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소)민들레 이야기
국화과에 속하는
여러해 살이 ''풀'' 민들레 이야기이다.
포공(蒲公)이란
민들레의 습성을 비유하여
한국학 에서 민들레를 지칭하는 말로 포공영(蒲公英) 이라고 한다.
민들레에는 아홉 가지의 배울점이 있다.
엣날 서당에서는
뜰에 민들레를 심어 글을 배우는 제자 들이 매일 같이 보면서
민들레의 아홉 가지의 덕목을 교훈으로 삼도록 가르쳤고
이를 포공구덕(蒲公九德)이라 했다.
1. 인(忍)
민들레를
밟거나 우마차가 지나 가도
죽지 않고 살아나는 끈질긴 생명력이 있어
인(忍)의 덕목을 지녔고,
2. 강(剛)
민들레는
뿌리를 자르거나 캐내어 몇일을 말려도
싹이 돋고 호미로 난도질을 해도 가느다란 뿌리를 내려
굳건히 살아나는
강(剛)의 덕목을 지니고 있으며,
3.예(禮)
민들레는 돋아 난 잎의 수 만큼 꽃대가 올라와
먼저 핀 꽃이 지고 난 뒤 다음 꽃대가 꽃을 피우니
올라 오는 순서를 알고 차례를 지켜 피어나니
예(禮)의 덕목을 지니고 있다 할 수 있다.
4. 용(用)
민들레는
여린잎 이나 뿌리를 먹을 수 있도록
온 몸을 다 바친 유용한 쓰임새가 있으니
용(用)의 덕목을 지니고 있다 할 수 있다.
5.정(情)
민들레는
봄에 가장 먼저 꽃이 피며
꽃에는 꿀이 많아 벌과 나비를 불러 오는
정(情)의 덕목을 지니고 있다.
6. 자(慈)
민들레는
잎과 줄기를 자르면 흰젖이 흘러나와 상처를 낫게 하는 약이 된다.
이는 사랑의 자비를 뜻하는
자(慈)의 덕목을 지니고 있다 할 수 있다.
7, 효(孝)
민들레는
소중한 약재로서 뿌리를 달여 부모님께 드리면
흰머리가 검게 염색되어 젊게 하니
효(孝)의 덕목을 지니고 있다 하며,
8. 인(仁)
민들레는
모든 종기에 아주 유용한 즙(汁)을 내어 사용한다.
자기의 몸을 희생시키니
인(仁)의 덕목을 지니고 있다 할 것이다.
9.용(勇)
민들레는
꽃이 피고 질 때 씨앗은 바람을 타고 멀리 날아가
돌밭이나 가시밭 이나 옥토(沃土)에 떨어져
스스로 번식하고 융성(隆盛)하니 자수성가를 뜻하는
용(勇)의 덕목을 지니고 있다.
하찮게 보이기만 하는 민들레가
이처럼 아홉 가지 그 깊은 뜻이 있음을 알고,
배우는 선조들의 지혜를 본받아야 하겠다.
~~~~~~~~~~~~~~~~~~~~~~~~~~~~~~~~~~~~~~
●조용필의 민들레는
왜
일편단심일까?
1981년 가수 조용필이 '일편단심 민들레야' 란 노래를 불렀다.
민들레의 일편단심론은 몇 가지 설을 가지고 있다.
첫째는
우리 토종 민들레의 독특한 순애보를 꼽는다.
산과 들에 흔한 야생초인 민들레는 뜻밖에 식물계의 순정파다.
이 꽃은 오직 토종 민들레 꽃가루만 받아 들인다.
서양 민들레 꽃가루가 흔하게 날아 다녀도 접수하는 일이 없다.
토종 민들레가 무정란같이 발아가 되지 않는 씨가 많은 것도 이 때문 이다.
서양 민들레는 무엇이든 받아 들여
씨를 맺기 때문에 숫자가 너무 늘어서 골치다.
둘째는
민들레의 근성(根性)이 일편단심이다.
이 꽃은 큰뿌리 하나를 곧게 땅속 깊게 내리고,
옆으로 실뿌리가 뻗어 있으나 가늘고 빈약하다.
