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몸과 마음은 성향과 업으로 된 일종의 악기와 같다.
악기는 현악기, 목관악기, 금관악기, 타악기 등 그 종류가 다양하다.
그런데 모든 악기는 내면이 텅 비어 있다.
악기마다의 차이라면 바이얼린처럼 활과 줄이 만나 텅 빈 바이얼린 통을 연주하거나 기타처럼 줄을 손으로 뜯거나 때리거나
피리 종류처럼 텅 빈 통을 불거나
북처럼 텅빈 통을 두드리거나 한다.
‘텅비어 있음’이 마찰을 통해 소리를 내는 것이 바로 악기이다.
바로 삶도 이와 같다.
주님이자 본성이라는 텅빔이 개체 성향이라는 악기를 통해 마찰할 때 expression(표현)되는 것이 삶이고,
삶이라는 드라마의 무대는 바로 이 세상이다.
개체라는 악기는 삶이라는 수행을 통해야만 점차 좋은 연주를 할 수가 있다.
그 수행은 열심히 살고자 하는 에고의 노력(끝없는 연습)을 통해 많은 연습을 하게 한다.
그러면서 점차 진보해가며 성장하는 것이다.
이 세상은 개체 악기가 다함께 연주하는 오케스트라이다.
개체가 아직 미숙할 때는 삑삑거리고 불협화음의 소리가 나지만
완전한 하모니가 되어 개체적인 악기의 고유성마져 사라지고
오직 본질이 본성, 텅빔만이 서로 공명할 때
그 공명을 우리는 ‘사랑’이라 한다.
시향에 나가는 딸 덕으로 나도 가끔 오케스트라연주회장을 갈 때가 있다.
매번 그러는 것은 아니지만
아주 가끔 ‘무아지경’을 경험할 때가 있다.
‘나’라는 개체가 사라지는 것은 얼마나 환희로운지!
우리가 삶에서 괴로운 것은 바로 이 ‘개체로서의 나’, 나라는 스토리에 집착할 때이다. 기억이라는 유령에 의해 애착과 회피라는 감정의 게임을 즐기며 그 스토리는 지속한다.
몸과 마음이라는 악기가 있는 것은
바로 본성인 ‘텅빔’이 자신을 알고자, 또 자신을 드러내고 싶은 최초의 욕망의 씨 때문이다.
사랑 자신이 사랑을 경험하고 싶은 것!
모두가 다른 자신의 성향을 마음껏 누리면서
본질은 모두가 하나인 ‘텅빔’이라는 것만 잊지 말자.
첫댓글 글로 표현해내시는 샨티지의 멋지고 아름답고 탁월하신 능력을
닮고 싶어집니다. 고맙고 사랑합니다.
가야트리라는 유일한 악기는 사구나 브라마의 한 부분이자 현현, 그 악기는 더 멋지고 더 아름답고 더 탁월해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