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징종목 | 이슈요약 |
SG (255220) 1,965원 (+29.96%) | 정부, 폐자원 재활용 순환경제 프로젝트 추진 소식 속 친환경 슬래그 아스콘 공급 사실 부각 등에 상한가 |
▷일부 언론에 따르면, 정부가 철강, 배터리 등에서 나오는 부산물로 폐자원을 재활용하는 순환경제 9대 선도 프로젝트 선정해 ‘CE(순환경제) 9 프로젝트’를 추진키로 한 가운데, 동사가 친환경 슬래그 아스콘을만들어 공급한 사실이 부각되는 모습. 동사는 지난해 10월 취득한 ‘제강슬래그 골재 특성을 활용한 아스팔트 도로포장공법’으로 국내 한 물류센터 도로포장에 공급 중인 것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제강슬래그 골재 특성상 고강도 도로를 만들 수 있다”며 “물류센터의 경우 하중이 큰 차량 이동이 많아 일반 아스콘보다 높은 강도의 아스콘이 필요하다”고 밝힘. 이어 “물류센터 이외에도 항만, 부두 인접 도로, 버스전용차로 등 대형 차량이 주로 오가는 도로부터 아스콘이 쓰이고 있다”며 “향후 일반도로에 사용되는 아스콘도 대체할수 있을 거로 본다”고 설명. |
엑스페릭스 (317770) 15,150원 (+29.93%) | 무상증자 권리락 효과 발생에 상한가 |
▷전일 장 마감 후 무상증자로 인한 권리락 효과가 금일 발생한다고 공시. 기준가격은 11,660원임. |
신한제7호스팩 (366330) 6,350원 (+29.86%) | 스팩소멸합병 예정 기업 코어라인소프트, 합병 증권신고서 제출 속 상한가 |
▷코어라인소프트는 언론을 통해 동사와의 합병을 위한 증권신고서를 금융위원회에 제출했다고 밝힘. 합병형태는 스팩소멸 방식 흡수합병으로 이뤄지며, 코어라인소프트가 존속법인으로 합병상장을 신청, 코스닥시장에 상장할 계획임. 양측의 합병비율은 1대 0.1878679임. ▷한편, 코어라인소프트는 2012년 설립한 인공지능(AI) 기반 영상의료 솔루션 전문기업이며, CT영상 분석 및 검진에 특화된 ‘AVIEW’ 솔루션을 기반으로 한 ‘AVIEW LCS(폐결절 검진 솔루션)’, ‘AVIEW CAC(관상동맥 석회화 검진 솔루션)’, ‘AVIEW COPD(만성폐쇄성질환 검진 솔루션) ’ 등 솔루션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음. ▷김진국 코어라인소프트 대표는 "코어라인소프트는 국내 최고 수준의 CT 영상 분석 및검진 AI 솔루션 기술력을 보유한 의료 AI 선도기업"이라며, "향후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는 글로벌 의료 AI 시장을 선도하기 위해 지속적인 기술 고도화 및 솔루션 개발에 주력할 것"이라고 밝힘. |
큐라클 (365270) 10,420원 (+18.14%) | 궤양성대장염 신약 후보물질 'CU104' 美 FDA 2a상 IND 승인 소식에 급등 |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중증도 내지중증 궤양성 대장염에 대한 CU104의 제2상 임상시험계획승인결정(IND) 공시. 이번 임상은 중증도 내지 중증 궤양성 대장염 환자를 대상으로 CU104의 유효성과 안전성을 평가하는 무작위배정, 이중눈가림, 위약대조, 다기관 제 2상 임상시험으로, 총 45명의 시험대상자를 통해 진행할예정이며 예상 종료일은 2026년 3월 31일임. ▷한편, 동사는 이번 미국 FDA IND 승인을 시작으로 유럽과 한국에서도 IND 승인을 받은 뒤다국가 임상시험에 본격 진입할 계획임. |
지오릿에너지 (270520) 12,840원 (+9.28%) | 엑스트라릿, 배터리 등급 리튬 추출 글로벌 테스트 실시 소식에 급등 |
