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동본 : 전형필본
1. 원본(原本, 漢文本, 解例本)
① 안동본 : 전형필본
전권 33장 1책의 목판본. 총 33장 3부로 구성하였는데
제1부는 훈민정음의 본문을 4장 7면으로 하여 면마다 7행 11자씩, (406(한문 366 정음 40)
제2부는 훈민정음해례를 26장 51면 3행으로 하여 면마다 8행 13자씩,(4383(한문 3857 정음526 )
제3부는 정인지의 서문을 3장 6면에 1자 내려싣고, 그 끝에 ‘정통 11년’(1446)이라 명시였다.(548)
② 상주본
2. 언해본(諺解本)
① 희방사본(喜方寺本=月印釋譜) 그외
--------------------------------
해례본으로 통칭하는 판본(板本)의 종류는 1940년 안동에서 발견된 것과 2008년 상주에서 발견된 것 등 2종이 존재한다.
안동본은 1940년 무렵 까지 경상북도 안동군 와룡면의 이한걸 가문에 소장되어 있었다고 한다.
그의 선조 이천이 여진을 정벌한 공으로 세종이 하사했다고 한다.
표지 2장에 본체 33장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가로 20센티미터, 세로 32.3센티미터 크기이고, 처음 두 장이 망실되었는데 연산군이 기훼제서율(棄毁制書律)을 피하기 위한 것이었다고 한다.
훗날 이것을 입수한 전형필은 6․25전쟁 때 이 한권을 오동상자에 넣고 피란을 떠났으며, 잘 때도 베게삼아 잤다고 한다. 상주본은 2008년 8월 집수리 과정에서 발견되었으며, 세 장이 훼손된 상태이다.
훈민정음(원본).hwp
25.00KB
한문해례본에 근거하여 사용된 글자가 총 5337자라고 한다.
즉, 예의편’은 총 45문장 406자로, ‘해례편’정인지는 397문장 4931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해례본 전체는 모두 442문장 5337자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표지는 한문 訓民正音과 정음의 훈민정음으로 이중자로 구성되고 마지막의 장에도 한문으로 訓民正音의 자가 있다.
5349( 훈민정음 초글자총수)= 570(정음)+ 4779(한문)
8(제목)+406( 예의)+4383( 해례)+552(정인지소)
5349( 훈민정음 초글자총수)= 570(정음)+ 4779(한문)
5349= 8(대제목)+ 4(소제목) + 5337
5349= 8(대제목)+ 4(소제목) + 5333+ 마감글(4)
5349= 8(대제목)+ 4(소제목) + 5305+ 28+ 마감글(4)
5349= 8(대제목)+ 4(소제목) + 402( 예의)+4383( 해례)+ 552(정인지소)
훈민정음
540×8×4×315×2×8×4=348,364,800
5349>540
8=대제목
4=소제목
4= 마감제목
5337> 315
5333> 135
5305> 75
5333>135
540×8×4×1×3×5×2×8×4=16,588,800
5305>75
540×8×4×5×30×5×4=51,840,000
540×8×4×5×30×5×4×2×8=829,440,000
훈민정음 전체글자는 5349중 표제로 사용된 굴자= 16
5349= 4(표제정음)+ 12(표제한문)+ 4(정음)+562(정음)+ 4767(한문)
5349= 3×1783(소수)= 5333(706번째의 소수)+16(표제)
5349(전체)= 5337+ 12(정음4+한문8)
5349= 73×73+ 4(표제정음)+12(표제한문)+4(정음)
표제 16= 8제목( 한문4+정음4) + 訓民正音 4 + 4(마지막표지)
5349= 4(표제정음)+ 12(표제한문)+ 4(정음)+562(정음)+ 4767(한문)
103×104/2=5356 - 5349 - 5329=73^2
----------------------------------- ----------------
5,349÷28=191.0357142857
191.0357142857×28=5,348.9999999996
1×9×10×3×5×7×1×4×2×8×5×7×2×8=338,688,000=378×896000
----------------------------
299,792,458÷147,098,291=2.0380417472
2.0380417472×147,098,291=299,792,457.9997740352
2.0380417473×147,098,291
2+0+3+8+0+4+1+7+4+7+3+1+4+7+0+9+8+2+9+1=80
20×3×80×4×1×7×4×7×3×3=33,868,800=2×169344000
원자단위 전기장 atomic unit of electric field 5.142 206 747 63 e11 0.000 000 000 78 e11 V m^-1 16934400
-----------------------------
28÷5,349=0.0052346233
0.0052346233×5,349=28.0000000317
5×2×3×4×6×2×3×3×5×3×4×9=6,998,400=2×3,499,200(중성자자기모멘트)
6×9×9×8×400=1,555,200
1,×5×5×5,×200=25000
neutron gyromag. ratio in MHz/T 29.164 6931 0.000 0069 MHz T^-1 699840 (37791360)
자기회전비율(磁氣回轉比率, gyromagnetic ratio, magnetogyric ratio)은 어떤 물체나 계의 자기모멘트와 각운동량의 비이다. 자기회전 비율은 γ로 표시한다. 자기회전비율의 SI 단위는 rad·s-1·T-1 차원, 혹은 C·kg-1이다.
자기회전비율(자이로자성비)는 상이하지만 밀접하게 관련된 양, g-인자에 대한 동의어로서 사용될 수 있다.
g-factor는 자이로자성 비율과 달리 치수가 없습니다.
------------------------------------------------------------
299,792,458÷299,196,524=1.0019917812
10,019,917,812×299,196,524=2.9979245801×10^18
100×1×9×9×1×7×8×1×2=907,200
2×9×9×1×9×6×5×2×4=349,920
====================================================
406(글수)= 4+ 362+ 정음(40)
訓民正音 4
國之語音 異乎中國 與文字不相流通 故愚民 有所欲言而終不得伸其情者 多矣. 32
予 爲此憫然 新制二十八字 欲使人人易習 便於日用耳. 22 한문 58
ㄱ. 牙音. 如君字初發聲 8
並書. 如虯字初發聲 8
ㅋ. 牙音. 如快字初發聲 8
ㅇ. 牙音. 如業字初發聲 8
ㄷ. 舌音. 如斗字初發聲 8
並書. 如覃字初發聲 8
ㅌ. 舌音. 如呑字初發聲 8
ㄴ. 舌音. 如那字初發聲8
ㅂ. 脣音. 如彆字初發聲8
並書. 如步字初發聲8
ㅍ. 脣音. 如漂字初發聲 8
ㅁ. 脣音. 如彌字初發聲8
ㅈ. 齒音. 如卽字初發聲8
並書. 如慈字初發聲 8
ㅊ. 齒音. 如侵字初發聲8
ㅅ. 齒音. 如戌字初發聲8
並書. 如邪字初發聲 8
ㆆ. 喉音. 如挹字初發聲8
ㅎ. 喉音. 如虛字初發聲8
並書. 如洪字初發聲 8
ㅇ. 喉音. 如欲字初發聲8
ㄹ. 半舌音. 如閭字初發聲9
ㅿ. 半齒音. 如穰字初發聲9 8*23+2 =186 , 한문186+ 정음17= 203
ㆍ. 如呑字中聲5
ㅡ.如卽字中聲5
ㅣ. 如侵字中聲5
ㅗ. 如洪字中聲5
ㅏ. 如覃字中聲5
ㅜ. 如君字中聲5
ㅓ. 如業字中聲5
ㅛ. 如欲字中聲5
ㅑ. 如穰字中聲5
ㅠ. 如戌字中聲5
ㅕ. 如彆字中聲5 5*11 =55 한문 55+ 정음11= 66
終聲 復用初聲. 6
o連書脣音之下 則爲脣輕音. 初聲合用 則並書 終聲同. 21
ㆍㅡㅗㅜㅛㅠ 附書初聲之下. ㅣㅏㅓㅑㅕ 附書於右. 10
凡字必合而成音. 左加一點則去聲 二則上聲 無則平聲 入聲加點同而促急. 30 한 67+정음12=79
--------------------------------------------------
나라의 말소리가 중국(中國)과 달라서 문자가 서로 상통하지 못하고 맞지 않는다.
그러므로 백성들이 말하고 싶은 바가 있어도 마침내 그 뜻을 바르게 전달 못하는 이가 많다.
내가 이것을 매우 딱하게 여기어 새로 스물여덟글자를 만들어 내노니
사람마다 쉽게 익히어 편리하게 사용토록 함에 있나니라.
ㄱ는 엄소리니 군(君군)자의 처음 펴어 난 소리와 같으며
어우러 쓰면 뀨(규)자의 처음 펴어 나는소리와 같으니라
ㅋ는 엄소리니 쾌(快쾡)자의 처음 펴어 나는 소리와 같으니라.
ㅇ.는 엄소리니 업(業업)자의 처음 펴어 나는 소리와 같으니라
ㄷ는 혀소리니 두(斗)자의 처음 펴어 나는 소리와 같으며
어우러 쓰면 담(覃 땀)자의 처음 펴어 나는 소리와 같으니라
ㅌ는 혀소리니 탄(呑ㅌ)자의 처음 펴어 나는 소리와 같으니라
ㄴ는 혀소리니 나(那낭)자의 처음 펴어 나는 소리와 같으니라
ㅂ는 입술소리니 별()자의 처음 펴어 나는 소리와 같으며 어우러 쓰면 보
(步뽕)자의 처음 펴어 나는 소리와 같으니라
ㅍ는 입술소리니 표(漂)자의 처음 펴어 나는 소리와 같으니라
ㅁ는 입술소리니 미(彌)자의 처음 펴어 나는 소리와 같으니라
ㅈ는 잇소리니 즉(卽)자의 처음 펴어 나는 소리와 같으며
어우러 쓰면 자(慈)자의 처음 펴어 나는 소리와 같으니라
ㅊ는 잇소리니 침(侵)자의 처음 펴어 나는 소리와 같으니라
ㅅ는 잇소리니 술(戌)자의 처음 펴어나는 소리와 같으며 어우러 쓰면 사(邪)자의
처음 펴어나는 소리와 같으니라
ㄴ은 목소리니 읍(把)자의 처음 펴어나는 소리와 같으니라;
ㅎ는 목소리니 허(虛)자의 처음 펴어 나는 소리와 같으며 어우러 쓰면 홍(洪)자 의 처음 펴어 나는 소리와 같으니라
ㅇ는 목소리니 욕(欲)자의 처음 펴어 나는 소리와 같으니라
ㄹ는 반혀소리니 려(閭)자의 처음 펴어 나는 소리와 같으니라
는 반잇소리니 양(穰)자의 처음 펴어 나는 소리와 같으니라.
ㆍ는 탄(呑)자의 가운데 소리와 같으니라
ㅡ는 즉(卽)자의 가운데 소리와 같으니라
ㅣ는 침(侵)자의 가운데 소리와 같으니라
ㅗ는 홍(洪)자의 가운데 소리와 같으니라
ㅏ는 담(覃)자의 가운데 소리와 같으니라
ㅜ는 군(君)자의 가운데 소리와 같으니라
ㅓ는 업(業)자의 가운데 소리와 같으니라
ㅛ는 욕(欲)자의 가운데 소리와 같으니라
ㅑ는 양(穰)자의 가운데 소리와 같으니라
ㅠ는 술(戌)자의 가운데 소리와 같으니라
ㅕ는 별(霰)자의 가운데 소리와 같으니라
종성(받침)에는 다시 초성을 쓰며 ㅇ을 입술소리 아래에 연해쓰면 곧 입술 가벼운 소리가 된다.
초성을 합쳐쓰는데는 어우러 쓸 것이요 종성도 같다.
ㆍㅡㅗㅜㅛㅠ는 초성 아래에다 붙혀쓰고 ㅣㅏㅓㅑㅕ는 오른쪽에 붙혀 쓰나니
모든 글자는 반듯이 합해서 음을 이룬다.
왼쪽에 한점을 더하면 거성이요, 두 점이면 상성이요, 없으면 평성이요,
입성은 점을 더하는 것은 같으되 빠르다.
