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댄디 딘몬트 테리어 (Dandie Dinmont Terrier)
► 이 명 : 댄디 딘몬트 테리어(Dandie Dinmont Terrier)
► 외 관 : 댄디 딘몬트 테리어(Dandie Dinmont Terrier)의 크기는 체고 20~28㎝, 체중 8~11kg 정도되는 소형견이
다. 짧고 휜 다리와 굽은 허리, 둥근 머리와 큰 눈이 특징으로 본래 땅 속에 들어가게끔 만들어졌으며, 걸음걸이가 빠르다. 댄디 딘몬트 테리어는 길고 나지막한 사역 테리어로 몸의 외곽선이 꾸불꾸불하다. 눈에 띄는 머리는 우아한 꼭대기 장식을 지녔고, 개의 크기에 비해서는 큼지막하다. 진한 눈은 크고 둥글며, 온화하고 영리한 표정을 띤다. 튼튼하면서도 유연한 몸체와 초승달 모양의 꼬리는 약간 곱슬거리는 털을 지녔으며, 색은 겨자색이거나 후추색이다. 굵직한 뼈대와 잘 발달된 근육을 지닌 튼튼한 체형이지만 조잡하지는 않다. 털빛은 푸른빛이 도는 검은색으로부터 옅은 회색~옅은 갈색까지 다양하다.
► 설 명 : 댄디 딘몬트 테리어(Dandie Dinmont Terrier)는 사람들과 친한 대부분의 테리어와 같이 영리함과 보호 능력을 가지고 있지만 고집이 센 경향이 있다. 성격이 온화하고 겸손하며 총명하여 대담하며 독립심이 강하다. 영리하고 붙임성이 좋으며 주인에게 충실하다. 작은 몸집에 비하면 짖는 소리가 매우 크다. 따라서 집 지키는 개로서 알맞다. 물을 아주 좋아하는 특성이 있다. 머리가 좋아 아이들에게 인기가 있다. 예전에는 수렵도 하였으나 지금은 애완견으로 길러지고 있다. 테리어 계열의 견종 중에서도 운동량이 많지 않아서 실내 생활에도 잘 적응한다. 어린이부터 노인층까지 다양한 연령층에서 키울 수 있어서 영국 등지에서는 노년층의 외로움을 달래기 위한 반려견으로 많이 키우고 있다. 털은 그리 세심하게 손질할 필요는 없지만, 특히 눈에 띄게 부드럽고 비단결 같은 머리털을 강조하기 위해서는 가끔 빗으로 빗어 잡아당겨 주어야 한다. 명랑하고 사랑스러운 가족견인 댄디는 낯선 사람에게는 무관심하다. 이 개의 온화한 성격은 쥐잡이 개로서의 잠재된 본능과 좋은 대조를 이룬다. 평균 수명은 12~16년 정도이다.
► 주 의 : 튼튼하고 질병에도 비교적 강하지만 심장질환은 유전적인 측면에서 오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강아지 분양 시에는 유의할 필요가 있다. 이 외에도 이형성 탈구증에도 주의하여야 한다. 결막염이나, 백내장 등 눈 관련 질병들은 일반 다른 테리어와 마찬가지로 잘 걸리는 질병이라고 하므로 평소에도 주의해서 관찰할 필요가 있다.
명랑하고 영리하지만 고집이 세고 사회성이 떨어지므로 어릴 때부터 자주 다른 사람들과 만나게 해 주고다른 강아지나 동물들과 자주 어울리게 해 주어야 한다. 영리해서 교육도 잘 되는 편이며, 사회성만 길러주면 훌륭한 반견견이 될 수 있다.
