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
만주(滿洲) 동부에 살던 퉁구스 계통의 민족.
개설
여직(女直)이라고도 한다. 주로 송화강(松花江)·목단강(牧丹江)·흑룡강(黑龍江)유역과 동만주 해안지방에서 살았다.
여진의 명칭은 시대에 따라 춘추전국시대에는 숙신(肅愼), 한(漢)나라 때에는 읍루(挹婁), 남북조(南北朝)시대에는 물길(勿吉), 수(隋)·당(唐)시대에는 말갈(靺鞨)로 불렸으며, 10세기 초의 송나라 때 처음으로 여진이라 했고, 청나라 때에는 만주족이라 칭하였다.
연원 및 변천
1) 고려시대
여진족은 발해 멸망 이후 그 터에 거주하면서 우리 민족과 관계를 맺었다. 즉, 발해에서 벗어난 말갈족의 흑수부(黑水部)를 여진으로 불렀던 것이다. 흑수말갈은 거란의 통치 아래 두만강 유역에서 함경남북도 지역으로 이동해 살면서 고려에 조공을 하였다. 고려는 이들을 흑수여진·동여진(東女眞) 또는 생여직(生女直)이라 했으며, 길림성(吉林省)의 서남부, 즉 압록강 유역의 여진을 서여진(西女眞) 또는 숙여직(熟女直)이라 하였다.
고려가 이들 두 여진과 직접적으로 교섭을 가지게 된 것은 왕건(王建)의 북방개척에서 비롯되었다. 고려 초기에 고려를 상국(上國)으로 섬겼던 여진을 회유해 무역을 허락하고, 귀화인에게는 가옥과 토지를 주었으며, 추장에게는 무산계(武散階)·향직(鄕職) 등을 주기도 하였다. 이 당시 여진인들은 활·말·모피 등을 주로 조공하고, 의류·식량·농기구·그릇 등 생활필수품을 주로 수입해갔다.
그런데 숙종 때에 이르러 만주 하얼빈(哈爾濱)지방에서 일어난 완안부(完顔部)의 추장 영가(盈歌)가 여진족을 통합하고 북간도 지방을 장악한 뒤 두만강까지 진출하였다. 1104년(숙종 9) 그를 이은 조카 우야소(烏雅束)는 더 남하해 고려에 복속되었던 여진을 경략하였다. 이 때 우야소는 완안부에 따르지 않은 무리들을 추격, 함경남도 정평(定平)의 장성(長城) 부근까지 진출해 고려군과 충돌하게 되었다.
고려는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郎平章事) 임간(林幹)을 보내 우야소를 정벌하게 했으나 실패하였다. 다시 추밀원사(樞密院使) 윤관(尹瓘)을 보내어 겨우 화맹을 맺고 돌아왔다.
이와 같이, 두 차례에 걸친 패전으로 정평·장성 밖의 여진은 완안부의 치하에 들어가게 되었다. 윤관은 숙종에게 패전의 원인을 보고하면서 기병(騎兵)의 양성과 군량의 저축 등을 건의하였다. 이에 기병인 신기군(神騎軍), 보병인 신보군(神步軍), 승려부대인 항마군(降魔軍)으로 이루어진 별무반(別武班)을 편성하였다.
1107년(예종 2) 고려는 윤관을 도원수, 오연총(吳延寵)을 부원수로 하여 군사 17만을 동원, 함흥평야일대의 여진족을 토벌하고 북청까지 진출해 함주를 중심으로 9성(九城)을 쌓았다.
또한, 남쪽의 민호(民戶)를 옮기어 9성에 이주시켰으며, 특히 길주성에 호국인왕사(護國仁王寺)와 진국보제사(鎭國普濟寺)를 창건하고 개경으로 개선하였다. 그러나 9성의 방어자체도 어려웠고, 여진족이 9성을 돌려달라고 애원해 1년 만에 그들에게 돌려주었다.
1115년 우야소의 후손 아구타(阿骨打)가 완안부를 중심으로 여러 부족을 통일해 금(金)나라를 세웠다. 1117년에 고려에 형제관계를 요구하였다. 1125년(인종 3) 거란을 멸망시킨 뒤에 북송(北宋)을 멸해 중원을 점령하자, 고려에 사대(事大)의 예를 강요하고, 남송(南宋)과의 교류도 간섭하였다. 당시 고려의 집권자인 이자겸(李資謙) 일파는 금나라와의 타협을 통한 평화관계를 유지함으로써 이후 고려의 북방개척정책은 일시 좌절되었다.