=========================================================================
해례4383= 3857(한문)+526(정음)
訓民正音解例 6 ----------------------------------------6
制字解 3
天地之道 一陰陽五行而已. 11
坤復之間爲太極 而動靜之後爲陰陽. 15
凡有生類在天地之間者 捨陰陽而何之. 16
故人之聲音 皆有陰陽之理 顧人不察耳. 16
今正音之作 初非智營而力索 但因其聲音而極其理而已. 23
理旣不二 則何得不與天地鬼神同其用也. 17
正音二十八字 各象其形而制之. 13 ---------------6+3+111= 120 총글자=526 526/92=5.7173913043
初聲凡十七字. 5
牙音ㄱ 象舌根閉喉之形.9
舌音ㄴ 象舌附上⺼咢 之形.10
脣音ㅁ 象口形.5
齒音ㅅ 象齒形.5
喉音o 象喉形.5
ㅋ比ㄱ 聲出稍厲 故加劃. ㄴ而ㄷ ㄷ而ㅌ ㅁ而ㅂ ㅂ而ㅍ ㅅ而ㅈ ㅈ而ㅊ o而ㆆ ㆆ而ㅎ16
其因聲加劃之義皆同 而唯ㆁ爲異.半舌音ㄹ 半齒音ㅿ 亦象舌齒之形而異其體 無加劃之義焉.35
夫人之有聲本於五行. 故合諸四時而不悖 叶之五音而不戾.24
喉邃而潤 水也. 聲虛而通 如水之虛明而流通也. 於時爲冬 於音爲羽. 牙錯而長 木也.33
聲似喉而實 如木之生於水而有形也. 於時爲春 於音爲角.23
舌銳而動 火也 聲轉而颺 如火之轉展而揚揚也.19
於時爲夏 於音爲徵 齒剛而斷 金也. 聲屑而滯. 如金之屑𤨏而鍛成也.27
於時爲秋 於音爲商. 脣方爲合 土也. 聲含而廣 如土之含蓄萬物而廣大也.29
於時爲季夏 於音爲宮.然水乃生物之源 火乃成物之用 故五行之中 水火爲大.31
喉乃出聲之門 舌乃辨聲之管 故五音之中 喉舌爲主也.22
喉居後而牙次之 北東之位也. 舌齒又次之 南西之位也.22
脣居末 土無定位而寄旺四季之義也.15
是則初聲之中 自有陰陽五行方位之數也.17
又以聲音淸濁而言之.9
ㄱㄷㅂㅈㅅㆆ 爲全淸.3
ㅋㅌㅍㅊㅎ 爲次淸.3
ㄲㄸㅃㅉㅆㆅ 爲全濁.3
ㆁㄴㅁoㄹㅿ 爲不淸不濁.3
ㄴㅁㅇ 其聲最不厲 故次序雖在於後 而象形制字則爲之始.21
ㅅㅈ雖皆爲全淸 而ㅅ比ㅈ 聲不厲 故亦爲制字之始.16
唯牙之ㆁ 雖舌根閉喉聲氣出鼻 而其聲與o相似 故韻書疑與喩多相混用28
今亦取象於喉 而不爲牙音制字之始.15
盖喉屬水而牙屬木 ㆁ雖在牙而與o相似 猶木之붕芽生於水而柔軟 尙多水氣也.30
ㄱ木之成質4
ㅋ木之盛長4
ㄲ木之老壯4
故至此乃皆取象於牙也. 全淸並書則爲全濁 以其全淸之聲凝則爲全濁也.30
唯喉音次淸爲全濁者 盖以ㆆ聲深不爲之凝 ㅎ比ㆆ聲淺 故凝而爲全濁也.27
o連書脣音之下 則爲脣輕音者 以輕音脣乍合而喉聲多也.23 -----------------696
中聲凡十一字.6
ㆍ舌縮而聲深 天開於子也. 形之圓 象乎天地.17
ㅡ舌小縮而聲不深不淺 地闢於丑也. 形之平 象乎地也.21
ㅣ舌不縮而聲淺 人生於寅也. 形之立 象乎人也.18
此下八聲. 一闔一闢.8
ㅗ與ㆍ同而口蹙 其形則ㆍ與ㅡ合而成 取天地初交之義也.20
ㅏ與ㆍ同而口張 其形則ㅣ與ㆍ合而成 取天地之用發於事物待人而成也.26
ㅜ與ㅡ同而口蹙 其形則ㅡ與ㆍ合而成 亦取天地初交之義也.21
ㅓ與ㅡ同而口張 其形則ㆍ與ㅣ合而成 亦取天地之用發於事物待人而成也.27
ㅛ與ㅗ同而起於ㅣ.5
ㅑ與ㅏ同而起於ㅣ.5
ㅠ與ㅜ同而起於ㅣ.5
ㅕ與ㅓ同而起於ㅣ.5 정음 98 ---------------------880
ㅗㅏㅜㅓ始於天地 爲初出也.8
ㅛㅑㅠㅕ起於ㅣ而兼乎人 爲再出也. ㅗㅏㅜㅓ之一其圓者 取其初生之義也.20
ㅛㅑㅠㅕ之二其圓者 取其再生之義也. ㅗㅏㅛㅑ之圓居上與外者 以其出於天而爲陽也.27
ㅜㅓㅠㅕ之圓居下與內者 以其出於地而爲陰也.17
ㆍ之貫於八聲者 猶陽之統陰而周流萬物也.17
ㅛㅑㅠㅕ之皆兼乎人者 以人爲萬物之靈而能參兩儀也. 取象於天地人而三才之道備矣.32
然三才爲萬物之先 而天又爲三才之始 猶ㆍㅡㅣ三字爲八聲之首 而ㆍ又爲三字之冠也.32
ㅗ初生於天 天一生水之位也. ㅏ次之 天三生木之位也. ㅜ初生於地 地二生火之位也.30
ㅓ次之 地四生金之位也.9
ㅛ再生於天 天七成火之數也. ㅑ次之 天九成金之數也. ㅠ再生於地 地六成水之數也.31
ㅕ次之 地八成木之數也.9
水火未離乎氣 陰陽交合之初 故闔. 木金陰陽之定質 故闢.23
ㆍ天五生土之位也. ㅡ地十成土之數也.14
ㅣ獨無位數者 盖以人則無極之眞 二五之精 妙合而凝 固未可以定位成數論也.31
是則中聲之中 亦自有陰陽五行方位之數也.18
以初聲對中聲而言之. 陰陽 天道也. 剛柔 地道也.19
中聲者 一深一淺一闔一闢 是則陰陽分而五行之氣具焉 天之用也.27
初聲者 或虛或實或颺或滯或重若輕 是則剛柔著而五行之質成焉 地之功也.31
中聲以深淺闔闢唱之於前 初聲以五音淸濁和之於後 而爲初亦爲終28
亦可見萬物初生於地 復歸於地也.14 -------------------------1192
以初中終合成之字言之 亦有動靜互根陰陽交變之義焉. 動者 天也.27
靜者 地也. 兼互動靜者 人也. 盖五行在天則神之運也 在地則質之成也.28
在人則仁禮信義智神之運也 肝心脾肺腎質之成也.21
初聲有發動之義 天之事也. 終聲有止定之義 地之事也.22
中聲承初之生 接終之成 人之事也. 盖字韻之要 在於中聲 初終合而成音.29
亦猶天地生成萬物 而其財成輔相則必賴乎人也.20
終聲 復用初聲者 以其動而陽者乾也 靜而陰者亦乾也 乾實分陰陽而無不君宰也.33
一元之氣 周流不窮 四時之運 循環無端 故貞而復元 冬而復春.25
初聲之復爲終 終聲之復爲初 亦此義也.16
旴. 正音作而天地萬物之理咸備 其神矣哉. 是殆天啓聖心而假手焉者乎.29 ---250
정음 44 ----------------------------------------------- 1442
訣曰 7X86(602)+ 3= 605 --------------------------------------2
天地之化本一氣
陰陽五行相始終
物於兩間有形聲
元本無二理數通
正音制字尙其象
因聲之厲每加劃
音出牙舌脣齒喉
是爲初聲字十七
牙取舌根閉喉形
唯業似欲取義別
舌迺象舌附上月咢
脣則實是取口形
齒喉直取齒喉象
知斯五義聲自明
又有半舌半齒音
取象同而體則異
那彌戌欲聲不厲
次序雖後象形始 -------------------------------------3+7*18
配諸四時與沖氣
五行五音無不協
維喉爲水冬與羽
牙迺春木其音角
徵音夏火是舌聲
齒則商秋又是金
脣於位數本無定
土而季夏爲宮音
聲音又自有淸濁
要於初發細推尋
全淸聲是君斗瞥
卽戌挹亦全淸聲
若迺快呑漂侵虛
五音各一爲次淸
全濁之聲虯覃步
又有慈邪亦有洪
全淸並書爲全濁
唯洪自虛是不同
業那彌欲及閭穰
其聲不淸又不濁
欲之連書爲脣輕
喉聲多而脣乍合
中聲十一亦取象
精義未可容易觀
呑擬於天聲最深
所以圓形如彈丸
卽聲不深又不淺
其形之平象乎地
侵象人立厥聲淺
三才之道斯爲備
洪出於天尙爲闔
象取天圓合地平
覃亦出天爲已闢
發於事物就人成
用初生義一其圓
出天爲陽在上外
欲穰兼人爲再出
二圓爲形見其義
君業戌彆出於地
據例自知何湏評
呑之爲字貫八聲
維天之用徧流行
四聲兼人亦有由
人參天地爲最靈
且就三聲究至理
自有剛柔與陰陽
中是天用陰陽分
初迺地功剛柔彰
中聲唱之初聲和
天先乎地理自然
和者爲初亦爲終
物生復歸皆於坤
陰變爲陽陽變陰
一動一靜互爲根
初聲復有發生義
爲陽之動主於天
終聲比地陰之靜
字音於此止定焉
韻成要在中聲用
人能輔相天地宜
陽之爲用通於陰
至而伸則反而歸
初終雖云分兩儀
終用初聲義可知
正音之字只卄八
探賾錯綜窮深幾
指遠言近牖民易
天授何曾智巧爲 --------------------------7*68 3+ 7*18+7*68 = 605
------------------------------------------------------------------------ 1442 + 605= 2047
初聲解 ------------------------------------3
正音初聲 卽韻書之字母也. 聲音由此而生 故曰母.20
如牙音君字初聲是ㄱ ㄱ與而爲군.11
快字初聲是ㅋ ㅋ與ㅙ而爲:쾌.8
虯字初聲是ㄲ ㄲ與ㅠ而爲뀨.8
業字初聲是ㆁ ㆁ與而爲之類.9
舌之斗呑覃那 脣之彆漂步彌 齒之卽侵慈戌邪 喉之挹虛洪欲 半舌半齒之閭穰 皆倣此.35--3+91= 94
訣曰 ------------------------------------------2
君快虯業其聲牙
舌聲斗呑及覃那
彆漂步彌則是脣
齒有卽侵慈戌邪
挹虛洪欲迺喉聲
閭爲半舌穰半齒
二十三字是爲母
萬聲生生皆自此 ----------------------------------------2+ 7*8 = 58
中聲解 ------------------------------------ 3
中聲者 居字韻之中 合初終而成音14
如呑字中聲是ㆍ ㆍ居ㅌㄴ之間而爲.11
卽字中聲是ㅡ ㅡ居ㅈㄱ之間而爲즉.10
侵字中聲是ㅣ ㅣ居ㅊㅁ之間而爲침之類.12
洪覃君業欲穰戌彆 皆倣此.11
二字合用者5
ㅗ與ㅏ同出於ㆍ 故合而爲ㅘ.8
ㅛ與ㅑ又同出於ㅣ 故合而爲ㆇ.9
ㅜ與ㅓ同出於ㅡ 故合而爲ㅝ.8
ㅠ與ㅕ又同出於ㅣ 故合而爲.8
以其同出而爲類 故相合而不悖也.14
一字中聲之與ㅣ相合者十 ㅓㅢㅚㅐㅟㅔㆉㅒㆌㅖ是也.10
二字中聲之與ㅣ相合者四 ㅙㅞㆈㆋ是也.11
ㅣ於深淺闔闢之聲 並能相隨者 以其舌展聲淺而便於開口也.24
亦可見人之參贊開物而無所不通也.15 --------------------------3+170=173
訣曰 ----------------------------------2
母字之音各有中
須就中聲尋闢闔
洪覃自呑可合用
君業出則亦可合
欲之與穰戌與彆
各有所從義可推
侵之爲用最居多
於十四聲徧相隨 ---------------------------2+ 7*8 = 58
終聲解3 ----------------------------3
終聲者 承初中而成字韻.10
如卽字終聲是ㄱ ㄱ居즈終而爲즉. 10
洪字終聲是ㆁ ㆁ居終而爲之類.10
舌脣齒喉皆同.6
聲有緩急之殊 故平上去其終聲不類入聲之促急.20
