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TA 후 국내 제약사가 글로벌 신약개발을 위해 취할 수 있는 최선의 전략은 신약 후보물질 발굴 후 임상 2A수준까지 개발, 다국적사에 라이선스 해 로열티 수입을 얻는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임상 2A란 인간에서의 약효를 확인할 수 있는 단계를 말한다.
23일 서울대 약대와 한국화학연구원이 공공으로 개최한 ‘의약품 분야 한미 FTA 대응 정책심포지엄’에 발제자로 나선 정성철 원장(과학기술정책연구원)은 영세한 국내 제약사가 자금을 효율적으로 충당할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하며 이같이 주장했다.
장 원장은 “라이선스를 통해 신약 개발이 완료될 경우 매출의 5~20%에 달하는 로열티 수입을 얻을 수 있다”면서 “매출 10억달러가 넘는 블록버스터가 나온다면 매년 천억원 이상의 로열티를 받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장 원장은 “몇 차례의 라이선스를 통해 후보물질 발굴 역량을 축적하면, 라이센스 로열티 수익과 제네릭 및 개량신약 판매에서 얻은 수익을 토대로 전체 신약개발을 독자적으로 추진하는 단계로 성장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장 원장은 ▲신약개발전문 펀드 ▲신약개발센터 설립 ▲신약개발 조직위원회 조직 등으로 산·관·연 각 연구분야를 연계하고, 자금 지원이 가능한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다른 발제자로 나선 김성수 심의관(과기부 과학기술혁신본부)는 현재 방만하고 개별적으로 움직이고 있는 기초연구단계를 하나로 묶는 작업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김 심의관은 “후보물질 도출까지의 과정을 국가적인 아젠다로 선정해 기초연구단계가 사업화까지 연계될 수 있도록 하는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미약품 이관순 소장은 “모든 연구사업에 경쟁원리를 도입해야 한다”면서 “학연·지연을 떠나 동일분야에 복수 사업단을 선정해 연구가 이뤄지면 가시적인 성과를 빠른 시간에 낼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플로어 토론자로 나선 서울약대 심창구 교수는 현재 제약산업이 복지부 산하에서 움직이고 있는 것을 지적하며, “복지부는 안전성과 가격 견제기능을, 제약산업은 산자부가 육성, 발전시키는 방향으로 수정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외에도 이날 발제자로 나선 약업계 각 전문가들은 FTA 파고를 넘을 수 있는 대응 전략을 ‘구조조정과 R&D 투자 확대’라는 큰 틀에서 의견을 개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