1234년(고종 21) 금나라가 몽고에 멸망하자, 여진족은 만주지방에서 부족 단위로 할거했고 원나라·명나라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명나라는 송화강 유역의 여진을 해서여직(海西女直), 파저강(婆猪江 : 佟佳江)·혼강(渾江) 유역의 여진을 건주여직(建州女直), 흑룡강 유역의 여진을 야인여직(野人女直)이라 하여 독특한 군정(軍政)으로 이들을 통치하였다.
2) 조선시대
조선 초기의 대여진정책은 회유·무력을 사용하였다. 회유정책으로 귀순을 장려하고 관직·토지·주택을 주어 귀순자를 우대하였다. 그리고 여진의 한 부족인 오랑캐 오도리(斡都里)가 자주 침범하자, 1406년(태종 6) 함경도 경성·경원에 무역소(貿易所)를 설치하고 조공무역 및 국경무역을 허락했으며, 한양에는 북평관(北平館)까지 설치하였다. 이 당시 여진은 말·모피 등의 토산물을 바치고, 식량·의복재료·농기구·종이 등을 교환해갔다.
한편, 무력정책으로 국경지방에 진보(鎭堡)를 설치해 전략촌으로 바꾸어 방비를 강화하고, 복속하지 않는 여진의 본거지를 토벌하였다. 태조는 경원에 성보(城堡)와 주군(州郡)과 역참(驛站)을 두었다. 1403년에는 강계부(江界府), 1414년에는 여연군(閭延郡)을 두어 여진을 통제하였다. 세종은 4군과 6진을 개척해 압록강에서 두만강에 이르는 국경을 확보하고 여기에 삼남(三南) 사람들을 이주시켰다.
세조 때 남이(南怡)·어유소(魚有沼) 등이 압록강변의 여진을 토벌했고(丁亥西征), 신숙주(申叔舟)는 회령 부근의 여진을 축출하고 모린위(毛燐衛) 여진족의 근거지를 토벌한(庚辰北征) 뒤 하삼도(下三道) 백성 1만명을 이주시켰다. 1479년(성종 10)에는 도원수 윤필상(尹弼商)이 서북방면의 건주위(建州衛) 여진족의 침입을 격퇴하였다. 1491년에는 도원수 허종(許琮)이 회령의 조산보(造山堡)에 침입했던 동북방면의 여진추장 우디거(兀狄哈)의 부족을 물리쳤다.
그 뒤 여진족은 명나라가 임진왜란 때 조선에 원병을 한 것이 계기가 되어 국력이 약해지자 이 틈에 세력을 확장하였다. 1616년(광해군 8) 건주여진의 추장 누르하치(奴兒哈赤)는 심양(瀋陽)에 후금(後金)을 세웠고, 1636년(인조 14)에 국호를 청(淸)이라 개칭, 중국대륙을 통일하였다. 한편, 1627년에는 정묘호란, 1636년에는 병자호란을 일으켜 조선왕조의 항복을 받기도 했으며, 조선왕조 말기까지 조공관계를 유지하였다.
참고문헌
- 『고려사(高麗史)』
-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 『태조실록(太祖實錄)』
- 『태종실록(太宗實錄)』
- 『세종실록(世宗實錄)』
- 『세조실록(世祖實錄)』
- 『성종실록(成宗實錄)』
- 『인조실록(仁祖實錄)』
- 「고려시대(高麗時代)의 귀화인연구(歸化人硏究)」(박옥걸,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7)
- 「여진관계의 시말과 윤관의 북정」(김상기, 『국사상의 제문제』4, 1959)
-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네이버 지식백과] 여진 [女眞]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여진은 한국사와 상당한 밀접한 관계가 있는거 같습니다
종족으로 구별한다면 우리민족하고 상당히 가까운데
하지만 선생님들마다 견해가 조금씩 다르더군요
이에 궁금해서 설문조사하오니 선생님들 많은참아여 바랍니다.
돌궐? 선비 말갈 거란 실위 몽골 여진은 시대별 고구려 신라(당?) 대진국(발해) 고려 조선의 원정대 막부인거 같습니다 ?
서역정벌을 위해 출정한 고선지 장군이 당의 원정대 막부수장 같고요?