▷동사는 언론을 통해 지난 4월 지분을 취득한 이스라엘의 엑스트라릿이 하반기 중 이스라엘, 요르단, 터키, 캐나다, 미국 등에서 파일럿 플랜트 테스트를 실시할 예정이라고 밝힘. 계획은 5~10kg의 배터리 등급의 탄산 리튬을 제조하는 능력 시연이 포함됐음. ▷엑스트라릿은 지난 4월 이스라엘 에너지부로부터 직접리튬추출(DLE) 기술을 인정받아 100만달러의 보조금을 지원 받았으며, 보조금은 오는 9월 가동을 목표로 이스라엘 사해에 설치되는 파일럿 플랜트 건설에 사용될 예정. 또한, 오는 7월 요르단 마그네시아 지역의 파일럿 플랜트도 가동될 예정임.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현재 미국 지열발전소 인수를 위해 실사를진행 중"이라며, "지열발전소 인수가 완료되면 엑스트라릿 기술을 적용한 파일럿 플랜트를 운영할 예정"이라고 밝힘. ▷한편, 동사는 지난 4월 리튬사업 전략적 제휴를 통한 사업확장을 목적으로 XtraLit Ltd. 주식 750,000주를 194.31억원에 신규 취득키로 결정한 바 있음. 취득후 지분비율은 29.88%임. |
EDGC (245620) 1,567원 (+8.82%) | DNA 시각화 기술 특허 출원 소식 속 강세 |
▷동사는 언론을 통해 DNA를 시각화해 보여주는 기술인 'DNA 시각화 방법, 그로부터 제조된 시각화된 DNA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에 대한 특허를 출원했다고 밝힘. 이번 기술은 기존에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려웠던 DNA를 시각화한 것은 물론, 일상적인 환경에서도 장기 보관할 수 있다는 것이 특징이라고 전해짐.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이번 특허로 DNA를 포함한 상품 개발 및 개인의 DNA 소지가 용이해질 것이다”며, “개인의 신원확인, 추모 제품 및 유품 제작에 이용 가능하고 패션 분야를 포함한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도 활용될 수 있을것이다”고 밝힘. |
현대이지웰 (090850) 7,880원 (+7.95%) | 저평가 분석 등에 강세 |
▷대신증권은 동사에 대해 올해 컨센서스 매출액은 1,291억원, 영업이익은 218억원, 순이익은 181억원으로 P/E 9.5배 수준이라며, 컨센서스 기준밸류에이션 최하단 위치에 있다고 분석. 18년 매출액 730억원에서 지난해 매출액 1,124억원으로 역성장 없이 꾸준히 성장했음에도 현재 밸류에이션은 P/E 밴드 최하단 수준이라고 설명. ▷아울러 사무기기 같은 총무성 비용과 관련한 사업으로 사업영역 확장중이며, 경조화한, EAP, 상조, 웨딩 등 분야 확대에 따른 매출 확대가 나타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언급. 인수한 벤디스의 경우, 월 거래액 150 ~ 160억원 정도가 BEP 달성 금액으로 23년말쯤이면 BEP 달성이 가능할 것으로 분석. |
디에이테크놀로지 (196490) 5,280원 (+6.67%) | UAM 배터리 사업 확대 기대감에 강세 |
▷동사는 언론을 통해 21일부터 22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무인이동체산업엑스포(UWC 2023)에서 UAM 배터리팩을 기반으로 다수의 미래모빌리티 전문 기업들과 미팅을 진행했다고 밝힘. 이에 따라 사업영역 확장의 일환으로 추진한 항공용 이차전지 사업에서 가시적인 성과를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음. ▷아울러 동사는 eVTOL(수직이착륙기) 제조 스타트업 브이스페이스와 추진하고 있는 UAM(도심항공교통) 등 항공용 이차전지 사업도 확대한다는 계획임. ▷동사 관계자는 "전세계적으로 UAM 시대가 2025년부터 시작돼 2030년대에는 상용화가 본격 이뤄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며 " 잠재력이 큰 시장인 만큼 동사는 기존에 보유하고 있는 배터리 관련 기술력을 기반으로 항공용 이차전지 사업 확대에 주력하고 있다"고 밝힘. |