不淸不濁之字 其聲不厲 故用於終則宜於平上去.20
全淸次淸全濁之字 其聲爲厲 故用於終則宜於入.20
所以ㆁㄴㅁoㄹㅿ六字爲平上去聲之終 而餘皆爲入聲之終也.20
然ㄱㆁㄷㄴㅂㅁㅅㄹ八字可足用也.7
如곶爲梨花 의갗爲狐皮 而ㅅ字可以通用 故只用ㅅ字.17
且o聲淡而虛 不必用於終 而中聲可得成音也.18
ㄷ如볃爲彆 ㄴ如군爲君 ㅂ如爲業 ㅁ如땀爲覃 ㅅ如諺語·옷爲衣 ㄹ如諺語:실爲絲之類.24
五音之緩急 亦各自爲對如牙之ㆁ與ㄱ爲對 而ㆁ促呼則變爲ㄱ而急ㄱ舒出則變爲ㆁ而緩.31
舌之ㄴㄷ 脣之ㅁㅂ 齒之ㅿㅅ 喉之oㆆ 其緩急相對 亦猶是也.15
且半舌之ㄹ 當用於諺 而不可用於文.14
如入聲之彆字 終聲當用ㄷ 而俗習讀爲ㄹ 盖ㄷ變而爲輕也.21
若用ㄹ爲彆之終 則其聲舒緩 不爲入也.15 정음 126 -------------------3+ 241 =244
訣曰 ----------------------------------2
不淸不濁用於終
爲平上去不爲入
全淸次淸及全濁
是皆爲入聲促急
初作終聲理固然
只將八字用不窮
唯有欲聲所當處
中聲成音亦可通
若書卽字終用君
洪彆亦以業斗終
君業覃終又何如
以那彆彌次第推
六聲通乎文與諺
戌閭用於諺衣絲
五音緩急各自對
君聲迺是業之促
斗彆聲緩爲那彌
穰欲亦對戌與挹
閭宜於諺不宜文
斗輕爲閭是俗習 --------------------------------2+ 7*20 = 142
----------------------------------------------------------------------------------
合字解3 ----------------------------------------------3
初中終三聲 合而成字. 初聲或在中聲之上 或在中聲之左.23
如君字ㄱ在ㅜ上業字ㆁ在ㅓ左之類.11
中聲則圓者橫者在初聲之下 ㆍㅡㅗㅛㅜㅠ是也.14
縱者在初聲之右 ㅣㅏㅑㅓㅕ是也.9
如呑字ㆍ在ㅌ下卽字ㅡ在ㅈ下侵字ㅣ在ㅊ右之類.15
終聲在初中之下. 如君字ㄴ在구下業字ㅂ在下之類.18
初聲二字三字合用並書 如諺語·爲地 爲雙·爲隙之類.21
各自並書 如諺語·혀爲舌而·爲引 괴·여爲我愛人而괴·爲人愛我 소·다爲覆物而쏘·다爲射之之類.30
中聲二字三字合用 如諺語·과爲琴柱 ·홰爲炬之類.18
終聲二字三字合用 如諺語爲土 ·낛爲釣 ·爲酉時之類.20
其合用並書 自左而右 初中終三聲皆同.16
文與諺雜用則有因字音而補以中終聲者 如孔子ㅣ魯ㅅ:사之類.23
諺語平上去入 如활爲弓而其聲平 :돌爲石而其聲上 ·갈爲刀而其聲去 붇爲筆而其聲入之類.33
凡字之左 加一點爲去聲 二點爲上聲 無點爲平聲 而文之入聲 與去聲相似.30
諺之入聲無定 或似平聲 如긷爲柱 녑爲脅.15
或似上聲 如:낟爲穀 :깁爲繒.9
或似去聲 如·몯爲釘 ·입爲口之類.11
其加點則與平上去同.9
平聲安而和 春也 萬物舒泰.11
上聲和而擧 夏也 萬物漸盛.11
去聲擧而壯 秋也 萬物成熟.11
入聲促而塞 冬也 萬物閉藏.11
初聲之ㆆ與o相似 於諺可以通用也.半舌有輕重二音.20
然韻書字母唯一 且國語雖不分輕重 皆得成音.19
若欲備用 則依脣輕例 o連書ㄹ下 爲半舌輕音 舌乍附上月咢.23
ㆍㅡ起ㅣ聲 於國語無用. 兒童之言 邊野之語 或有之 當合二字而用 如之類.27
其先縱後橫 與他不同.9 정음55 ------------------------------------------------3+ 467 =470
訣曰 -------------------------------2
初聲在中聲左上
挹欲於諺用相同
中聲十一附初聲
圓橫書下右書縱
欲書終聲在何處
初中聲下接着寫
初終合用各並書
中亦有合悉自左
諺之四聲何以辨
平聲則弓上則石
刀爲去而筆爲入
觀此四物他可識
音因左點四聲分
一去二上無點平
語入無定亦加點
文之入則似去聲
方言俚語萬不同
有聲無字書難通
一朝制作侔神工
大東千古開朦朧 -----------------------------------2+ 7*20=142
--------------------------------------------------------------------------------------
用字例 3 ---------------------------------3
初聲ㄱ 如:감爲柿 ·爲蘆. 7
ㅋ 如우·케爲未舂稻 爲大豆.8
ㆁ 如러·爲獺 서·爲流凘.6
ㄷ 如·뒤爲茅 ·담爲墻.5
ㅌ 如고·티爲繭 두텁爲蟾蜍.6
ㄴ 如노로爲獐 납爲猿.5
ㅂ 如爲臂 :벌爲蜂.5
ㅍ 如·파爲葱 爲蠅.5
ㅁ 如:뫼爲山 ·마爲薯藇.6
ㅸ 如사·爲蝦 드·爲瓠.5
ㅈ 如·자爲尺 죠·爲紙.5
ㅊ 如·체爲려 채爲鞭.4
ㅅ 如·손爲手 :셤爲島.5
ㅎ 如·부爲 鵂鶹 ·힘爲筋.6
o 如·비육爲鷄雛 ·얌爲蛇.6
ㄹ 如·무뤼爲雹 어·름爲氷.5
ㅿ 如아爲弟 :너爲鴇. 5 ---- 94
中聲ㆍ 如·爲頤 ·爲小豆 리爲橋 래爲楸.12
ㅡ 如·믈爲水 ·발·측爲跟 그력爲雁 드·레爲汲器.10
ㅣ 如·깃爲巢 :밀爲蠟 ·피爲稷 ·키爲箕.9
ㅗ 如·논爲水田 ·톱爲鉅 호·爲鉏 벼·로爲硯.10
ㅏ 如·밥爲飯 ·낟爲鎌 이·爲綜 사·爲鹿.9
ㅜ 如숫爲炭 ·울爲籬 누·에爲蠶 구·리爲銅.9
ㅓ 如브爲竈 :널爲板 서·리爲霜 버·들爲柳.9
ㅛ 如:爲奴 ·고욤爲梬 쇼爲牛 삽됴爲蒼朮菜.11
ㅑ 如남爲龜 약爲𪓟鼊 다야爲匜 쟈감爲蕎麥皮.12
ㅠ 如율믜爲薏苡 쥭爲飯초 슈룹爲雨繖 쥬련爲帨.11
ㅕ 如·엿爲飴餹 뎔爲佛寺 벼爲稻 :져비爲燕.11 ------207
終聲ㄱ 如닥爲楮 독爲甕6
ㆁ 如:굼爲蠐螬 올爲蝌蚪.7
ㄷ 如·갇爲笠 싣爲楓.5
ㄴ 如·신爲屨 ·반되爲螢.5
ㅂ 如섭爲薪 ·굽爲蹄.5
ㅁ 如:범爲虎 :爲泉.5
ㅅ 如:잣爲海松 ·못爲池.6
ㄹ 如·爲月 :별爲星之類.7 정음 174----------------------3+ 253=260
==========================================================
해석
훈민정음 해례 訓民正音 解例
제자해 制字解
天地之道 一陰陽五行而已.
천지 자연(우주만물)의 원리는 일음양오행(125)이다. ( 258의 법수라는 의미)
坤復之間爲太極 而動靜之後爲陰陽.
곤복(坤復: 쌍곤)의 사이에서 태극이 있고 이 동정(動靜)후에 음양이 생겨나는 것이다
凡有生類在天地之間者 捨陰陽而何之.
무릇 유생자는 천지 사이에 존재하며 음양의 틀에서 벗어날 수가 있으리요?
故人之聲音 皆有陰陽之理 顧人不察耳.
그러므로, 사람의 성음(聲音)은 모두 음양의 이치가 있는데, 사람들이 인식하지 않을 뿐이다.
今正音之作 初非智營而力索
이제 훈민정음을 만드는 것은 처음부터 슬기로 마련하고, 애써서 찾은 것이 아니라
但因其聲音而極其理而已.
다만 그 본래의 성음의 이치에 따르는 것이다.
理旣不二 則何得不與天地鬼神同其用也.
이치는 둘이 아니니 어찌 천지귀신과 다르게 할 수가 있을 것인가?
正音二十八字 各象其形而制之.
훈민정음 이십 여덟자는 각각 그 모양을 본떠서 만들었다.
初聲凡十七字.
초성은 모두 열 일곱자다.
牙音ㄱ 象舌根閉喉之形.
아음(어금니 소리) ㄱ은 혀뿌리가 목구멍을 막는 모양을 본뜨고,
설음(혓 소리) ㄴ은 혀(끝)가 윗 잇몸에 붙는 모양을 본뜨고,
脣音ㅁ 象口形.
순음(입술소리) ㅁ은 입모양을 본뜨고,
齒音ㅅ 象齒形.
치음(잇 소리) ㅅ은 이빨 모양을 본뜨고
喉音o 象喉形.
후음(목구멍 소리) ㅇ은 목구멍의 모양을 본뜬 것이다.
ㅋ比ㄱ 聲出稍 故加劃.
ㅋ은 ㄱ에 비하여 소리나는게 세게 나는 까닭으로 획을 더하였다.
ㄴ而ㄷ ㄷ而ㅌ ㅁ而ㅂ ㅂ而ㅍ ㅅ而ㅈ ㅈ而ㅊ o而ㆆ ㆆ而ㅎ
ㄴ에서 ㄷ, ㄷ에서 ㅌ, ㅁ에서 ㅂ, ㅂ에서 ㅍ, ㅅ에서 ㅈ, ㅈ에서 ㅊ, ㅇ에서 ㆆ, ㆆ에서 ㅎ으로
其因聲加劃之義皆同 而唯ㆁ爲異.
그 소리(의 세기)를 바탕으로 획은 더한 뜻은 모두 같다. 그러나, 오직 ㆁ이 된 것은 다르다.
半舌音ㄹ 半齒音ㅿ 亦象舌齒之形而異其體 無加劃之義焉.
반설음 ㄹ과 반치음 ㅿ 역시 혀와 이의 모양을 본떠서 그 모양을 달리했지만, 획을 더한 의미는 없다.
夫人之有聲本於五行.
무릇 사람이 소리(말소리)를 내는 것은 오행에 근본이 있다.
故合諸四時而不悖 叶之五音而不戾.
그러니 사계절에 맞춰보아도 벗어나지 않고, 오음에 맞춰보아도 틀리지 않는다.
(이후의 설명은 아설순치후의 순서가 아니라 발음기관의 가장 안쪽인 목구멍부터 바깥쪽으로 순서대로 설명함)
喉邃而潤 水也. 聲虛而通 如水之虛明而流通也.
목구멍은 (입안의) 깊은 곳에 있고, 젖어 있으니 물(水)에 해당한다.
소리는 허하나 통하므로, 들여다 보이는 물과 같고, 흘러서 통하는 것과 같다.
於時爲冬 於音爲羽.
4계절로는 겨울에 속하고, 음으로는 우(羽)음에 속한다.
牙錯而長 木也.
어금니는 어긋나고 길어서, 나무(木)에 해당한다.
聲似喉而實 如木之生於水而有形也.
어금니 소리는 목구멍 소리와 비슷해도 실하기 때문에 나무가 물에서 생겨나지만 형체가 있는 것과 같다.
於時爲春 於音爲角.
4계절로는 봄에 속하고, 음으로는 각(角)음에 속한다.
舌銳而動 火也
혀는 날카롭고 움직여서 불(火)에 해당한다.
聲轉而颺 如火之轉展而揚揚也.
혀 소리가 구르고 날리는 것은 불이 이글거리며 활활 타오르는 것과 같다.
於時爲夏 於音爲徵
4계절로는 여름에 속하고, 음으로는 치(徵)에 속한다.
齒剛而斷 金也.
이는 단단하고 (무엇을) 끊으니 쇠(金)에 해당한다.
聲屑而滯. 如金之屑쇄而鍛成也.
이 소리가 부스러지고 걸리는 것은 쇠가루가 단련되어 쇠를 이루는 것과 같다.
於時爲秋 於音爲商.
시로는 가을에 속하고, 음으로는 상(商)음에 속한다.
脣方而合 土也.
입술은 모나지만 합해지므로 흙(土)에 해당한다.
聲含而廣 如土之含蓄萬物而廣大也.
입술 소리가 머금고 넓은 것은 흙이 만물을 감싸고 넓은 것과 같다.
於時爲季夏 於音爲宮.
