½대
요리
1. 냉이는 하나씩 뿌리 부분을 깨끗이 다듬어 씻은 다음 체에 밭쳐 물기를 뺀다.
2. 멸치는 내장을 제거한 다음 마른 팬에 볶아 비린내를 없앤다.
3. 쌀뜨물은 쌀을 세 번째 씻은 물로 받아 준비한다.
4. 쌀뜨물에 ②의 멸치를 넣고 끓이다가 된장과 고추장을 체에 밭쳐 풀어준 다음
한소끔 끓으면 냉이를 넣는다.
5. 국이 거의 완성될 때쯤 다진 마늘과 생강즙, 굵은 파를 넣어 끓으면 불에서 내린다.
◈ 봄나물 무침
재료 : 봄동 100g, 냉이 50g, 참나물 50g, 달래 30g,
양념 : 멸치액젓 2큰술, 고추가루 2큰술, 다진 파 1/2큰술, 다진마늘 1작은술, 설탕 1큰술, 참기름 1큰술,
통깨 1큰술.
요리 : 재료를 4cm로 잘라 양념으로 버무려 무친다.
◈ 취나물 들깨 볶음
재료 : 취나물 200g.
양념 : 다진마늘 1큰술, 다시마 육수 1컵, 쪽파 약간, 들기름 2큰술, 참기름 1큰술, 간장 2큰술,
통깨 1큰술, 실고추,소금 약간
요리
1. 취나물을 깨끗이 씻어 끓는 물에 소금 조금 넣어 살짝 데친다.
2. 찬물에 담궈 헹군후 물기를 꼭 짜준후 한입 크기로 잘라준다.
3. 냄비에 데친 취나물과 함께 파, 마늘, 까나리액젓(국간장)과 올리브유를 넣고 뒤적이다가
불을 약하게 켜고 물(또는 육수)을 2큰술 넣고 볶는다.
4. 부드럽게 볶아졌으면 들기름과 참기름을 넣고 섞어준다.
5. 그릇에 담아 통깨른 뿌려준다.

냉이 (향긋한 봄나물로 유명한 건강식품)-맛이 좋은 봄나물의 대표, 각종 약효성분 풍부
달래 (독특한 향취로 입맛을 높여주는 나물)-위암, 불면증, 보혈작용, 소화작용
민들레 (강한 생명력이 있는 야생초)-만성위장병, 위궤양, 간염에 탁월한 효능
사철쑥 (가정용 상비약)-혈압과 혈당량을 낮추어주며 갖종 질병예방에 효과
곰취 (비타민C풍부)-기침, 가래, 감기, 숨가쁜데 효과가 있다
기름나물 (신선한 잎은 막장에 조금씩 찍어먹는다)
냉초 (이른 봄에 어린 순을 따서 나물로 무쳐먹는다)-설사를 멎게하고 통증을 진정
두릅 (봄에 나오는 순을 뜯어다가 살짝 데쳐 초고추장에 찍어 먹음)-야생나물의 왕자
물레나물 (가볍게 데쳐서 찬물에 헹구어 내서 양념하여 먹음)
바위취 (초봄의 신선한 잎을 따서 쌈으로 싸 먹음)
번행초 (봄에 나는 어린 잎과 뿌리를 캐어 나물로 무쳐먹음)
별꽃 (봄에 어린 잎을 모아다가 나물로 무쳐 먹음)
속속이풀 (살짝 데쳐서 양념에 무쳐먹거나 국거리로 이용)
솔나물 (어린 순을 뜯어서 나물로 무쳐 먹음)
엉겅퀴 (어린 잎을 나물로 무쳐 먹거나 국거리로 이용)
오이풀 (어린 잎을 나물로 무쳐 먹음)
왕고들빼기 (상추처럼 쌈을 싸서 진한 양념을 곁들이면 좋다) 훌륭한 영양식품
원추리 (어린 잎을 데쳐서 나물로 무쳐먹음)
제비꽃 (봄나물감으로 으뜸, 약간 데쳐서 양념을 하여 먹음)
조뱅이 (어린 순을 따다가 나물로 무쳐 먹음)
질경이 (생명력이 강한 야생초로 싱싱한 잎을 쌈싸먹음, 또는 나물로 무쳐 먹음)
참당귀 (이른 봄에 나온 어린 잎을 따다가 나물로 무쳐 먹음)
위와 장에 좋은 냉이

봄나물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냉이는 그 향긋하고 독특한 향 때문에 싫어하는 사람이 없을 정도로 맛이 좋다.
특히 살짝 데쳐 된장을 넣고 버무려 먹는 그 맛은 둘이 먹다 하나가 죽어도 모를 정도. 야채 중에서 단백질 함량이 가장 많고
칼슘 철분이 풍부하고 비티민A가 많아 춘곤증 예방에도 그만이다. 냉이에 함유된 무기질은 끓여도 파괴되지 않으며
특히 푸른잎 속에는 비타민A가 많아 하루 100g만 먹으면 1일 필요량의 3분의 1은 충당이 된다
한방에서는 냉이를 소화제나 지사제로 이용할 만큼 위나 장에 좋고 간의 해독작용을 돕는다고 한다.
또 냉이 부리는 눈 건강에 좋고 고혈압 환자에게 냉이를 달여 먹도록 처방하기도 한다.
한약재로 쓰이는 달래


약간 쓴 듯한 쌉쏘름한 맛이 매력인 달래는 비타민C를 비롯해 갖가지 영양소가 골고루 들어있고
특히 칼슘이 많아 빈혈과 동맥경화에 좋다.
비타민C는 열에 약한데 달래는 주로 날 것으로 먹기 때문에 조리에 의한 손실을 막을 수 있고 식초를 곁들이면 비타민C가 파괴되는 시간이 연장되므로 달래 무침에는 식초를 치는 게 제격. 된장국에 넣으면 개운한 맛을 내는 알카리성 강장식품이다.
특히 한방에서 불면증 장염, 위염에 효과가 있다고 하며 자궁출혈이나 월경 불순 등 부인과 질환에 효과가 좋아 여성에게 좋은 음식으로 꼽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