카이노스메드 (284620) 4,830원 (+5.69%) | 향후 파킨슨병 치료제 임상 결과에 따른 기업가치 상승 기대감 등에 상승 |
▷한국IR협의회는 동사에 대해 가장 주목되는 후보물질인 파킨슨병 치료제 관련 현재 미국에서 임상2상을 진행중이며 향후 유효성 데이터 발표시 기업가치 상승에 긍정적일 것으로 전망. ▷아울러 에이즈 치료제는 중국 파트너사를 통해 중국 시장에서 판매되어 로열티가 매출 인식되고 있으며, 향후 유럽 시장으로의 진출도 계획 중이라고 언급. 올해 에이즈 치료제 로열티 증가로 매출액 8억원을 시현할 것으로 전망되며, 내년에는 13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
보로노이 (310210) 49,400원 (+4.77%) | 비소세포폐암 치료제 등 주요 파이프라인 기대감 등에 상승 |
▷한국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상장 이전부터 다수의 물질을 글로벌 제약사에 기술 수출한 바 있으며, 전임상 단계에서 수출된 만큼 계약의 규모는 크지 않으나, 성장성 및 추후 유입될 마일스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밝힘. 가장 앞선 개발단계에 위치한 파이프라인은 미국 Oric사에 수출된 비소세포폐암 치료제 VRN07으로, 현재 임상 1상이 진행 중이며 2023년 하반기 중 예정된 학회에서 임상 중간결과 발표가 예정되어 있다고 밝힘. ▷아울러 가장 주요한 파이프라인인 VRN11은 변이 및 내성 발생 비소세포폐암 환자를 대상으로 개발 중이라고 밝힘. 연내 아시아 임상 1상 IND가 예정되어 있으며, 하반기 중 학회에서 전임상 효력 결과를 발표할 것으로 예상. 특히, 긍정적인 효력 결과를 예상하며 주가 상승의 모멘텀으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힘. |
원익QnC (074600) 29,000원 (+4.32%) | 실적 안정성 확보 및 고성장 전망 등에 상승 |
▷신한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자회사 모멘티브의 제품 가격 상승으로 실적 호조가 지속됐고, 국내외 반도체 장비 업체 및 비메모리向 쿼츠 매출 확대로 실적 체력을 확보했다고 밝힘. 또한, 소부장 반도체 업체 內 안정적 실적 성장이 가능한 업체로 도약했다며, 과거와 달리 비메모리向 쿼츠 매출 비중은 약 20%까지 늘어나며 포트폴리 오 다변화에 성공한 점이 밸류에이션 리리에팅(PER↑)이 기대되는 이유라고 밝힘. ▷아울러 2023년 안정적 실적을 기반으로 2024년 고성장이 기대된다며, 수요 회복시 성장은 더욱 가속화 될 수 밖에 없다고 언급. 또한, 자회사와의 시너지를 통한 수직 계열화 성공도 주목할 포인트라고 설명.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40,000원 -> 43,000원[상향] |
알피바이오 (314140) 10,980원 (+3.58%) | 올해 매출액 호조 전망 등에 상승 |