시로는 늦여름에 속하고, 음으로는 궁(宮)음에 속한다.
然水乃生物之源 火乃成物之用 故五行之中 水火爲大.
물은 생물의 근원이요 불은 물체를 이루는데 쓰이기 때문에, 오행가운데 물과 불이 가장 중요하다.
喉乃出聲之門 舌乃辨聲之管 故五音之中 喉舌爲主也
목구멍은 소리를 내는 문이요, 혀는 소리를 구별하는 기관이기 때문에 오음(아설순치후) 가운데 후음과 설음이 주가 된다.
喉居後而牙次之 北東之位也.
목구멍은 뒤에 있고, 어금니는 그 다음이므로 목구멍 소리는 북쪽, 어금니 소리는 동쪽이다.
舌齒又次之 南西之位也.
혀와 이가 그 다음이므로, 혓 소리는 남쪽, 잇 소리는 서쪽이다.
脣居末 土無定位而寄旺四季之義也.
입술은 맨 끝에 있으니 흙은 일정한 방위없이 (북동남서쪽에) 붙어서 4계절(후, 아, 설, 치음)을 왕성하게 한다는 뜻이다.
是則初聲之中 自有陰陽五行方位之數也.
이런즉, 초성 가운데는 스스로 음양 오행 방위의 수가 있다.
又以聲音淸濁而言之.
또 성음의 청탁으로 말할 것 같으면,
ㄱㄷㅂㅈㅅㆆ 爲全淸.
ㄱㄷㅂㅈㅅㆆ는 전청이 되고,
ㅋㅌㅍㅊㅎ 爲次淸.
ㅋㅌㅍㅊㅎ는 차청이 되고
ㄲㄸㅃㅉㅆㆅ 爲全濁.
ㄲㄸㅃㅉㅆㆅ는 전탁이 되고,
ㆁㄴㅁoㄹㅿ 爲不淸不濁.
ㆁㄴㅁoㄹㅿ는 불청불탁이 된다.
ㄴㅁㅇ 其聲最不勵 故次序雖在於後 而象形制字則爲之始.
ㄴㅁㅇ은 그 소리가 가장 거세지 않은 까닭으로 차례는 비록 뒤에 있지만 모양을 본떠서 글자를 만드는 기본으로 삼았다.
ㅅㅈ雖皆爲全淸 而ㅅ比ㅈ 聲不勵 故亦爲制字之始.
ㅅㅈ은 비록 모두 전청자이지만, ㅅ이 ㅈ에 비하여 소리가 거세지 않은 까닭으로 (ㅅ을 치음) 글자 만드는 기본으로 삼았다.
唯牙之ㆁ 雖舌根閉喉聲氣出鼻
다만, 어금니 소리(아음)의 ㆁ은 비록 혀뿌리가 후두를 막아 소리의 기운이 코로 나오지만,
而其聲與o相似 故韻書疑與喩多相混用
그 소리가 ㅇ과 비슷하여 운서에서도 ㆁ가 초성인 의(疑)자와 ㅇ이 초성인 유(喩)자가 자주 서로 섞여 사용된다.
今亦取象於喉 而不爲牙音制字之始.
(따라서) 지금 (ㆁ자를) 목구멍에서 본떠 만들었으나, 어금니 소리의 글자를 만드는 기본으로 삼지 않은 것은
盖喉屬水而牙屬木 ㆁ雖在牙而與o相似 猶木之萌芽生於水而柔軟 尙多水氣也.
대개 목구멍은 물에 속하고, 어금니는 나무 木에 속하여 ㆁ은 비록 아음이지만, ㅇ과 비슷하여 마치 나무의 싹이 물에서 나지만 부드러워서 오히려 물기운이 많음과 같기 때문이다.
ㄱ木之成質. ㄱ은 나무가 바탕을 이룬 것이요,
ㅋ木之盛長 . ㅋ은 나무가 성장한 것이요,
ㄲ木之老壯. ㄲ은 나무가 나이들어 씩씩하게 된것이니
故至此乃皆取象於牙也. 여기까지 모두 어금니에서 모양을 취한 것이다.
全淸幷書則爲全濁. 전청자를 나란히 쓰면 전탁자가 되는것은
以其全淸之聲凝則爲全濁也. 전청소리가 엉기면 전탁이 되기 때문이다
唯喉音次淸爲全濁者. 오직 후음의 차청인 ㅎ이 (나란히 써서) 전탁자가 되는 것은
盖以ㆆ聲深不爲之凝. 대개 ㆆ은 소리가 깊어서 엉기지 않고
ㅎ比ㆆ聲淺 故凝而爲全濁也. ㅎ은 ㆆ에 비해 소리가 얕아서 엉기고, 전탁이 되는 것이다.
ㅇ連書脣音之下 則爲脣輕音者. ㅇ을 입술 소리 아래에 이어쓰면 순경음이 되는 것은
以輕音脣乍合而喉聲多也.
가벼운 소리로써 입술이 잠깐 닿기 때문에 (잠깐 닿았다가 입술을 떼기 때문에) 목구멍 소리가 많기 때문이다.
中聲凡十一字.
중성은 모두 11자이다.
ㆍ舌縮而聲深 天開於子也.
ㆍ는 혀가 오그라져 소리가 깊으니 하늘이 子時에 열린 것과 같이 맨 먼저 만들어졌다.
形之圓 象乎天地.
둥근 모양은 하늘을 본떴다.
ㅡ舌小縮而聲不深不淺 地闢於丑也. 形之平 象乎地也.
ㅡ는 혀가 조금 오그라져 소리가 깊지도 얕지도 않으니 땅이 丑時에 열린 것처럼 2번째로 만들어졌다. 평평한 모양은 땅을 본떴다.
ㅣ舌不縮而聲淺 人生於寅也. 形之立 象乎人也.
ㅣ는 혀가 오그라지지 않아 소리가 얕으니 사람이 寅時에 생긴 것처럼 3번째로 생겼다. 일어선 모양을 한 것은 사람을 본떴다.
此下八聲. 一闔一闢.
이 밑의 여덟 소리는 하나는 합(원순모음) 이고 하나는 벽(非원순모음)이다.
ㅗ與ㆍ同而口蹙 其形則ㆍ與ㅡ合而成 取天地初交之義也.
ㅗ는 ㆍ와 같으나 입이 오그라지며, 그 모양은 ㆍ와 ㅡ가 어울려 이룸이며, 하늘과 땅이 처음 어우르는 뜻을 취하였다.
ㅏ與ㆍ同而口張 其形則ㅣ與ㆍ合而成 取天地之用發於事物待人而成也.
ㅏ는 ㆍ와 같으나 입이 펴지며, 그 모양은 ㅣ와 ㆍ가 어울려 이룸이며, 우주의 작용은 사물에서 나지만 사람을 기다려 이루어지는 뜻을 취하였다.
ㅜ與ㅡ同而口蹙 其形則ㅡ與ㆍ合而成 亦取天地初交之義也.
ㅜ는 ㅡ와 같으나 입이 오그라지며, 그 꼴은 ㅡ와 ㆍ가 어울려 이룸이며, 역시 하늘과 땅이 처음 어우르는 뜻을 취함이라.
ㅓ與ㅡ同而口張 其形則ㆍ與ㅣ合而成 亦取天地之用發於事物待人而成也.
ㅓ는 ㅡ와 같으나 입이 펴지며, 그 꼴은 ㆍ와 ㅣ가 어울려 이룸이며, 역시 우주의 작용은 사물에서 나지만 사람을 기다려 이루어지는 뜻을 취하였다.
ㅛ與ㅗ同而起於ㅣ.
ㅛ와 ㅗ는 같으나 ㅣ에서 시작되고,
(ㅣ 발음과 ㅗ발음을 연이어하는 발음이라는 뜻이다.)
ㅑ與ㅏ同而起於ㅣ.
ㅑ와 ㅏ는 같으나 ㅣ에서 시작되고,
ㅠ與ㅜ同而起於ㅣ.
ㅠ와 ㅜ는 같으나 ㅣ에서 시작되고,
ㅕ與ㅓ同而起於ㅣ.
ㅕ와 ㅓ는 같으나 ㅣ에서 시작된다.
ㅗㅏㅜㅓ始於天地 爲初出也.
ㅗ,ㅏ,ㅜ,ㅓ는 하늘과 땅에서 비롯되어, 처음으로 생긴 것이다.
ㅛㅑㅠㅕ起於ㅣ而兼乎人 爲再出也.
ㅛ,ㅑ,ㅠ,ㅕ는 ㅣ에서 일어나 사람을 겸하여 두 번째로 생긴 것이다.
ㅗㅏㅜㅓ之一其圓者 取其初生之義也.
ㅗ,ㅏ,ㅜ,ㅓ가 둥근 것을 하나로 함은 처음에 생긴 뜻을 나타내고,
ㅛㅑㅠㅕ之二其圓者 取其再生之義也.
ㅛ,ㅑ,ㅠ,ㅕ가 둥근 것을 둘로 함은 두 번째로 생긴 뜻을 나타낸다.
ㅗㅏㅛㅑ之圓居上與外者 以其出於天而爲陽也.
ㅗ,ㅏ,ㅛ,ㅑ의 둥근 것이 위나 밖에 있는 것은 그것이 하늘에서 생겨나 陽이 되기 때문이다. (양성모음이다.)
ㅜㅓㅠㅕ之圓居下與內者 以其出於地而爲陰也.
ㅜ,ㅓ,ㅠ,ㅕ의 둥근 것이 아래나 안에 있는 것은 그것이 땅에서 생겨나 陰이 되기 때문이다. (음성모음이다.)
ㆍ之貫於八聲者 猶陽之統陰而周流萬物也.
ㆍ가 여덟 소리에 두루 사용된 것은 양이 음을 거느리며 온갖 사물에 두루 미침과 같다.
ㅛㅑㅠㅕ之皆兼乎人者 以人爲萬物之靈而能參兩儀也.
ㅛ,ㅑ,ㅠ,ㅕ가 모두 사람을 겸함은 사람은 만물의 영장으로 능히 음양에 참여할 수 있기 때문이다.
取象於天地人而三才之道備矣.
하늘과 땅과 사람의 모양을 취하므로 三才의 이치를 갖추느니라.
然三才爲萬物之先 而天又爲三才之始
그러나 三才가 만물의 앞이더라도 하늘이 또한 三才의 시작이니
猶ㆍㅡㅣ三字爲八聲之首 而ㆍ又爲三字之冠也.
ㆍ,ㅡ,ㅣ 석 자가 여덟 소리의 머리가 되며 다시 ㆍ가 석 자의 으뜸이 되었다.
ㅗ初生於天 天一生水之位也.
ㅗ는 하늘에서 먼저 생겼는데, 天數 1은 물을 낳는 자리이다.
ㅏ次之 天三生木之位也.
ㅏ는 그 다음으로, 天數 3은 나무를 낳는 자리이다.
ㅜ初生於地 地二生火之位也.
ㅜ는 땅에서 처음 생겼는데, 地數 2는 불을 낳는 자리이다.
ㅓ次之 地四生金之位也.
ㅓ는 그 다음으로, 地數 4는 쇠를 낳는 자리이다.
ㅛ再生於天 天七成火之數也.
ㅛ는 하늘에서 두번째로 생겼는데, 天數 7은 불을 성숙시키는 자리이다.
ㅑ次之 天九成金之數也.
ㅑ는 그 다음으로, 天數 9는 쇠를 성숙시키는 자리이다.
ㅠ再生於地 地六成水之數也.
ㅠ는 땅에서 두번째로 생겼는데, 地數 6은 물을 성숙시키는 자리이다.
ㅕ次之 地八成木之數也.
ㅕ는 그 다음으로, 地數 8은 나무를 성숙시키는 자리이다.
水火未離乎氣 陰陽交合之初 故闔.
물과 불은 아직 氣에서 벗어나지 못하여 음과 양이 서로 어우르는 시초이니 오므라진다.(원순모음이 된다.)
木金陰陽之定質 故闢.
나무와 쇠는 음양이 고정된 바탕이니 펴진다.(非원순모음 즉 평순모음이 된다.)
ㆍ天五生土之位也. ㅡ地十成土之數也.
ㆍ는 天數 5로, 흙을 낳는 자리이다. ㅡ는 地數 10으로 흙을 성숙시키는 數이다.
ㅣ獨無位數者 盖以人則無極之眞 二五之精 妙合而凝
ㅣ에만 혼자 자리수가 없음은 대개 사람은 無極의 정수로, 음양오행의 정기가 신묘하게 어울려 엉긴 것으로,
固未可以定位成數論也.
ㅣ에만 혼자 자리수가 없음은 대개 사람은 無極의 정수로, 음양오행의 정기가 신묘하게 어울려 엉긴 것으로, 본래 정해진 자리나, 성숙시키는 자리가 논해질 수 없기 때문이다.
