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하(鹽河)에 흐르는 역사
덕포진에 부부의 정성을 담은..,"
"강화, 연미정(燕尾亭), 용진진(龍津鎭)
김포, 덕포진(德浦鎭), 교육박물관 탐방.,"
"*강화와 김포 사이에 있는 물길을 염하(鹽河)*라고 합니다.
한강과 임진강이 합수(合水)해서 서해로 흐르는 물길입니다.
병인얀요, 신미양요와 같은 외세의 침입에 강화와 김포의 방어진,돈대는
미국,프랑스 군대와 치열하게 싸웠던 곳이며, 그 격전지가 염하(鹽河)입니다.
강화와 김포 돈대에서 싸우다 숨진 영령들의 혼(魂)이 염화 물결 따라
오늘도 반짝반짝 빛나고 있습니다."
(강화 들어가는 입구~초지대교)

"인천 주위에서 찾아보면 역사의 흔적들이 곳곳에 산재해 있습니다.
*강화이야기*로 많은 강화 이야기를 *가페*에 올렸으며 오늘은 강화와 김포 사이의
*염하(鹽河)* 주위의 탐방 이야기입니다."
(강화대교와 문수산)

"초지대교를 건너 *초지진, 덕진진, 광성보,갑곶돈대*등 많은 돈대(墩臺)가
이어지는 해안(염하)를 따라 계속 북상하면 *강화대교*입니다. 오른쪽 강건너
문수산(김포)을 바라보며 길을 따라 가다보면 연미정(燕尾亭)에 닿게 됩니다."

(연미정 오르는 입구 조해루 : 朝海樓)

(조해루와 성곽)



(연미정이 자리하고 있는 성곽)

"연미정은 이 성곽 안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장무공 횡형 장군*께서 오위도총부총관에 이르는 30년 간을 남서북경을 침략하는
왜군과 여진족들을 물리처 국가를 보위 하신 후 공조판서를 역임하시고 낙향하셔서
거처하시던 쉼터입니다."

"이곳 월곶리는 임진강과 한강이 만나는 지점으로
서해와 인천으로 물길이 흐르는 모양이 제비꼬리(연미:燕尾) 같다하여
정자 이름을 연미정(燕尾亭)이라 하였다고 합니다."
(연 미 정 : 燕 尾 亭)~유형문화재 제24호

"강화 10경의 하나로 손꼽히는 절경을 이루는 곳으로
옛날에는 서해로부터 서울로 가는 배가 이 정자 밑에 닻을 내려
조류를 기다려 한강으로 들어 갔다고 합니다."

~(연미조범 : 燕尾漕帆)~
"연미정 높이 섰네 두 강물 사이에
삼남지방 조운 길이 난간 앞에 통했었네
떠다니던 천 척의 배는 지금은 어디 있나
생각건대 우리나라 순후한 풍속이었네"
(연미정에서 바라본 강화대교 방향)

"정묘호란 때 인조가 청나라와 굴욕적인 형제관계의
강화조약을 맺었던 곳이기도 합니다."
(한강과 임진강이 합수 하는 지점)

"북한땅이 보이는 이곳, 한강과 임진강이 만나
*염하* 라는 이름으로 강화와 김포 사이를 흘러 서해로 빠집니다."
(문수산과 산성)


(용진진 : 龍津鎭)~인천기념물 제42호

"조선 효종 7년(1656)에 쌓은 진(鎭)입니다."

"원래 병마만호 1인, 군관 24명, 사병 59명, 돈군 18명 도합 102명의 병력이
주둔하였으며 포좌 4문, 총좌 26개소의 시설물이 있었다고 합니다."

"석축 대부분이 없어지고 무지개 모양의 홍예문 두 곳만 남아있었는데
1999년 문루와 좌강돈대를 복원하였다고 합니다."


"김포에서 강화도를 들어가는 초지대교 옆에 대명포구가 자리하고 있습니다.
덕포진은 대명포구 뒤에 있습니다."
(대 명 포 구)

"대명포구에서 발걸음을 야트막한 뒷산으로 옮기면 숲길 어딘가에
덕포진 사적지 가는 안내판이 탐방객을 맞이 합니다. 대명포구에서 든든하게
배를 채운 뒤 많은 탐방객들이 쉬엄쉬엄 찾는 역사의 현장 덕포진입니다."