큰뿌리 하나가 땅속깊게 박음으로
바람에 흔들려도 쓰러지지 않도록 중심을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세째는
조용필의 노래 민들레가 일편단심이 된 것은 사연이 있다.
이 곡은 납북된 남편을 그리워해온
이주현이란 72세(1981년 당시) 여성이
가사 응모전에 투고한 글을 다듬은 것이라고 한다.
일설에는
조용필이 이주현 자서전 '일편단심 민들레야'를 본 뒤
가사로 만드는 것을 제안했다고 한다.
그의 자서전의 사연은 이랬다.
50여 년 전 그녀는 동아일보 총무 국장이던 남편과 결혼했다.
한국전쟁 때 북한군 포로가 되어
남편이 북으로 끌려가는 바람에 홀로 3남매를 키우며 살았다.
노점좌판을 하며 어렵사리 살아온 그녀는
평생 모은 돈을 남편이 다닌 동아일보에 기부했다.
남편이름을 붙인 ''수남 기금 장학금''이란
이름으로 말이다.
1981년 4월28일자 경향신문에 실린 기사
'햇빛 본 할머니의 꿈'은
이주현 여사의 일편단심 스토리를 기록하고 있다.
『"수남(水南)! 이렇게 불러볼 날도 이제 오래지 않겠지요.
어언 접어든 나이가 고희를 넘겼으니 살 날이 얼마나 되리까.
당신을 잃은지도 30년 성상,
밟혀도 밟혀도 고개 쳐드는 민들레 같이 살아온 세월,
몇 번씩이나 지치고 힘에 부쳐 쓰러질 듯 하면서도
그 때마다 당신을 생각하며 이겨 나왔습니다."
이 여사는
노구를 무릅쓰고 1년에 걸쳐 집필한 원고
1천여 장 분량의 '일편단심 민들레야'의 첫 머리에
생사를 알길 없는 남편에 대한 사무 치는 그리움을 이렇게 적고 있다.
"내가 아무리 끈질긴 생명력의 민들레라해도
일편단심 붉은정열이 내게 없었다면
어린 자식들을 못 키웠을 것이고,
지아비에 대한 깊은 그리움의 정(情)이 없었다면
붓대를 들 용기도 내지 못했을 것 입니다."
그렇게 말하는 이주현(李柱現) 씨가 쓴 노래말은
''님 주신 밤에 씨 뿌렸네/
사랑의 눈물로 꽃을 피웠네/
그 여름 어인 광풍,
그 여름 어인 광풍/ 낙엽지듯 가시었나/
행복했던 장미인생 비바람에 꺾이니/
나는 한떨기 슬픈 민들레야/
긴 세월을 하루같이 하늘만 쳐다보니/
그이의 목소리는 어디에서 들을까/
일편단심 민들레는 일편단심 민들레는/
떠나지 않으리라''로,
자전(自傳)의 내용을 다듬은 것이다.』
기사 속에
'그 여름의 광풍'은,
1950년 6월 25일에 터진 청천벽력 같은 전쟁을 가리키는 말이었고,
'낙엽지듯 가시었나'는,
그해 가을 납북된 남편을 가리키는 것 이었다.
'하늘만 바라보는 것'은,
천국에 간 남편을 바라보며 그리워 함이고,
'어디에서도 들을 수 없는 그 목소리'는
남편이 떠나면서
"걱정하지마, 잘 다녀올게"라고 말했던 그 목소리였다.
41세의 여인은 그 공황을 이겨 냈다.
지난 30년의 절망과 피 눈물 속에서도 그녀가 말했듯
'일편단심 붉은 정열'로 버티며 어린 것들을 키워낸 그힘.
그녀가 자신을 오롯한 이 땅의 민들레로 여길만한 자부심은 여기에 있다.
오늘도 당신은 좋은일만 있을겁니다.
<조용필이 부른 "일편단심 민들레''>
https://youtu.be/O3quibcikbk
첫댓글 "민들레 이야기 (미소)"
https://cafe.daum.net/kjsojin/Wbl3/2387?svc=cafeap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