是則中聲之中 亦自有陰陽五行方位之數也.
이는 곧 중성의 가운데에서도
또한 음양,오행,방위의 자리수가 있기 때문이다.
以初聲對中聲而言之.
초성 대 중성으로써 말하면,
陰陽 天道也. 剛柔 地道也.
陰陽은 하늘의 이치요, 剛柔는 땅의 이치라.
中聲者 一深一淺一闔一闢
중성이 한편으로 깊으면, 다른 한편은 얕고, 또 한편이 합이면, 다른 한편은 벽이니,
(모음이 상호 대립적으로 존재한다는 사실을 말하고 있다.)
是則陰陽分而五行之氣具焉 天之用也.
이는 곧 음양으로 나뉘나 오행의 기운을 갖추고 있는 것이니 하늘(ㆍ)의 작용이다.
初聲者 或虛或實或颺或滯或重若輕
초성이 허하고, 실하고, 날리고, 엉기고, 무겁고, 가벼운 것은,
是則剛柔著而五行之質成焉 地之功也.
곧 剛柔가 나타나 오행의 바탕이 이루어진 것이니, 땅의 功이다.
中聲以深淺闔闢唱之於前 初聲以五音淸濁和之於後
중성이 심,천,합,벽으로 앞의 것(초성)을 부르면, 초성은 5음의 청,탁으로 뒤의 것 (중성)에 화답하는데,
而爲初亦爲終 亦可見萬物初生於地 復歸於地也.
초성이 되기도 하고, 종성이 되기도 하는 것은 역시 만물이 땅에서 처음 나서 다시 땅으로 돌아가는 이치와 같다.
初中終合成之字 以初中終合成之字言之
초, 중, 종성이 어울려 이루는 글자 (음절)에 대해 말하자면,
亦有動靜互根陰陽交變之義焉.
마찬가지로 움직임과 멎음이 서로 근본이 되어 음과 양이 어우러져 바뀌는 뜻이 있으니
動者 天也. 靜者 地也. 兼互動靜者 人也.
움직이는 것은 하늘(초성)이요, 멎어 있는 것은 땅(종성)이며, 움직임과 멎음을 겸한 것은 사람(중성)이라.
盖五行在天則神之運也 在地則質之成也.
대개 오행은 하늘에 있은 즉 신의 운행이요, 땅에 있는 즉 바탕의 이룸이다.
在人則仁禮信義智神之運也 肝心脾肺腎質之成也.
사람에게 있은 즉 仁,禮,信,義,智는 신의 운행이요, 간장, 심장, 비장, 폐장, 신장은 바탕의 이룸이다.
初聲有發動之義 天之事也.
초성에는 일어나 움직이는 뜻이 있으니, 이는 하늘이 하는 일이며,
終聲有止定之義 地之事也.
종성에는 멎어 정하게 하는 뜻이 있으니, 이는 땅이 하는 일이라.
中聲承初之生 接終之成 人之事也.
중성은 초성의 생김을 이어 종성의 이룸에 잇대주니 사람이 하는 일이다.
盖字韻之要 在於中聲 初終合而成音.
대개 자운(음절)의 허리는 중성에 있는데, 초성과 종성을 어우러 소리를 이룬다.
亦猶天地生成萬物 而其財成輔相則必賴乎人也.
이는 역시 하늘과 땅이 만물을 생성하되 그 조절과 보충은 반드시 사람에 힘입음과 같다.
終聲 復用初聲者 以其動而陽者乾也 靜而陰者亦乾也
종성에 초성을 다시 씀은, 그것이 움직여 양이 된 것도 乾이요, 멎어 음이 된 것도 乾때문이니,
乾實分陰陽而無不君宰也.
乾은 실로 음양으로 나뉘어 주재하여 다스리지 않음이 없기 때문이다.
一元之氣 周流不窮 四時之運 循環無端
태초의 기운이 두루 흘러 다하지 않으매, 4철의 운행이 순환하여 끝이 없으므로
故貞而復元 冬而復春.
貞에서 다시 元이 되고, 겨울이 다시 봄이 되니,
初聲之復爲終 終聲之復爲初 亦此義也.
초성이 다시 종성이 되고 종성이 다시 초성이 됨도 역시 이러한 이치니라.
旴. 正音作而天地萬物之理咸備 其神矣哉
아, 정음이 만들어져 천지 만물의 이치를 모두 갖추니, 그 신이로움이여.
是殆天啓聖心而假手焉者乎.
이는 아마도 하늘이 성군(세종대왕)의 마음을 여시고, 그 솜씨를 빌려주신 것이 아니겠는가?
7X86(602)+ 3= 605
(訣曰) [결왈.] 간추려 말하면
하늘과 땅의 조화로움은 본래 하나의 기운이니
(天地之化本一氣.)
[천지지화본일기 이니.]
음양오행이 서로 시작과 끝이 되니라.
(陰陽五行相始終.)
[음양오행상시종 이니라.]
둘(하늘과 땅) 사이 만물에는 형태와 소리가 있으나
(物於兩間有形聲.)
[물어양간유형성 이나.]
근본은 둘이 아니니 이치와 숫자로 통하니라.
(元本無二理數通.)
[원본무이리수통 이니라.]
바른소리를 만들면서 그 모양을 본뜨되,
(正音制字尙其象.)
[정음제자상기상 하되.]
소리의 세기에 엄격하게 획을 더했네.
(因聲之厲每加畫.)
[인성지려매가획 이니라.]
소리는 ‘아설순치후(어금니, 혀, 입술, 이, 목구멍)’에서 나오니
(音出牙舌脣齒喉.)
[음출아설순치후 하니.]
여기에서 초성 열일곱자가 나왔네.
(是爲初聲字十七.)
[시위초성자십칠 이니라.]
-----------------------------
어금닛소리는 혀뿌리가 목구멍을 막는 형태를 취하였는데,
(牙取舌根閉喉形.)
[아취설근폐후형 이나.]
다만 ‘業(업 = ㆁ(옛이응))’은 ‘欲(욕 = ㅇ)’과 비슷하지만 그 취한 뜻이 다르다.
(唯業似欲取義別.)
[유업사욕취의별 이니라.]
혓소리는 혀가 윗잇몸에 닿는 모양을 본뜨고
(舌迺象舌附上齶? *‘악’과 정확히 매치되는 동일한 현대 한자가 없네요...)
[설내상설부상악 이요.]
입술소리는 실제 입의 형태를 취하였느니라.
(脣則實是取口形.)
[순즉실시취구형 이니라.]
잇소리와 목구멍소리도 바로 이와 목구멍 모양을 본뜬 것이니.
(齒喉直取齒喉象.)
[취후직취치후상 이니.]
이러한 다섯 가지의 의미를 알면 소리가 저절로 분명해지니라.
(知斯五義聲自明.)
[지사오의성자명 이니라.]
또한 반혓소리(ㄹ)과 반잇소리(ㅿ)가 있는데
(又有半舌半齒音.)
[우유반설반치음 이나.]
같은 형상을 본떴지만 드러난 모양이 다르네.
(取象同而體則異)
[취상동이체즉이 이니라.]
--------------------------------------
나(ㄴ), 미(ㅁ), 술(ㅅ), 욕(ㅇ)은 소리가 세지 않아서,
(那彌戌欲聲不厲.)
[나미술욕성불려 하니.]
차례의 순서로는 나중이지만 모양을 본뜸으로는 처음이 되네.
(次序雖後象形始.)
[차서수후상형시 이니라.]
(훈민정음이) 사계절과 충기와 짝을 이루니
(配諸四時與沖氣,)
[배제사시여충기 하니.]
오행과 오음에 어울리지 않는 것이 없네.
(五行五音無不協.)
[오행오음무불협 이니라.]
목구멍소리는 물이고 겨울이며 우가 되네.
(維喉爲水冬與羽.)
[유후위수동여우 이고,]
어금닛소리는 나무이고 봄이며 각이 되네.
(牙迺春木其音角.)
[아음춘목기음각 이니라.]
혓소리는 여름이고 불이며 치가 되네.
(치..音夏火是舌聲.)
[치음하화시설성 이요.]
잇소리는 가을이고 쇠이며 상이 되네.
(齒則商秋又是金.)
[치즉상추우시금 이니라.]
입술소리는 본디 위치와 수의 정함이 없으니.
(脣於位數本無定.)
[순어위수본무정 이니.]
흙이고 늦여름이며 궁이 되네.
(土而季夏爲宮音.)
[토이계하위궁음 이니라.]
--------------------------------------
말소리에는 또한 본디 맑은소리와 탁한소리가 있으니,
(聲音又自有淸濁,)
[성음우자유청탁 이니,]
첫소리 내기부터 자세히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니라.
(要於初發細推尋.)
[요어초발세추심 이라.]
모두맑은소리는 ‘ㄱ(君), ㄷ(斗), ㅂ(鼈)’이고,
(全淸聲是君斗鼈),
[전청성시군두별 이요.]
‘ㅈ(卽), ㅅ(戌), ㆆ(揖)’ 또한 모두맑은소리니라.
(卽戌揖亦全淸聲.)
[즉술읍역전청성 이니라.]
‘ㅋ(快), ㅌ(呑), ㅍ(漂), ㅊ(侵), ㅎ(虛)’으로 말하자면,
(若迺快呑漂侵虛,)
[약내쾌탄표침허 는,]
오음(ㄱ, ㄷ, ㅂ, ㅅ, ㅇ)에서 각각 다음맑은 소리가 된 것이니라.
(五音各一爲次淸.)
[오음각일위차청 이니라.]
모두탁한소리는 ‘ㄲ(虯), ㄸ(覃), ㅃ(步)’이고,
(全濁之聲虯覃步.)
[전탁지성규담보 요.]
또한 ‘ㅉ(慈), ㅆ(邪), ㅎㅎ(洪)’있느니라.
(又有慈邪亦有洪.)
[우유자사역유홍 이라.]
--------------------------------
모두맑은소리를 나란히 같이 쓰면 모두탁한소리가 되는데,
(全淸竝書爲全濁,)
[전청병서위전탁 이나,]
다만 ‘ㅎㅎ(洪)’만은 다음맑은소리 ‘ㅎ(虛)’에서 온 것이니 다르다고 할 수 있느니라.
(唯洪自虛是不同.)
[유홍자허시불동 이니라.]
ㆁ(옛이응. 業), ㄴ(那), ㅁ(彌), ㅇ(欲)과 ㄹ(閭), ㅿ(穰)은
(業那彌欲及閭穰,)
[업나미욕급려양 은,]
그 소리가 맑지도 탁하지도 않네.
(其聲不淸又不濁,)
[기성불청우불탁 이니라.]
‘ㅇ(欲)’을 이어 쓰면 입술가벼운소리(순경음)가 되는데,
(欲之連書爲脣輕,)
[욕지연서위순경 이니,]
목구멍소리가 많아지면서 입술을 잠깐 오므리네.
(喉聲多而脣乍合.)
[후성다이순사합 이니라.]
가운뎃소리(중성) 열한 글자 또한 모양을 본떴으나,
(中聲十一亦取象,)
[중성십일역취상 이나,]
자세한 뜻은 가히 쉽게 보지 못하네.
(精義未可容易觀.)
[정의미가용이관 이니라.]
---------------------------------
‘ㆍ(呑, 아래아)’는 하늘을 본떠 소리가 가장 깊으니,
(呑擬於天聲最深,)
[탄의어천성최심 이니,]
둥근 모양이 탄알과 같으니라.
(所以圓形如彈丸.)
[소이원형여탄환 이니라.]
‘ㅡ(卽)’는 깊지도 얕지도 않으니,
(卽聲不深又不淺,)
[즉성불심우불천 이니,]
그 평평한 모양은 땅을 본떴느니라.
(其形之平象乎地.)
[기형지평상호지 이니라.]
‘ㅣ(侵)’는 사람이 서 있는 모양으로 소리가 얕으니,
(侵象人立厥聲淺,)
[침상인립궐성천 이니,]
(천지인) 삼재의 도가 이와 같이 갖추어졌노라.
(三才之道斯爲備.)
[삼재지도사위비 이니라.]
‘ㅗ(洪)’는 하늘(ㆍ)로부터 나와서 입을 오므리니,
(洪出於天尙爲闔,)
[홍출어천상위합 이니,]
둥근 하늘과 평평한 땅을 합하여 그 형태를 만들었노라.
(象取天圓合地平.)
[상취처원합지평 이니라.]
‘ㅏ(覃)’ 또한 하늘(ㆍ)로부터 나왔으되 입이 열려 있으니
(覃亦出天爲已闢,)
[담역출천위이벽 이니,]
사물에 드러나 사람이 이루니라.