식탐은 많은 편이 아니며, 오히려 노견으로 갈수록 식사를 하지 않아서 속을 썩이는 경우가 있을 정도이다. 개체에 따라서는 강한 식탐을 보이기도 하며, 이러한 개체는 철저한 식사량의 관리가 필요하다. 운동량이 많은 편은 아니지만 주인과 함께 산책을 하는 것을 아주 좋아하므로 매일 30분 정도의 가벼운 산책을 시켜주는 것이 좋다. 산책에 대한 스트레스는 크게 받지 않는다. 물을 아주 좋아하는 특성이 있으므로 여름철에는 물놀이를 할 수가 있도록 해 주면 좋아한다.
털 빠짐이 많은 편은 아니어서 세심하게 손질을 할 필요는 없지만 눈에 띄게 부드럽고 비단결 같은 머리털을 강조하기 위해서는 가끔 빗으로 빗어 잡아당겨 주면 예쁜 모습을 연출할 수 있다.고집이 센 경향이 있으므로 기본적인 훈련을 시켜야 멋진 반려견으로 함께 할 수가 있다. 운동량은 많은 편에 속하는 견종은 아니지만 주인과 함께 산책을 하는 것을 매우 좋아하므로 매일 30분 정도의 가벼운 산책을 시켜 주는 것이 좋다. 물을 아주 좋아하는 특성이 있기 대문에 여름철에는 물놀이를 시켜주면 매우 좋아한다.
► 기 원 : 댄디 딘몬트 테리어(Dandie Dinmont Terrier)는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 접경의 북부 지방 출신의 개로서 보더, 레이크랜드, 베드링톤 및 웰쉬 종과 뿌리가 같다. 푸른색과 적갈색의 억세고 부드러운 털이 곱슬거리며 섞여 있는 외피와 길게 드리워진 귀로 미루어 보아 이 견종의 조상은 베드링톤과 매우 가까운 친척인 듯 하다. 그러나 이 개만의 독특한 특징인 짧고 휜 다리와 둥글게 굽은 허리 및 둥근 머리와 커다란 눈은 그 외 여러 종의 하운드 및 발 빠른 견종들과의 교배가 있었음을 짐작하게 해준다. 표준 신체 치수는 높이가 반 정도 작은 데 비해 길이는 1~2인치 가량 작으므로 전체적으로 보아 몸이 길고 키가 그리 크지 않은 개이다.
► 비 고 : 댄디 딘몬트 테리어는 1987년 6월 24일자로 FCI(세계 애견연맹) 분류 그룹 3 테리어 그리고 섹션 2 소형 테리어 스텐다드 No. 168로 등록이 되었다. 이 외에도 세계 유수의 켄넬 클럽 및 각종 애견 단체에 대부분 등록이 되어 있다.
► 참 고 : 댄디 딘몬트 테리어(Dandie Dinmont Terrier)는 1600년대에 체비오트 힐과 코켓대일 근방에서 수달피와 오소리 사냥개로 개발되었다. 이 개들의 대부분은 알란가와 같은 그 지방의 몇몇 가문에서만 소유하였다. '파이퍼'라는 별명을 가졌던 월리 알안(1704년 사망)은 뛰어난 댄디 디몬트 한 무리를 소유하고 있었으며, 그 어떤 귀찮은 제안에도 이 개를 팔지 않았다. 그의 아들들과 손자들도 이러한 전통을 계승했으나, 가끔 몇 마리를 친구에게 선사하거나 호감을 얻기 위해 선물하기는 했다. 그 중 소작농이었던 존 데이빗슨은 한 쌍을 얻어 이들을 번식시켰다.
이들 및 이와 비슷한 견종들과 더불어 수달피 사냥 테리어들은 특별한 이름이나 혈통없이 이 지역 전반에 드문드문 퍼져 번식되었다. 그러던 중 월터 스코트 경이 여행 중 이들을 우연히 만나게 되었다. 그는 그의 소설 "가이 매너링(Guy Mannering, 1814)에서 이 개들에게 불후의 명성을 가져다 주었다. 이 소설에서 등장 인물들 중의 한 사람인 댄디 디몬트라는 이름의 농부(데이빗슨을 모델로 그린 인물)는 이 견종을 길렀다.
