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福)이란]
복(福)이란, “아주 좋은 운수(運數), 삶에서
누리는 큰 행운(幸運)과 오붓한 행복(幸福)이
다.”
복(福)이 ‘운수’나 ‘행운’과 관련된 것으로
풀이되고 있는 것은 복이 인간의 힘을 초월한 천운(天運)에
의해서 저절로 돌아가는 기수(氣數) 위주로
이해되고 있음을 말하고 있다.
한편으로 복은 ‘아주 좋다’거나 ‘오붓하다
’는 말에서 풍기고 있는 것처럼 필요한 것이
허실 없이 두루 넉넉하게 갖추어져 있는 것을
나타내는 말로 이해되고 있음을 말해주고 있다.
복이란 한자는 원래 ‘시(示)’와 ‘복(畐)’의
회의문자(會意文字)이다.
‘시’는 하늘(天)이 사람에게 내려서 나타낸다는
신의(神意)의 상형문자이고,
‘복’은 복부가 불러 오른 단지의 상형문자라 한다.
‘복’의 한자 어원도 역시 복의 뜻이 가지는
두 함축, 곧 사람의 힘을 초월한 운수라는 뜻과 오붓하고
넉넉하다는 뜻의 함축을 풀이
해주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구체적으로 ‘아주 좋은 운수’가 무엇이며
‘큰 행운과 오붓한 행복’이 무엇을 가리키는 말인지는
사람에 따라, 시대에 따라, 혹은 사회나 문화에 따라
얼마든지 다른 풀이가 나올 수 있다.
분명한 것은 다만 복이란 사람의 삶에 관련된
선악, 행복, 불행의 모양을 나타내는 말이라는 것이다.
중국의 고대에는 1) 장수(長壽)를 누림(壽), 2)
가멸함(富), 3) 건강하고 마음 편안함(康寧),
4) 심성의 후덕함(攸好德), 5) 임종(臨終)의 성취함(考終命)을
다섯 가지 복(五福)으로 보았다.(書經 洪範九疇) *
가멸다: 재산이나 자원 따위가 넉넉하고 많다.
그런가 하면 장수함(壽)· 가멸함(富)· 귀함(貴)을 복이라
이르기도 하였다.(韓非子) 한편, 우리나라의
속설에는 아내를 잘 만나는 것도 복이요
, 이가 튼튼한 것도 복이라 일컫고 있다.
이처럼 복의 개념은 그 외연적 의미도 일정하지가 않고
내포적 의미도 분명하지만은 않으나,
한국 사람들은 스스로 의식하든 의식하지 않든
복을 빌면서 살아왔고 또 살아가고 있다.
비록, 한국 사람들이 실제로 복을 받으며 태어나서
복을 누리며 살고 간다고는 할 수 없다고 하더라도
대부분의 한국 사람들은 복을 비는 가운데 태어나서
복을 비는 마음속에서 자라나, 복을 비는
뭇 상징 속에 둘러싸여 복을 빌며 살다가
다시 복을 비는 마음속에서 죽어간다고 할 수 있다.
이처럼 복은 한국인의 삶을 그 밑바닥에서
움직이고 있는 가장 끈질기고 가장 보편적인 동기이다.
그런데 복은 우리들의 일상생활과 의식에 너무나도
밀착되어 있음으로 해서 거리를 두고 대상화해서
인식하기는 어려웠고, 지금까지
별로 인식하려 하지도 않았던 것이다.
가까이 있기 때문에 보지 못하고
, 언제나 더불어 있기 때문에 잊어버리고 있는 것이
복을 비는 마음이다. 그러나 조금만 주의해서
되돌아보면 우리들의 일상적인 언어생활에,
그리고 우리들의 가까운 의식주 생활에 얼마나 많이
복을 비는 말과 그를 조형화한 상징들이
산재하고 있는지 쉽게 깨닫게 된다.
울님들! 운명적으로 다가올 수도 있는
복(福) 많이 받으시옵고
행복하시기를 빌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