(發於事物就人成.)
[발어사물취인성 이니라.]
처음 생겨난다는 의미로써 둥근 점이 하나(ㆍ)이며,
(用初生義一其圓,)
[용초샹의일기원 이요.]
하늘에서 나와 양(陽)이라 위(ㅗ)와 밖(ㅏ)에 놓였노라.
(出天爲陽在上外.)
[출천위양재상외 니라.]
------------------------------------------
‘ㅛ(欲)’와 ‘ㅑ(穰)’는 사람(ㅣ)을 겸하여 거듭 나게 되니,
(欲穰兼人爲再出,)
[욕양겸인위재출 이니,]
두 개의 둥근 점(ㆍㆍ)으로써 그 의미를 보여준 것이니라.
(二圓爲形見其義.)
[이원위형현기의 니라.]
‘ㅜ(君)’와 ‘ㅓ(業)’와 ‘ㅠ(戌)’와 ‘ㅕ(彆)’는 땅에서 나왔으니,
(君業戌彆出於地,)
[군업술별출어지 이니,]
예로 미루어 저절로 알 것인데 무엇을 풀어 말하겠는가?
(據例自知何須評.)
[거례자지하수평 하는가?]
‘ㆍ(呑)’가 여덟 소리(ㅗ, ㅏ, ㅛ, ㅑ, ㅜ, ㅓ, ㅠ, ㅕ)를 꿰는 글자가 되는 것은
(呑之爲字貫八聲,)
[탄지위자관팔성 은,]
오직 하늘(ㆍ)이 두루 흘러 쓰이는 것과 같느니라.
(維天之用偏流行.)
[유천지용편류행 이니라.]
네 소리(ㅛ, ㅑ, ㅠ, ㅕ)에 사람(ㅣ)을 겸한 이유가 있으니,
(四聲兼人亦有由,)
[사성겸인역유유 하니,]
사람이 천지(ㆍ와 ㅡ)에 참여함에 있어 가장 신령하기 때문이니라.
(人參天地爲最靈.)
[인참천지위최령 이니라.]
----------------------------------------
또, 세 개의 소리(초성, 중성, 종성)를 탐구하여 이치를 살펴보면,
(且就三聲究至理,)
[차취삼성구지리 하면,]
강함과 부드러움, 음과 양을 스스로 갖고 있느니라.
(自由剛柔與陰陽.)
[자유강유여음양 이니라.]
가운뎃소리(중성)은 하늘(ㆍ)이 작용하여 음과 양으로 나뉘었고,
(中是天用陰陽分,)
[중시천용음양분 이요,]
첫소리(초성)는 땅(ㅡ)의 공로로 강함과 부드러움을 드러내느니라.
(初迺地功剛柔彰.)
[초내지공강유창 이니라.]
가운뎃소리가 부르면 첫소리가 회답하니,
(中聲唱之初聲和,)
[중성창지초성화 하니,]
하늘(ㆍ)이 땅(ㅡ)에 앞섬은 자연의 이치니라.
(天先乎地理自然.)
[천선호지리자연 이니라.]
회답함이 첫소리도 되고 끝소리도 되는 것이니,
(和者爲初亦爲終,)
[화자위초역위종 이니,]
만물이 땅에서 나서 땅으로 돌아가는 것이니라.
(物生復歸皆於坤.)
[물생복귀개어곤 이니라.]
음이 변하여 양이 되고 양이 변하여 음이 되니,
(陰變爲陽陽變陰,)
[음변위양양변음 이니,]
움직임과 고요함(멈춤)이 서로 뿌리가 되느니라.
(一動一靜互爲根.)
[일동일정호위근 이니라.]
-----------------------------
첫소리는 다시 피어나는 의미가 있으니,
(初聲復有發生義,)
[초성부우발생의 이니,]
양의 움직임은 하늘(ㆍ)이 주관함이니라.
(爲陽之動主於天.)
[위양지동주어천 이니라.]
끝소리를 땅에 견주면 음의 고요함이니,
(終聲比地陰之靜,)
[종성비지음지정 이니,]
글자 소리가 여기서 멈춰 정해지느니라.
(字音於此止定焉.)
[자음어차지정언 이니라.]
운율을 이루는 핵심은 가운뎃소리 작용에 있으니,
(韻成要在中聲用,)
[운성요재중성요 이니,]
사람(ㅣ)이 능히 하늘(ㆍ)과 땅(ㅡ)의 마땅한 이치를 돕는(輔相) 것 이니라.
(人能輔相天地宜.)
[인능보상천지의 이니라.]
양(첫소리)에 쓰이는 것이 음(끝소리)에도 통하니,
(陽之爲用通於陰,)
[양지위용통어음 이니,]
(음에) 이르러 소리를 펼치면 다시 (양으로) 돌아오느니라.
(至而伸則反而歸.)
[지이신즉반이귀 이니라.]
첫소리와 끝소리가 비록 음양으로 나뉜다고 하나,
(初終雖云分兩儀,)
[초성수운분량의 이나,]
끝소리에 첫소리를 쓰는 뜻을 알 수 있느니라.
(終用初聲義可知.)
[종용초성의가지 이니라.]
바른소리 글자가 단지 스물여덟 자뿐이니,
(正音之字只卄八,)
[정음지자지입팔 이니,]
뒤섞여 엉클어진 것(어려운 이치)을 탐구하여 그 궁극의 깊은 기미를 찾았노라.
(探賾錯綜窮深幾.)
[탐색착종궁심기 이니라.]
뜻은 멀되 말은 가까워 백성이 깨치기 쉬우니,
(指遠言近牖民易,)
[지원언근유민이 하니,]
하늘이 내리신 것이지 어찌 (사람의) 지혜와 재주로 된 것이겠는가?
(天授何曾智巧爲.)
[천수하중지교위 이니라.]
초성해初聲解
正音初聲 卽韻書之字母也. 聲音由此而生 故曰母.
正音의 초성은 즉 韻書의 자모이니, 말소리가 이로부터 생겨나므로 '모'라 한다.
如牙音君字初聲是ㄱ ㄱ與而爲군
어금닛소리 君자의 초성은 ㄱ으로,ㄱ과 이 어울려 군이된다.
快字初聲是ㅋ ㅋ與ㅙ而爲쾌.
快자의 초성은 ㅋ으로,ㅋ과 ㅙ가 어울려 쾌가 된다.
뀨字初聲是ㄲ ㄲ與ㅠ而爲뀨.
뀨자의 초성은 ㄲ으로,ㄲ과 ㅠ가 어울려 뀨가 된다.
業字初聲是ㆁ ㆁ與而爲之類.9
業자의 초성은 ㆁ 으로,ㆁ 과 업이 어울려 업이 되는 따위이다.
舌之斗呑覃那 脣之彆漂步彌 齒之卽侵慈戌邪 喉之挹虛洪欲 半舌半齒之閭穰 皆倣此.
半舌半齒之閭穰 皆倣此.
혓소리 斗,呑,覃,那, 입술소리 별,漂,步,彌, 잇소리 卽,侵,慈,戌,邪, 목소리 읍,虛,洪,欲,반혀.반잇소리 閭,穰, 모두 이를 따른다.(마찬가지 원리이다)
중성해 中聲解
中聲者 居字韻之中 合初終而成音
중성은 음절(字韻)의 가운데 놓여 초.종성과 합하여져 소리를 이룬다.
如呑字中聲是ㆍ ㆍ居ㅌㄴ之間而爲.11
''자의 중성은 ㆍ로, ㆍ가 ㅌ과 ㄴ 사이에 놓여 ''이 되고,
卽字中聲是ㅡ ㅡ居ㅈㄱ之間而爲즉.
卽자의 중성은 ㅡ로, ㅡ가 ㅈ과 ㄱ 사이에 놓여 '즉'이 되고,
侵字中聲是ㅣ ㅣ居ㅊㅁ之間而爲침之類.
侵자의 중성은 ㅣ로, ㅣ가 ㅊ과 ㅁ 사이에 놓여 '침'이 되는 따위와 같다.
洪覃君業欲穰戌별 皆倣此.
洪,覃,君,業,欲,穰,戌,별, 모두 이를 따른다.
二字合用者
두 자가 합하여져서 쓰이는 중성은,
ㅗ與ㅏ同出於ㆍ 故合而爲ㅘ.
ㅗ와 ㅏ는 똑같이 ㆍ에서 나왔으므로 합하여져서 ㅘ가 된다.
ㅛ與ㅑ又同出於ㅣ 故合而爲ㆇ.
ㅛ와 ㅑ는 또 똑같이 ㅣ에서 나왔으므로 합하여져서 ㆇ가 된다.
ㅜ與ㅓ同出於ㅡ 故合而爲ㅝ.
ㅜ와 ㅓ는 똑같이 ㅡ에서 나왔으므로 합하여져서 ㅝ가 된다.
ㅠ與ㅕ又同出於ㅣ 故合而爲ㆋ.
ㅠ와 ㅕ는 또 똑같이 ㅣ에서 나왔으므로 합하여져서 'ㆋ'가 된다.
以其同出而爲類 故相合而不悖也.
그들은 모두 똑같이 나와 같은 類가 되었으므로, 서로 어우러짐에 어그러짐이 없다
一字中聲之與ㅣ相合者十 ㅓㅢㅚㅐㅟㅔㆉㅒㆌㅖ是也.
한 字짜리 중성이 ㅣ와 어울린 것은 10개로, ㅓ,ㅢ,ㅚ,ㅐ,ㅟ,ㅔ,ㆉ,ㅒ,ㆌ,ㅖ, 그것이다.
二字中聲之與ㅣ相合者四 ㅙㅞㆈㆋ是也.
두 字짜리 중성이 ㅣ와 어울린 것은 4개로, ㅙ,ㅞ,ㆈ,ㆋ, 그것이다.
ㅣ於深淺闔闢之聲 幷能相隨者
ㅣ가, 심천합벽의 소리에 두루 능히 서로 따를 수 있는 것은,
그것이 혀가 펴지고 소리가 얕아 입을 벌리기에 편하기 때문이다.
亦可見人之參贊開物而無所不通也.
역시 사람이 만물을 여는 데 참여하여 통하지 않음이 없음을 볼 수 있다.
종성해 終 聲 解
終聲者. 承初中而成字韻. 如卽字終聲. 是 ㄱ.
ㄱ 居 즈 終而爲 즉, 洪字終聲 是 ㆁ. ㆁ居終而爲 之類
종성이란 것은 초성과 종성으로 이어받아서 자운을 이루는 것이다.
가령 즉 자의 종성은 ㄱ 이니 ㄱ 은 「즈」의 끝에 있어서 「즉」이 되고 홍자의 종성은
ㆁ 이니 ㆁ은 의 끝에 있어서 이 되는 것 따위와 같다.
舌脣齒喉皆同. 聲有緩急之殊. 故 乎上去 其終聲
不類入聲之促急. 不淸不濁之字 其聲 不?. 故 用於
終則宜於乎上去. 全淸次淸全濁之字. 其聲爲?. 故
用於終則宜於入. 所以. ㆁㄴㅁㄹㅿ六字 爲乎上去聲
之終. 而餘 皆位入聲之終也
혀소리 입술소리 닛소리 목구멍소리도 마찬가지나
소리에는 느리고 빠름의 다름이 있으므로 평성, 상성, 거성은 그 방법이 입성의 촉급과 같지 않고
불청 불탁의 글자는 그 소리가 세지 않는 까닭에 받침으로쓰면 입성에 마땅하다.
그러므로 ㆁㄴㅁㄹㅿ여섯자는 평성, 상서, 거성의 받침이 되고 그나머지는 다 입성의 받침이 된다.
然 ㄱㆁㄷㄴㅂㅁㅅㄹ八字 可足用也. 如 빚곶 爲梨花
ㅇ의갗爲狐皮. 而八字 可以通用. 故 只用八字. 且 ㅇ 은
聲炎而虛. 不必用於終. 而中聲 可得成音也. ㄷ 如 ㅂ 爲霰
ㄴ如군 爲君. ㅂ如업 爲業. ㅁ如땀爲覃. 人如 諺語옷爲衣.
ㄹ如 諺語실爲 絲之類.
그러나 ㄱㆁ ㄷ ㄴ ㅂ ㅁ ㅅ ㄹ 여덟자만으로도 족히 쓸 수 있다.
가령 빚곶에는 ㅈ 이오 ㅇ의갗(狐皮)에는 ㅊ이나 ㅅ 자로서 가히 통혀 쓸 수 있는 까닭에 자만 ㅅ 자로 쓰고
또 ㅇ 은 소리가 맑고 비어서 반드시 받침에 쓰지 않아도 ㅂ 은 업의 받침이 되고 ㅁ 은 땀의 받침이 되고
ㅅ 은 속말로 옷의 받침이 되고 ㄹ 은 속말고 실의 받침이 되는 것 따위와 같다. .