스코트는 디몬트의 유명한 여섯 마리의 개들의 모습을 '올드 페퍼(늙은 후추)', 올드 머스타드(늙은 겨자)', '리틀 페퍼(어린 후추)', 그리고 '리틀 머스타드(어린 겨자)' 등으로 묘사했으며, "이들 털이 있는 짐승은 그 어느 것도 두려워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그 이후로 이 견종은 댄디 딘몬트의 테리어로 알려지게 되었다. 프랑스의 푸리 필립 왕은 1840년대에 댄디 한 쌍을 소유했었다.
□ 공식 견종 표준
► 외형 : 댄디 딘몬트 테리어의 크기는 체고 20~28㎝, 체중 8~11kg 정도되는 소형견 내지는 중형견으로 암수의 크기는 비슷한 편이다. 특수목적 사냥개 그룹인 테리어 그룹에 속한다. 아주 민첩하고 걸음걸이가 빨라서 쥐를 아주 잘 잡았으며, 중요한 식량을 쥐로부터 지켜왔다. 지금은 주로 반려견으로 많이 길러지고 있다. 외모는 머리가 크고 실크 같은 털이 아름답게 덮여 있는 독특한 모습이다. 서로 멀찍이 떨어진 두 눈에서는 영리한 인상이 느껴진다. 체고가 낮아서 전체적으로는 족제비와 비슷하며, 다리는 짧고 튼튼하다. 꼬리는 초승달 모양을 하고 있어 특이하다. 털은 길어서 머리, 등, 꼬리의 털은 언뜻 보면 가발로 보이며, 억센 털과 부드러운 털이 섞여 있다. 피모는 날씨 변화를 잘 견디게 하는 특징이 있다.
► 머리 : 머리는 단단하고 크지만 체구와 균형이 잘 맞는 편이며, 근육이 두드러지게 발달한 편이다. 특히 턱에 근육이 상당히 많은 편이다. 두개골은 넓적하고 눈 쪽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며, 두 눈 사이부터 후두부까지 길이가 양쪽 귀 사이 거리와 거의 동일하다. 머리 윗면은 뚜렷한 반구(돔)형이며, 아주 부드럽고 실크 같은 느낌의 털로 탑 노트(top knot)로도 불리는 관모가 형성되어 있다. 머리의 나머지 부분에도 그와 같은 질감의 털이 덮여 있다. 스톱은 명확하게 구분된다.
• 코 : 코는 적당히 크고, 검정색 혹은 어두운 색이다.
• 입 : 주둥이는 그 길이와 머리 길이의 비율이 3:5 정도이며, 주둥이 윗부분에는 삼각형 무늬가 있는데 이 부위에는 털이 없고 삼각형은 눈 쪽을 가리킨다. 주둥이의 너비는 약 2.5㎝ 정도이며, 볼은 세로가 길고 탄탄한 주둥이 쪽으로 너비가 점차 좁아지는 형태가 나타난다. 턱은 튼튼하며, 이빨은 구성이 완전하게 갖추어져 있고 가지런히 배열된 이빨은 윗니가 아랫니를 덮고 단단하게 맞물리면서 턱과 정사각형이 되는 협상교합이다. 이빨은 매우 튼튼하고, 특히 송곳니는 자그마한 체구에 비해 굉장히 큰 편이며, 양쪽 어금니가 충분히 떨어져 있어서 물어뜯는 힘이 강력하다. 입 안쪽은 검은색이거나 짙은 색이어야 한다.
• 눈 : 눈 눈은 깊고 짙은 녹갈색(rich dark hazel)이다. 미간은 멀고, 눈은 머리에서 다소 아래쪽에 자리하고 있다. 눈은 크고 동그란 모양이며, 눈빛이 반짝이는 편이지만 돌출되지는 않아야 한다. 눈 테두리는 짙은 색이다.