▷한국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의약품 수주잔고 증가로 의약품 생산 공장이 풀가동되고 있으며, 올해까지 납품할 수주잔고가 921억원이라는 것을 감안할 때 올해 의약품 생산 매출액은 최소 921억원(+70.4% YoY)을 기록할 전망. ▷아울러 동사는 오메가3, 루테인, 유산균, 멀티비타민, 비타민D 등을 주로 생산하며 건강기능식품은 2~3개월의 리드타임으로 주문이 접수되어 의약품보다 제품 회전이 빠르다고 설명. 수주현황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작년 건강기능식품 부분 매출 828억원만 유지된다면 의약품 매출을 포함한 올해 총매출은 1,749억원(+26.6% YoY)에 달할 것으로 전망. |
라이프시맨틱스 (347700) 5,220원 (+3.57%) | 지속적인 수익 창출 가능한 플랫폼 보유 사실 부각 등에 상승 |
▷한국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지속적인 수익 창출이 가능한 플랫폼을 보유하고 있다고 언급. 이와 관련, 지난해 기준 동사의 매출액 대부분은 라이프레코드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라이프레코드는 개인 건강 기록(PHR)의 처리 및 활용을 가능하게 하는 클라우드 기반 기술 플랫폼이라고 밝힘. 라이프레코드는 서비스 구축 관련 컨설팅부터 커스터마이징, 고도화, 운영 관리 수수료까지 지속적인 사후 관리가 필요한 플랫폼이기 때문에 지속적인 수익 창출이 가능하다고 설명. ▷아울 러 동사는 네이버 클라우드와 함께 동남아 원격 의료 시장에 진출하여 새로운 수익처를 발굴 중이라고 언급. 올해 3월에는 태국의 민간 상급 종합 병원인 라마9과 MOU를 체결했으며 라마9 병원에게 기존 비대면 진료 플랫폼인 닥터콜에 AI 기반 질환 예측 서비스인 하이를 탑재한 하이닥터콜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 동남아에서 인지도 높은 메신저인 네이버 라인에서도 닥터콜서비스 사용이 가능한 만큼 다른 동남아 지역 병원들과 추가로 계약을 체결할 가능성 또한 높다고 설명. |
지더블유바이텍 (036180) 723원 (+3.43%) | 美 디스커버리 라이프 사이언스 제품 독점 브랜드 계약 체결 소식 등에 상승 |
▷동사는 언론을 통해 바이오 시료 및 바이오 마커 전문 기업 디스커버리 라이프 사이언스(Discovery Life Sciences)와 Gentest ADME/Tox 제품 국내시장 공급을 위한 독점 브랜드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힘. 이번 계약을 통해 동사는 국내 신약 연구 및 개발 분야에 더욱 진보된 비 임상 시험과 관련한 혁신적인 솔루션을 제공할 예정이며, 또 약물 대사 및 독성 연구 분야에서 기대 이상의 성과 향상도 기대하고 있다고 밝힘. ▷동사 관계자는 "이번 계약 체결은 디스커버리의 국내시장 진출에 있어 중요한 이정표"라며, "자사는 국내에서 30년 이상의 경험과 노하우가 축적된 바이오 생명과학 기업으로 이번 계약을 통해 Gentest ADME/Tox 제품을 국내 고객에게 보다 광범위하고 전략적인 제품과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힘. |
고바이오랩 (348150) 11,060원 (+3.17%) | 인체 마이크로바이옴 유래 간손상 치료소재 관련 日 특허 등록 소식에 상승 |
▷동사는 금일 언론을 통해 인체 마이크로바이옴 유래 간손상 치료 소재에 대한 일본특허가 등록되었다고 밝힘. 이와 관련, 자체 보유한 루미노코쿠스(Ruminococcus spp.) 속기능성 균주를 활용하여 인슐린저항성을 가지는 환자의 간 손상 개선 효과를 확인했고, 해당 조성물은 혈중 ALT, AST농도를 감소시키고 맹장 내 2차 담즙산 농도를 증가시키며 섬유성 유전자 발현을 크게 감소시켰다고 설명. ▷동사 관계자는 "본 소재는 동사의 대사 질환 파이프라인에 대한 글로벌 권리 확보에있어 중요한 치료제 후보"라며 "향후 NALFD 치료제 개발에 본격적으로 나설 것"이라고 밝힘. |