五音之緩急. 亦名自爲對. 女牙之 與 ㄱ 爲對. 而
促呼則變爲 ㄱ 而急. ㄱ 舒出則變爲 而緩. 舌之 ㄴ ㄷ
脣之 ㅁ ㅂ. 齒之 ㅅ. 喉之 ㅇ ㄴ. 其緩急相對. 亦병是也
오음은 느리고 빠름이 각각 저절로 대가 되어있다.
가량 엄소리 은 ㄱ 과 대가 되니 을 빠르게 부르면 ㄱ 으로 변하여 급해지고
ㄱ을 천천히 내면 으로 바뀌어 느리니 혀소리의 ㄴ ㄷ 과 입술소리의 ㅁ ㅂ 과
잇소리의 ㅅ 과 목구멍소리의 ㅇ ㄴ은 그 느리고 빠름의 상대가 또한 이와 같다.
且半舌之 ㄹ. 當用於諺. 而不可用於文. 如入聲之霰字.
終聲 當用 ㄷ. 而 俗習讀 ㄹ. 盖 ㄷ 變而爲輕也. 苦用
ㄹ 爲霰之終. 則其聲 舒緩. 不爲入也. 訣 曰
또 반혀소리 ㄹ 은 마땅이 우리말이나 쓸것이요 한자음에는 쓸 스 없는 것이니
가령 입성의 별자도 받침에 마땅이 ㄷ을 써야만 될 것이나 시속에 ㄹ 로 읽으니 대가 ㄷ 이 바뀌어 가볍게 될 것이다.
만약 ㄹ을 별자의 받침으로 쓴다면 그 소리가 느리어 입성이 되지 않는다.
결로 말하면
不淸不濁用於終. 爲乎上去不爲入.
불청불탁을 받침에 쓴다면 평, 상, 거성이 되고 입성이 되지 않으며
全淸次淸及全濁. 皆是爲入聲促急.
전청과 차청 또 전탁은 모두 다 입성이 되어 촉급하다.
初作終聲理固然 只將八子用不窮
초성이 되는 이치는 그러하나 다만 여덟자만 써도 궁하지 않다.
唯有俗聲所當處 中聲成音亦可通
오직 ㅇ 소리만은 마땅히 쓸데에 중성으로 음을 이루어 가히 통하리라.
若書卽字終用君 洪霰赤以業斗終
만약 즉 자를 쓰려면 ㄱ을 끝에 쓰고, 에는 이요 별에 ㄷ 이 끝이니
君業當終又如何 以那霰彌次第推
군, 업, 담자의 받침은 또 어떠할가 ㄴ ㅂ ㅁ 차례로써 미루어 알리라.
六聲通乎文與諺 戌閭用於諺衣絲
여섯자는 한자와 우리말에 두루쓰고 옷과 실의 ㅅ ㄹ 은 우리말에만 쓴다.
五音緩急名自對 君聲 是業之促
오음의 완급이 다 각각 대가 되니 ㄱ 소리는 소리를 빠르게 낸 것이요
斗霰聲終爲那彌 穰欲亦對戌與
ㄷ ㅂ 소리가 느리면 ㄴ ㅁ 이되고 ㅇ 은 ㅅ ㄴ과 더불어 대가 된다.
閭宜於諺不宜文 斗輕爲閭是俗習
ㄹ 은 우리말에는 쓰나 한자에는 않쓰고 ㄷ 이 가볍게 ㄹ 됨은 시속의 습관이라
합자해 合字解
初中終三聲 合而成字. 初聲或在中聲之上 或在中聲之左.
초.중.종 3성은 어울려야 글자를 이룬다. 초성은 중성의 위에 놓이거나 왼쪽에 놓인다
如君字ㄱ在ㅜ上
'군'字의 ㄱ이 ㅜ 위에 있고
業字ㆁ在ㅓ左之類.
'업'字의 ㅇ이 ㅓ 왼쪽에 있는 따위와 같다.
中聲則圓者橫者在初聲之下 ㆍㅡㅗㅛㅜㅠ是也.
중성의 '둥근 것'과 '가로로 된 것'은 초성의 아래에 놓이는데, ㆍㅡ,ㅗ,ㅛ,ㅜ,ㅠ 그것이다.
縱者在初聲之右 ㅣㅏㅑㅓㅕ是也.
'세로로 된 것'은 초성의 오른쪽에 놓이는데, ㅣ,ㅏ,ㅑ,ㅓ,ㅕ 그것이다.
如呑字ㆍ在ㅌ下
卽字ㅡ在ㅈ下
'즉'字의 ㅡ는 ㅈ의 아래에 놓이고,
侵字ㅣ在ㅊ右之類.
'침'字의 ㅣ는 ㅊ의 오른쪽에 놓이는 따위와 같다.
終聲在初中之下.
종성은 초.중성의 아래에 놓인다.
如君字ㄴ在구下
'군'字의 ㄴ은 구의 아래에 놓이고,
初聲二字三字合用幷書 如諺語·爲地 爲雙·爲隙之類
초성의 두세字를 합용병서는 地 지를 우리말 땅이라하고雙의 쌍 隙의 ㅃ의 글자에 해당한다.
各自幷書 如諺語 혀爲舌而·爲引 괴·여爲我愛人而괴·爲人愛我
각자병서는우리말의 혀를 안으로 당기서 발음하면 괴·여은 내가 사랑이고 한다는 것이고 괴·는 나를 사랑한다가된다.
소다爲覆物而쏘다爲射之之類.
소다는 물건을 덮는다는 뜻이고, 쏘다는 물건을 발사한다는 뜻이다.
中聲二字三字合用 如諺語.과爲琴柱 .홰爲炬之類.
중성의 두,세 字짜리는 어울려 쓰임이 우리말의 .과琴柱, .홰炬와 같다.
終聲二字三字合用 如諺語흙爲土 .낛爲釣 닭때爲酉時之類.
종성의 두,세 字짜리는 어울려 쓰임은 우리말의 흙이土를 뜻하고, 낛이 낚시를 뜻하고, 닭때는 酉時의 뜻이다.
其合用幷書 自左而右 初中終三聲皆同.
합용병서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쓰는 것이 초중종성 3성에 모두 해당된다.
文與諺雜用則有因字音而補以中終聲者
漢文과 우리말을 뒤섞어 쓸 경우, 漢字의 音으로 인해 중.종성으로 보충하는 일이 있으니,
如孔子ㅣ魯ㅅ사람之類.
孔子에 주격조사가 붙으면, 孔子ㅣ라 표기하고, 魯에 사이시옷이 붙으면 魯ㅅ사람으로 표기하는 것과 같다.
諺語平上去入 如활爲弓而其聲平 돌爲石而其聲上 갈爲刀而其聲去 붇爲筆而其聲入之類.
우리말의 평.상.거.입성은 활弓-평성, 돌石-상성, 갈刀-거성, 붇筆-입성 과 같다.
凡字之左 加一點爲去聲 二點爲上聲 無點爲平聲
모든 글자의 왼쪽에 1점을 더하면 거성, 2점이면 상성, 점이 없으면 평성이고,
而文之入聲 與去聲相似.
중국자음의 입성은 (우리말의) 거성과 비슷하지만,
諺之入聲無定 或似平聲 如긷爲柱 녑爲脅. 或似上聲 如:낟爲穀 :깁爲繒.
或似去聲 如.몯爲釘 .입爲口之類.
우리말 입성은 정해진 바가 없으니, 평성과 비슷하여, 긷柱, 녑脅과 같이 되고
상성과 비슷하여, :낟穀, :깁繒과 같거나
거성과 비슷하여, .몯釘, .입口과 같아지는 따위이나,
其加點則與平上去同.
그 점찍기는 평.상.거성과 같다.
平聲安而和 春也 萬物舒泰.
평성은 수월하고 부드러우니 봄이며, 만물이 천천히 피어 자람이라.
上聲和而擧 夏也 萬物漸盛.
상성은 부드러우며 높아지니 여름이며, 만물이 점차 盛함이라.
去聲擧而壯 秋也 萬物成熟.
거성은 높아지면서 단단해지니 가을이며, 만물의 성숙이라.
入聲促而塞 冬也 萬物閉藏.
입성은 빠르며 막히니 겨울이며, 만물이 문득 자취를 감춤이라.
初聲之ㆆ與o相似 於諺可以通用也.
초성의 ㆆ과 o은 서로 비슷하여 우리말에서 통용될 수 있다.
半舌有輕重二音. 然韻書字母唯一
반혓소리에는 가볍고 무거움의 두 소리가 있다. 그러나 韻書의 字母에서는 (구별하지 않고) 오직 하나로 하였고,
且國語雖不分輕重 皆得成音.
또한 우리나라말에서는 비록 가볍고 무거움으로 나누지 않으나 모두 말소리가 될 수 있다.
若欲備用 則依脣輕例
만일 별도로 쓰고자 한다면, 입술가벼운소리의 보기를 따라,
o連書ㄹ下 爲半舌輕音 舌乍附上月 .
o을 ㄹ 아래 붙여 써 '반입술가벼운소리'가 되는데, 혀가 윗잇몸에 잠깐만 붙는다.
ㆍㅡ起ㅣ聲 於國語無用. 兒童之言 邊野之語 或有之
ㆍ와ㅡ가 ㅣ소리에서 일어난 소리는 우리 나라말에서 쓰임이 없고, 어린이 말이나 시골 말에 간혹 있기도 하는데,마땅히 두 글자를 어울려 쓸 것이니
其先縱後橫 與他不同.
그 세로로 된 글자를 먼저 쓰고 가로로 된 글자를 나중에 쓴 글자는 다른 글자(가로로 된 글자를 먼저쓰고, 세로로 된 글자를 나중에 쓴 글자)와 다르다.
用字例 용자례 해석
초성 ㄱ의 예로는 감(柿)을 뜻하는 ‘감〯’, 갈대(蘆)를 뜻하는 ‘ᄀᆞᆯ〮’이 있다.
ㅋ의 예로는 우케(未舂稻)를 뜻하는 ‘우케〮’, 콩(大豆)을 뜻하는 ‘코ᇰ’이 있다.
ㆁ의 예로는 너구리(獺, 山獺)을 뜻하는 ‘러ᅌᅮᆯ〮’, 성에(流凘)를 뜻하는 ‘서ᅌᅦ〮’가 있다.
ㄷ의 예로는 띠(茅)를 뜻하는 ‘뒤〮’, 담장(墻)을 뜻하는 ‘담〮’이 있다.
ㅌ의 예로는 고치(繭)를 뜻하는 ‘고티〮’, 두꺼비(蟾蜍)를 뜻하는 ‘두텁’이 있다.
ㄴ의 예로는 노루(獐)를 뜻하는 ‘노로’, 원숭이(猿)를 뜻하는 ‘납’이 있다.
ㅂ의 예로는 팔(臂)을 뜻하는 ‘ᄇᆞᆯ’, 벌(蜂)을 뜻하는 ‘벌〯’이 있다.
ㅍ의 예로는 파(葱)를 뜻하는 ‘파〮’, 파리(蠅)를 뜻하는 ‘ᄑᆞᆯ〮’이 있다.
ㅁ의 예로는 산(山)을 뜻하는 ‘뫼〯’, 마(薯蕷)를 뜻하는 ‘마〮’가 있다.
ㅸ의 예로는 새우(蝦)를 뜻하는 ‘사ᄫᅵ〮’, 박(瓠)을 뜻하는 ‘드ᄫᅴ〮’가 있다.
ㅈ의 예로는 자(尺)를 뜻하는 ‘자〮’, 종이(紙)를 뜻하는 ‘죠ᄒᆡ〮’가 있다.
ㅊ의 예로는 체(籭)를 뜻하는 ‘체〮’, 채찍(鞭)을 뜻하는 ‘채’가 있다.
ㅅ의 예로는 손(手)을 뜻하는 ‘손〮’, 섬(島)을 뜻하는 ‘셤〯’이 있다.
ㅎ의 예로는 부엉이(鵂鶹)를 뜻하는 ‘부〮허ᇰ’, 힘줄(筋)을 뜻하는 ‘힘〮’이 있다.
ㅇ의 예로는 병아리(鷄雛)를 뜻하는 ‘비〮육’, 뱀(蛇)을 뜻하는 ‘ᄇᆞ〮얌’이 있다.
ㄹ의 예로는 우박(雹)을 뜻하는 ‘무〮뤼’, 얼음(氷)을 뜻하는 ‘어름〮’이 있다.
ㅿ의 예로는 아우(弟)를 뜻하는 ‘아ᅀᆞ’, 너새(鴇)를 뜻하는 ‘너〯ᅀᅵ’가 있다.