(덕포진 사적지 안내판)

(덕포진 조감도)


(덕포진 포대 안내판)~사적 제292호

"덕포진(德浦津)은 조선시대 해군 진영입니다.
옛날이나 지금이나 덕포진은 군사 지대입니다.
17세기 병자호란 때도 그랬고,19세기 병인양요와 신미양요 때도 그랬습니다.
지금도 덕포진에는 해안(해병)초소가 있습니다

(덕포진 "가" 포대)




(덕포진 "나" 포대)

"덕포진 포대 지붕을 따라 걸을 수 있는 산책길이 잘 조성되어 있습니다.
산책로 끝에 있는 돈대 터에는 해병대 초소가 있습니다."
(해안초소~손돌묘로 가는 길)

(덕포진 해안~해병대 초소)

"초소앞에 있는 이 해엽을 *손돌목(孫乭목)* 이라 부르는데, 강화해엽 중에서
가장 폭이 좁고 물살이 센 곳입니다. 자연지형을 이용한
천혜의 요새라 할 수 있습니다."
(손돌목 : 孫乭목)

"각각 김포와 강화 쪽으로 돌출된 지형인 *덕포진 돈대와 용두 돈대* 사이의
해엽을 *손돌목(孫乭목)* 이라 부릅니다."
(그림으로 본 손돌목)

(손돌묘 : 孫乭墓)


(손돌묘 설명판)

(덕포진에서 바라본 풍경)

"구 한말, 강화도를 바라보는 김포의 좁은 물길에서는전쟁이 두 번 벌어졌다.
고종 3년(1866) 9월 *병인양요* 때 프랑스군이 문수산성과 강화성을 공격해
많은 피해를 주고 철수 하다 이곳 덕포진에서 별관군 이기조가 이끄는 부대
요격을 받고 도주했으며,*신미양요* 때는 미국 해병대 공격을 격퇴했던 곳이다."
~~(덕포진 교육박물관 : 德浦鎭 敎育博物館)~~
***덕포진 교육발물관은 덕포진 사적지 가는 입구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바로 앞에는 덕포진 전시관이 함께 합니다.***
(은퇴한 두 부부교사가 세운 덕포진 교육발물관)

~~(덕포진 교육박물관 두 부부 이야기)~
"덕포진에 교육박물관을 세운 *김동선(75)과 이인숙(71)* 부부는
김포 덕포진에 삽니다.교사 부부였던 김동선과 이인숙은 그 관광지 덕포진에
교육박물관을 만들었습니다."

"1996년에 개관했으니 내년이면 24년입니다.
이름은 덕포진 교육발물관입니다."

"두 교사 부부는 1983년에는 은퇴하면 아이들 인성 교육하겠다며 덕포진에
헌 집도 마련했습니다. 행복했습니다. 1990년 아내가 출근길 교통사고에 기절했다가
눈을 뜨니 앞이 깜깜할 때 까지는...,"

"...,이인숙은 교통사고 후 앞을 보지 못하게 되었습니다.
어둠 속에서 살아온지 23년이 넘었습니다."

"아내가 눈을 잃은 후 두 사람은 사표를 내고 *평생 아이들을 가르치게 해주겠다*는
다짐을 했습니다.그래서 2년동안 두 아들과 함께 벽돌을 찍고 날라 만든게
덕포진 교육박물관 이었습니다."

"부부는 초등학교 교사였습니다.
박물관에 재현한 초등학교 3학년 2반 교실에서 남편 김동선은 역사 수업을 하고
아내 이인숙은 음학과 국어 수업을 합니다."

"박물관 1층에 남편은 아내가 마지막으로 가르친 3학년 2반 교실을 만들어
이인숙은 그교실에서 방문객들에게 풍금을 치며 동요와 시를 가르칩니다."

"학생들에게 들려줄 이야기를 위해새벽 4시면 박물관 안내 데스크에서
라디오를 듣습니다.카세트테이프에 녹음을 해서 듣고 또 들어 외웁니다.
외우고 있는 시(詩)만 150수가 넘는다고 합니다."

"덕포진 교육박물관을 찾는 사람들은 단체로 초.중,고 학생들, 유치원생들부터
일반 관광객들까지 많은 방문객들이 옛날 종소리와 함께
즐겁고 보람찬 시간을 보내고 갑니다."

~~(행복 : 幸福의 조건)~~
"옛날 사람들은 행복의 조건으로
검소하게 살면서 복(福)을 누리는 일을 말합니다.
*일은 완벽하게 끝을 보려하지 말고
세력은 끝까지 의지하지 말고
말은 끝까지 다 하지 말고
복은 끝까지 다 누리지 말라.*
절제에 행복이 깃들어 있음을 깨우쳐 주는 교훈입니다."
"청 풍 명 월~~연미정,덕포진,교육박물관 등 탐방............................................,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