에이트원 (230980) 1,135원 (+2.62%) | 선문대 AI 학사정보 시스템 개발 수주 소식에 소폭 상승 |
▷동사는 언론을 통해 선문대학교의 ‘학생 친화적 AI 학사정보 시스템 개발’ 사업을 수주하고 웹3.0 전문기업으로 도약을 가속화하고 있다고 밝힘. ▷이번 학사정보시스템 개선프로젝트 수행을 통해 선문대 학사 운영의 효율성과 사용자 편의성이 동시에 증진되는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며, 수강 시간표데이터 수집 후 학생별 가이드정의 및 설계, 사용자별 로그 데이터 분석을 통한 신규 AI 메뉴 시스템 구축, 인공지능 빅데이터 활용한 학생중도 이탈 예방 기능 등 최신 기술들이 적용될 예정임. ▷이진엽 대표는 "이번 선문대 프로젝트 수주를 시작으로 2조원 디지털 학사시스템 시장에 과감히 도전해 디지털 전환 분야의 시스템 통합 역량강화와 더불어 지속적인 매출성장을 이어 나가겠다"고 밝힘. |
라이콤 (388790) 3,475원 (+1.76%) | 세계 최대 규모 레이저산업 전시회 참가 속 유럽 자율주행 시장 진출 추진 소식에 소폭 상승 |
▷동사는 금일 언론을 통해 유럽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규모 레이저산업 전시회 중 하나인 '레이저 월드 오브 포토닉스(LASER World of PHOTONICS)'에 참가한다고 밝힘. 최근 테슬라 파트너사인 미국의 L사에 자체 개발 자율주행 라이다 레이저의 테스트용 초도물량을 납품한 데 이어 이번 전시회 참가를 통해 유럽 자율주행 시장 진출을 추진하는 것으로 알려짐.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펄스드 파이버 레이저는 동사가 국내 기업 최초로 자율주행용 라이다 레이저 센서로 상용화한 제품"이라며, "최근 글로벌 선두 자율주행 라이다기업을 통해 북미 시장에 테스트 초도 물량을 공급했으며, 자율주행 분야 적용 확대를 위해 유럽의 라이다 기업들에게도 관련 제품을 적극 홍보하고 새로운 고객사를 발굴할 예정"이라고 밝힘. 이어 "이번 전시회를 기점으로 유럽의 여러 자율주행 라이다 기업들과 네트워크를 구축할예정"이라며, "자율주행 뿐 아니라 보다 다양한 산업 분야에 동사의 레이저 관련 기술이 유럽에서 확산될 수 있도록 비즈니스 파트너링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덧붙임. |
라이온켐텍 (171120) 11,760원 (-2.73%) | 불성실공시법인 지정에 소폭 하락 |
▷전일 장 마감 후 공시불이행(수시공시의무 관련사항 등 공정공시 미이행)으로 불성실공시법인 지정 공시. |
아이큐어 (175250) 3,045원 (-2.87%) | 약사법 위반으로 제조업무정지 처분에 소폭 하락 |
▷동사는 언론을통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약사법 위반에 대한 제조업무정지 처분을 받았다고 밝힘. 동사는 셀트리온과 제일헬스사이언스가 판매하는 각각의 제품을 수탁생산하는 과정에서 기준서를 미준수해 제조업무정지 처분 대상이 됐으며, 이달 말부터 15일간 전체 제조업무가 정지될 예정. ▷해당 품목은 셀트리온의 ‘도네리온패취87.5mg’ 및 ‘도네리온패취175mg’ 및 제일헬스사이언스의 ‘제일탑첩부제’와 ‘제일롱파프플라스타’ 등이며, 각 품목별로는 1~3개월 제조업무정지를 받았음. ▷이영석 대표는 "불미스러운 일이 일어나 고객사 및 주주 여러분들에게송구스럽다"며, "재발 방지를 위해 제약 공장 업무 시스템을 강화하고 공장장을 신규 채용했으며 품질관리 체계를 개선했다"고 밝힘. 또한 " 이번과 같은 과오가 다시 반복되지 않도록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