중성 ㆍ의 예로는 턱(頤)을 뜻하는 ‘ᄐᆞᆨ〮’, 팥(小豆)을 뜻하는 ‘ᄑᆞᆺ〮’, 다리(橋)를 뜻하는 ‘ᄃᆞ리’, 가래나무(楸)를 뜻하는 ‘ᄀᆞ〮래’가 있다.
ㅡ의 예로는 물(水)을 뜻하는 ‘믈〮’, 발꿈치(跟)를 뜻하는 ‘발〮측〮’, 기러기(雁)를 뜻하는 ‘그력’, 두레박(汲器)을 뜻하는 ‘드레〮’가 있다.
ㅣ의 예로는 둥지(巢)를 뜻하는 ‘깃〮’, 밀랍(蠟)을 뜻하는 ‘밀〯’, 피(稷)를 뜻하는 ‘피〮’, 키(箕)를 뜻하는 ‘키〮’가 있다.
ㅗ의 예로는 논(水田)을 뜻하는 ‘논〮’, 톱(鋸·鉅)을 뜻하는 ‘톱〮’, 호미(鉏)를 뜻하는 ‘호ᄆᆡ〮’, 벼루(硯)를 뜻하는 ‘벼로〮’가 있다.
ㅏ의 예로는 밥(飯)을 뜻하는 ‘밥〮’, 낫(鎌)을 뜻하는 ‘낟〮’, 잉아(綜)를 뜻하는 ‘이ᅌᅡ〮’, 사슴(鹿)을 뜻하는 ‘사ᄉᆞᆷ〮’이 있다.
ㅜ의 예로는 숯(炭)을 뜻하는 ‘숫’,울타리(籬)를 뜻하는 ‘울〮’, 누에(蠶)를 뜻하는 ‘누에〮’, 구리(銅)를 뜻하는 ‘구리〮’가 있다.
ㅓ의 예로는 부엌(竈)을 뜻하는 ‘브ᅀᅥᆸ’, 널빤지(板)를 뜻하는 ‘널〯’, 서리(霜)를 뜻하는 ‘서리〮’, 버들(柳)을 뜻하는 ‘버들〮’이 있다.
ㅛ의 예로는 종(奴)을 뜻하는 ‘죠ᇰ〯’, 고욤(梬)을 뜻하는 ‘고〮욤’, 소(牛)를 뜻하는 ‘쇼〮’, 삽주나물(蒼朮菜)을 뜻하는 ‘삽됴’가 있다.
ㅑ의 예로는 거북(남생이, 龜)을 뜻하는 ‘남샤ᇰ’, 𪓟鼊를 뜻하는 ‘약’, 대야(𠤷)를 뜻하는 ‘다야〮’, 메밀 껍질(蕎麥皮)을 뜻하는 ‘쟈감’이 있다.
ㅠ의 예로는 율무(薏苡)를 뜻하는 ‘율믜’, 주걱(飯𣖄)을 뜻하는 ‘쥭’, 우산(雨繖)을 뜻하는 ‘슈룹〮’, 수건(帨)을 뜻하는 ‘쥬련’이 있다.
ㅕ의 예로는 엿(飴餹)을 뜻하는 ‘엿〮’, 절(佛寺)을 뜻하는 ‘뎔’, 벼(為稻)를 뜻하는 '벼' , 제비(燕)를 뜻하는 ‘져〯비’가 있다.
종성 ㄱ의 예로는 닥나무(楮)를 뜻하는 ‘닥’, 독(甕)를 뜻하는 ‘독’이 있다.
ㆁ의 예로는 굼벵이(蠐螬)를 뜻하는 ‘굼〯버ᇰ’, 올챙이(蝌蚪)를 뜻하는 ‘올〮차ᇰ’이 있다.
ㄷ의 예로는 갓(笠)을 뜻하는 ‘갇〮’, 단풍나무(楓)를 뜻하는 ‘싣’이 있다.
ㄴ의 예로는 신발(屨)을 뜻하는 ‘신〮’, 반디(螢)를 뜻하는 ‘반〮되’가 있다.
ㅂ의 예로는 섶(薪)을 뜻하는 ‘섭’, 발굽(蹄)을 뜻하는 ‘굽〮’이 있다.
ㅁ의 예로는 범(虎)을 뜻하는 ‘범〯’, 샘(泉)을 뜻하는 ‘ᄉᆡᆷ〯’이 있다.
ㅅ의 예로는 잣(海松)을 뜻하는 ‘잣〯’, 못(池)을 뜻하는 ‘못〮’이 있다.
ㄹ의 예로는 달(月)을 뜻하는 ‘ᄃᆞᆯ〮’, 별(星)을 뜻하는 ‘별〯’이 있는 등이다.
=============================
552= 548(한문)+ 4(훈민정음) = 23×24
有天地自然之聲 則必有天地自然之文. 16
所以古人因聲制子 以通萬物之情以載三才之道 而後世不能易也. 27
然四方風土區別 聲氣亦隨而異焉. 14
盖外國之語 有其聲而無其字. 假中國文字以通其用 是猶 鑿之 也. 26
豈能達而無乎. 要皆各隨所處而安 不可强之使同也. 吾東方禮樂文章 擬華夏. 31
但方言之語 不與之同. 學書者患其旨趣之難曉 獄者疾其曲折之難通. 28
昔新羅薛總 始作吏讀 官府民間 至今行之. 然皆假字而用 或澁或窒. 27
非但鄙 無稽而已 至於言語之間 則不能達其萬一焉. 21
癸亥冬. 我殿下創制正音二十八字 略揭例義以示之 名曰訓民正音. 27
象形而字倣古篆 因聲而音犀七調. 三極之義 二氣之妙 莫不該括 26 ----------------243
以二十八字而轉換無窮 簡而要 精而通. 16
故智者不終朝而會 愚者可浹旬而學 以是解書 可以知其義. 24
以是聽訟 可以得其情. 字韻則淸獨之能辨 樂歌則律呂之克諧. 25
無所用而不備 無所往而不達. 雖風聲鶴 鷄鳴狗吠 皆可得而書矣. 26
逐命詳加解釋 以喩諸人. 10
於是 臣與集賢殿應敎臣崔恒 副敎理臣朴彭年 臣申叔舟 修撰臣成三問 29
敦寧府注簿臣姜希顔 行集賢殿副臣撰李塏 臣李善老等 謹作諸解及例 29
以敍其傾槪. 庶使觀者不師而自悟. 14
若其淵源精義之妙 則非臣等之所能發揮也.18
恭惟我殿下 天 之聖 制度施爲超越百王. 正音之作 無所祖述 而成於自然. 29
豈以其至理之無所不在 而非人爲之私也. 夫東方有國 不爲不久 26
而開物成務之大智 盖有待於今日也歟. 16
正統十一年九月上澣. 資憲大夫禮曹判書集賢殿大提學知春秋館事世子右賓客 33
臣鄭麟趾拜手稽首謹書. 10
訓民正音 4
-----------------------------------------------------
천지자연의 소리가 있다면 반드시 천지자연의 글자가 있어야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옛 사람이 소리글자를 만들어서, 온갖 사물의 실상(實相)과 통하게 하였고,
삼재(三才)의 도리를 책에 싣게 하니, 후세 사람이 그 도리를 알게하는 것이다.
그런데 세상은 기후와 토질이 나누어져 있으며, 말소리의 기운도 또한 따라서 서로 다르다.
대개 중국 이외의 나라말은 그 말소리는 있으나, 그 글자는 없다.
중국의 글자를 빌어서, 그리하여 그 사용을 같이하고 있으니,
이는 마치 둥근 구멍에 모난 자루를 낀 것과 같이 서로 어긋나는 일다.
어찌 능히 통달할 수가 있으며 막힘이 없을 수 있겠는가?
요컨대 글자는 각자가 살고 있는 곳에 따라서 정해질 것이지,
그것을 강요하여 같이하게 할 수는 없는 것이다.
우리 동방의 예악(禮樂),문장 등은 화하(華夏)의 것을 모방할 수는 있어도
글자만은 그러할 수는 없다.
글 배우는 이는 그 뜻의 깨치기 어려움을 근심하고
법을 다스리는 이는 그 곡절의 통하기 어려움을 괴롭게 여기고 있다.
옛날, 신라의 설총이 처음으로 이두글자를 만들었는데,
관청과 민간에서는 이제까지도 그것을 쓰고 있다.
그러나, 모두 한자를 빌어서 사용하므로, 어떤 것은 어색하고 어떤 것은 들어맞지 않는다.
비단 속되고 이치에 맞지 않을 뿐만 아니라,
(우리)말을 적는데 이르러서는 그 만분의 일도 통달치 못하는 것이다.
계해년 겨울에 우리 전하께서 비로소 정음 28자를 창제하시고,
간략하게 예의(例義)를 들어 보이시고 이름을 훈민정음이라고 지으셨다.
글자 모양은 고전(古篆)을 본떴고,소리의 원리를 바탕으로 하였으므로 음서칠조(音犀七調) 에 맞고,
삼극(三極)의 뜻과 이기(二氣)의 묘가 다 담겨져 있다.
이 28글자의 전환이 무궁하며 간단하고도 요긴하고 정통(精通)한 까닭에,
슬기로운 사람은 하루 아침에 깨우치고, 우둔한 사람도 열흘이면 배울 수 있다.
이 글자로써 한문을 풀면 그 뜻을 알 수 있고,
이 글자로써 송사를 심리하더라도 그 실정(實情)을 알 수 있게 되었다.
글소리는 청탁을 능히 구별할 수 있고, 악가(樂歌)의 율려(律呂)처럼 조화의 극치를 이룬다.
쓰는 데 모자람이 없으며, 어떤 경우에라도 다 적용되는 것이다.
바람소리, 학의 울음소리, 닭 우는 소리, 개 짖는 소리일지라도 모두 이 글자를 가지고 적을 수가 있다.
드디어 (세종께서) 저희들에게 자세히 이 글자에 대한 해석을 해서 여러 사람들을 가르치라고 분부하시니,
이에 신(臣)은 집현전 응교 최 항, 부교리 신 박팽년, 신 신숙주, 수찬 신 성삼문,
돈녕부 주부 신 강희안, 행(行)집현전부수찬 신 이개, 신 이선로 등과 더불어
삼가 여러 해(解 )와 예(例)를 지어서 이 글자에 대한 경개를 서술하고,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스승이 없어도 스스로 깨우치도록 바랐사오나,
그 깊은 연원이나 , 자세하고 묘한 깊은 이치에 대해서는, 신들이 능히 펴 나타낼 수 있는 바가 아니다.
삼가 생각하옵건대
우리 전하께서는 하늘이 내신 성인으로서 지으신 법도와 베푸신 시정 업적이 백왕(온갖 임금)을 초월하여,
정음을 지으심도 어떤 선인(先人)의 설을 이어 받으심이 없이 자연으로 이룩하신 것이라.
참으로 그 지극한 이치가 들어 있지 아니한 데가 없으니,
(이는) 어떤 개인의 사적(私的)인 조작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다.
대저 동방에 나라가 있음이 오래 되지 않음이 아니나,
문물을 창조하시고 사업을 성취시켜 주실 큰 지혜는 오늘에서야 비로서 계옵셨구나!
정통 11년 9월 상한, 자헌대부· 예조판서· 집현전 대제학· 지춘추관사· 세자 우빈객신하
정인지는 두 손 모아 절하고 머리 조아려 삼가 씀.
훈민정음
=====================--
정인지서문은 훈민정음해례본의 맨 끝에 붇어 있기 때문에,
이 책의 맨 앞에 있는 세종대왕의 서문과 구별하기 위하여 「鄭麟趾後書」라고도 한다.
정인지서문은 세종 28년 9월에 世宗御製序文,訓民正音本文과 함께 게재되어 있어서,
훈민정음해례본이 1940년경에 안동지방에서 발견되기 전부터 학자들 사이에 알려져 있었다.
특히 이 서문에는 訓民正音의 창제에 관하여 「象形而字倣古篆」이라고 표현한 대목이 있어서,
꾸준히 고전문자를 보방하여 창제하였다는 학설을 꾸준히 뒷받침하고 있다
======================================================
해례4383= 3857(한문)+526(정음)= 9×487(소수) =73×60+3
√(4,383=66.2042294721
6+6+2+0+4+2+2+9+4+7+2+1=45
66+2+0+4+2+2+9+4+7+2+1=99
66.2042294722^2=4,383.0000000077
3.2817543317×28×365×86.164=2,889,900.0000180397
3+2+8+1+7+5+4+3+3+1+7=44
4.120845053×28×365×86.164=3,628,799.9999591922
4+1+2+0+8+4+5+0+5+3=32
33+44=77
406+ 4383= 4789(소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