• 귀 : 귀는 아래로 길게 늘어뜨리고 있고, 뒤로 충분히 젖힌 형태로 양쪽 귀 사이의 간격이 넓으며, 두개골의 낮은 곳에 위치하고 있다. 귀는 뿌리 부분이 아주 약간 튀어나온 편이며, 볼 가까이까지 내려온다. 귀는 뿌리가 넓고 끝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진다. 귀 앞면은 귀 끝까지 거의 일직선으로 이어지며, 연골과 피부 모두 매우 얇은 편이다. 귀의 길이는 7.5~10㎝ 정도이다. 귀의 색은 모색과 잘 어울려야 하며, 모색이 페퍼색인 경우에는 귀에 난 털의 색이 짙고(일부 경우 거의 검은색에 가까운 색) 부드러운 직모로 구성되며, 모색이 겨자색(mustard)인 경우에는 귀 털은 모색보다 짙은 겨자색이며 검은색이 아니어야 한다. 두 가지의 경우 모두 귀 끝에서 5㎝ 정도 떨어진 지점에서부터 옅은 색의 길고 얇은 털 모색과 동일한 색 및 동일한 질감으로 자라서 머리 윗면에 다발(탑 노트)을 형성하고 있다. 특히 이 부분이 귀에서 두드러지는 특징이지만 생후 2년이 되기 전에는 탑 노트가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다.
► 목 : 목은 근육이 상당히 발달한 편이며, 굵고 탄탄하여 강한 힘이 느껴진다. 목은 어깨와 탄탄하게 연결된 모습을 하고 있다.
► 몸통 : 몸통은 길고 튼튼하며, 유연하다. 등은 어깨 부위에서는 등의 높이가 다소 낮은 편이며, 비스듬한 곡선을 그리며 이어지다가 허리 부근에서 아치형으로 굽어진다. 허리 맨 윗부분에서 꼬리가 시작되는 부분까지는 완만한 곡선을 그리며 다시 비스듬하게 내려간다. 가슴은 아주 잘 발달되어 있고, 앞다리 사이에 보기 좋게 내려와있다. 흉골에는 근육이 많이 발달한 편이다. 허리는 잘 발달되어 있으며, 두 앞다리 사이로 깊이 이어져 있다. 늑골은 둥글게 충분히 휘어져 있다.
► 꼬리 : 꼬리의 길이는 20~25㎝ 정도이며, 꼬리 뿌리 부분은 굵은 편이고 뿌리부터 약 10㎝까지 더 두꺼워지다가 꼬리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진다. 꼬리의 밑동은 엉덩이 위로부터 아주 조금 아래로 내려간 지점부터 이어진다. 꼬리는 어떤 식으로든 비틀어지거나 말려 있지 않아야 하며, 초승달처럼 곡선이 구부러진 형태이다. 흥분하면 꼬리 끝이 꼬리 뿌리와 직각을 이룬다. 엉덩이에서 꼬리가 시작되는 위치는 너무 높지도 낮지도 않아야 하며, 평상시에는 꼬리를 등선보다 약간 더 높게 들고 있다.
► 사지 : 앞다리의 길이는 짧고 근육과 뼈가 상당히 크게 발달한 편이다. 두 다리의 간격이 멀고 그 사이로 가슴이 깊이 이어져 있다. 휘어진 다리는 매우 부적합한 요소로 평가되며, 어깨가 뒤로 충분히 젖혀진 편이지만 육중한 느낌이 없어야 한다. 전완은 가슴선과 평행하다. 앞발은 서 있을 때 방향이 똑바로 정면을 향하거나 약간 바깥쪽을 향하고 있다.
