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영동 월류봉둘레길 기점 : 충북 영동군 황간면 남성리 월류봉 광장
02.영동 월류봉둘레길 종점 : 충북 영동군 황간면 우매리 반야사
03.영동 월류봉둘레길 일자 : 2023년 09월02일(토)
04.영동 월류봉둘레길 날씨 : 구름 조금
05.영동 월류봉둘레길 거리 및 시간
06.영동 월류봉둘레길 지도
언젠가 백화산둘레길을 마치고 반야사 입구에선 본 월류봉코스, 오늘 그 유장한 코스를 섭렵하기 위해 월류봉광장에 차를 세운다. 남부와 달리 날씨는 오랜만에 쾌청한 편이다. 그래서인지 벌써 차량이 많다.
영동은 생각보다 볼 게 많아서인지 관광버스도 한 모퉁이를 차지한다. 저기 보이는 저것이 월류1봉이다. 오래 전에 올랐는데 뱀이 많더군
높지는 않으나 급경사의 봉우리 처럼 석천의 물굽이도 세차다.
저기 정면에 보이는 용연대에 서있는 정자, 매력적인만큼 사람의 손을 쉬 허용하지 않는다
그 때 왔을 땐 이런 조형물이 없었는데...
이제 월류봉 풍광을 누렸으니 길을 떠나야지
월류봉 둘레길을 잘도 안내하는군
몇 발자국 옮겨놓지 않았는데 우암선생 유허비가 있군.
8k 내내 평탄한 길을 걸어보자꾸나...전혀 스트레스 없는 길이니
어허! 용트림하고 하늘로 오르려는 저 산이 칼산이렷다. 그 뒤가 사군봉이고...
어느새 세월은 흘러 저렇게 벼가 고개를 숙이기 시작하니 광음자는 백대지과객이라...
저멀리 백두대간길이 보이는듯 한데....민주지산인가보다
도로 건너 원촌교를 걸어가며
상류쪽으로 잔도같은 데크길을 바라본다.
데크길에서 뒤돌아본 월류봉. 물색이 흐린 건 근래 내린 비로 정화가 덜 되어서이겠지
갈수록 백화산이 드러난다.
원정교에서 직진하기 보다는 좌측으로 걸어가면
이런 안내도가 서있다. 여름철엔 숲속이 낫지...
서서히 전모를 드러내는 백화산. 우측이 주행봉인듯하다. 저쪽은 2번 가보았으니 오늘은 그 밑에서 바라볼 뿐
숲이 우거진 데크길을 멍때리는 기분으로 걸어간다.
뱀같은 길은 휘어져 반야사로 들어가겠지
나무로 만들었다고 목교인가
이제 제법 석천이 광활해져 사방댐의 폭포처럼 흘러간다.
건너편 완정마을 느티나무는 새소리 물소리르 듣고 있겠지
민가 사이로 난 길에서 울타리가의 화초를 감상하고
먹이활동에 몰입해있는 호랑나무 꽁무니도 동심으로 바라본다.
이제 늪지대를 살짝 지나면서
바지를 걷고 살얼음을 걷듯이 징검다리를 걸어간다.
언제 나타났는지 일군의 탐방객이 익숙한듯 도하작전을 펼친다.
또 저 멀리 아수라이 보이는 사람은 누구뇨?
징검다리에서 본 우측 백화산 한성봉
이제 목적지도 코 앞이다.
여기 반야교에서 우린 좌측 다리를 건너간다.
중앙에 보이는 봉우리가 만경봉인듯하다.
백화산 주행봉 능선이 보인다.
제일 좋은 것은 상주 수봉리에서 시작해 월류봉까지 가는 게 가성비 적게 든다.
이 골짝 평상에서 중식을 하고 다시 작은 징검다리를 건너
대숲을 지나면
일전 겨울 상주 수봉리에서 걸어와 만났던 삼거리에서
저 잠수교를 건너면 곧 반야사이다.
저게 호랑이 너덜인가보다
물살은 급하게 어디론가 떠나간다.
반야사는 개울을 앞에 두고 사방이 산으로 둘러쌓여있다. 연꽃처럼 생긴 곳에 절이 있으니 방문객도 많다
여기까지 와서 문수전을 가보지 않는 것은 후회막급일 것이다.
경사가 급하긴해도 잠깐이다.
경사 오를 때 흐드러진 며느리밥풀을 응시하다보면 고된 줄도 모른다.
물론 강변 숲속에 숨어있을 백화산둘레길을 보는 맛도 좋다.
바람도 시원한 문수전 계단에서 시간의 구애를 받지 않고 저기 망경봉도 보고
주련도 읽으면서
어느 계절 건너왔던 개울도 바라본다.
다시 본절 마당에 와 황간면 택시(010-5466-4242)를 부르려고 전화기를 켜는 순간 택시가 마당에 도착한다. 아주 싼값(10000원)으로
월류봉광장에 되돌아왔다. 이제 영동관광에 나선다.
가까운 노근리로 간다. 텅빈 공간이다.
6.25 때 미군의 공격으로 민간인이 많이 학살된 곳이다. 쌍굴의 총알자국이 그를 증거한다.
이제 난계 박연 선생 생가로 간다.
그리고 난계사로
묘소도 가보고...고구려 왕산악,신라 우륵과 더불어 3대 樂聖이라는데...
그리고 마지막 와인터널에 갔더니 마감시간(5시30분) 지났다고 입장불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