뒷다리는 앞다리보다 조금 더 길고 두 다리 간격이 넓은 편이지만 부자연스러울 정도로 멀리 떨어지지는 않았다. 허벅지는 잘 발달되어 있고, 무릎은 충분히 굽어 있다. 비절은 바닥 쪽으로 낮게 내려간 형태이며, 며느리발톱이 있는 경우에는 제거하는 것이 관례이다. 뒷발은 둥글고 패드가 두툼하며, 뒷발은 앞발보다 작은 편이다. 발톱은 짙은 색이지만 모색에 따라 색조가 다양하다. 발이 평평하거나 활짝 펼쳐진 형태인 경우에는 매우 부적절한 요소로 평가된다.
► 털과 색 : 털은 본 견종의 매우 중요한 특성 중 하나에 속한다고 할 만큼 중요하다. 털은 이중모 구조이며, 하모는 부드러운 털이 보푸라기처럼 자라고 상모는 그보다 굵은 털로 형성되지만 만져보면 억센 느낌보다는 빳빳한 느낌이 강하다. 등 부위에 털이 헐벗은 것처럼 숱이 크게 감소하지 않아야 한다. 전체적으로 털이 피부에 연필처럼 일자로 누운 형태로 자라며, 부드러운 하모가 굵은 상모 사이로 드러나 있다. 앞다리에는 약 5㎝ 정도 길이의 긴 털이 나 있으며, 꼬리 윗부분은 뻣뻣한 털로 덮여 있다. 꼬리 아랫부분에는 그보다 부드럽고 덜 뻣뻣한 털이 깔끔하게 자란다.
모색은 겨자 색(밝은 황갈색), 후추 색(주황색), 푸른색과 적갈색을 가진 개체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다양한 모색이 존재 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모색의 제약도 어느 정도는 받는다. 후추색은 진한 청흑색부터 연한 은회색의 범주이며, 중간 음영이 들어 있는 개체들이 선호가 된다. 머리꼭대기와 귀의 가죽은 은백색으로 색깔이 연할수록 더 좋다. 겨자 색을 가진 개체는 다리와 발의 털은 황갈색이어야 하며, 몸체의 색깔에 따라서 진한 황갈색부터 아주 희미한 황갈색까지 다양한 색상이 다 허용이 된다. 겨자 색으로 분류가 되는 개체는 붉은 갈색부터 희미한 황갈색까지 다양하며. 머리꼭대기와 귀 가죽은 크림색 계통의 흰색을 가진 개체들이 일반적이다. 다리와 발의 털은 머리 꼭대기보다 더 진한 음영이어야 좋은 겨자 색의 모색 종으로 인정이 된다. 후추 색을 가진 개체는 두 가지 색깔 모두 몸체 색깔이 어깨와 엉덩이로 보기 좋게 흘러가며, 다리 색깔과 점차 뒤섞이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몸체의 아래부위의 털은 몸체 위의 색깔보다 더 연한 경우가 일반적이다. 겨자 색을 가진 개체나 후추 색을 가진 개체 모두 주둥이의 털(턱수염)은 머리꼭대기보다 조금 더 진해야 하며, 귀의 색은 몸체의 색깔과 조화를 이루어야 좋은 모색을 가진 개체로 인정을 받는다. 꼬리의 위쪽은 몸체 색깔보다 더 진한 음영인 반면에 꼬리의 아래쪽은 다리보다 더 연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보통 가슴에 약간의 흰색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청색이나 황갈색으로 분류가 되는 개체들은 겨자색이나 후추색상에서 등 부위가 회색이 진하여 푸른빛을 뛰는 경우와 황갈색을 뛰는 개체들이며, 완전한 또 다른 색상은 아니다.
► 걸음걸이 : 걸음걸이와 움직임은 뒷다리에서 힘을 얻어 힘차게 일직선으로 이동하며, 앞다리를 멀리 뻗으면서 유연하고 자연스럽게 걷는다. 걸음걸이가 뻣뻣하거나 부자연스러운 경우, 껑충껑충 뛰는 경우, 비틀거리는 경우에는 매우 부적절한 요소로 평가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