징키츠칸의 몽골군도 원정대 막부?
중국 청나라 명나라 원나라 금나라 요나라 송나라 당나라 수나라 한나라 진나라는 시대별 고구려 신라(당?) 가야 고려 조선의 황도 주앙정부 조정 조대명?같고요?
원정대 막부? 돌궐? 선비 말갈 거란 실위 몽골 여진을 보고 다르게는 유목민족이라고 하죠 ㅋ 원정할려면 이동해야거든요
물론 고대 초기 유목민족하고는 다를수는 있지만요
위내용이 좀 황당할지도 모르지만 선생님들의 고견을 보고(듣고) 싶습니다(__)감사합니다
첫댓글 위의 구분이 조금 애매한 부분이 있네요. 여진의 선대는 숙신인데, 이때는 단군의 통치를 받던 조선의 한 일원이었고, 읍루때는 부여에 속헸으며, 물길과 말갈때는 고구려에 복속되어 고구려의 일원이 되었고, 고구려 망 후에는 고구려 부흥군의 일원으로 당군과 싸우다가 발해의 일원이 되었으며, 이후 여진이라고 할 때는 "금나라"를 건국하여 "고려에게 아버지의 나라"라고 했으며, 그 후 청나라를 건국하였는데, 그 발상지는 백두산 동남쪽 조선의 땅이었습니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볼 때 <여진은 조선의 한 일원이었다>가 정답같습니다. 물론 많은 부족이 있었으므로 일부 부족은 조선에 저항하기도 했으나, 대다수 부족을 말하는 것입니다.
선생님 제말이 그말입니다.선생님 말이 일원이지 같은 민족이고 백성일까합니다.
여진을 구분해서 다른민족처럼 나누었는데 제가 보기엔 조선의 원정대 막부 인거 같습니다.
사실상 북방민족들을 거의 ?유목민족이라고 하는데 그 유목민족들이 정착을 못해서 유목할까요?
농사도 못하고 건축술이 뛰어나지 못해서 유목생활을 할까요 ~사실 유목민족이 원정대 막부일겁니다?
원정대 막부가 와전되서 유목민으로 둔갑된거 같습니다 하기야 원정대 막부가 유목민이 맞긴 맞는거 같습니다.
하지만 조선시대의 여진과 고구려시대의 말갈은 약간다르다고 봅니다.
엤날 프랑스 대통령 사르코지가 연설내용중에 여진 => 주르친 자신이 그 후예이다.
또, 말하지만요... 한국에는 기사가 없는 부분이죠.프랑스 사설을 보면 됩니다.
선생님 같은 민족이 아니고선 대대로 조선~단제조선에게 충성을 할수가 없습니다.
금나라가 아버지의 나라 고려라한것은 고려의 중앙조종 ?황도의 황제가 게신곳을 말하는거 아닙니까?>
그럽습니다.
문법 문장력이 딸려서 제가 생각한데로 글을 쓸수가 없네요
선생님 아무튼 제가 보기엔 여진은 조선의 백성중에 원정대 막부이며 그 여진의 어버이는 중국 황제가 게신 황도 황제를 말하는거 같습니다.
천천히, 생각하시면서 하면 됩니다.
여진과 말갈은 크게 다를 것이 없습니다. 다만 말갈때는 그 부족이 여러 개로 나누어져 살았는데, 이 중에서 많은 무리들이 고구려에 복속되었으나 일부 부족은 복속치 않고, 당나라 쪽에 붙기도 했습니다. 또 여러 개 부족이다 보니 여기 저기에서 산재해 살다보니, 일부는 서쪽으로 이주도 했으며, 거란에 붙기도 했습니다. 여진은 그 부족은 같으나, 지도자 곧 추장(칸)의 혈통이 달라졌다는 뜻입니다. 대개 부족이나 종족을 말할 때 그 지도자를 보고 말하거든요. 유목민 또는 이목종족은 생활환경에 적응해 살다보니 그것이 연속된 것으로 물과 풀을 따라 계절에 따라 가축과 함께 이동하며 삽니다. 지금도 중앙아시아지방은 그럽습니다.
현재 유목종족(부족)이 옛날과 같이 이동하면서 사는 곳이 있는데, <사우디아라비아. 예멘. 이란. 이라크. 중앙아시아지방 대부분. 러시아의 우랄산맥 동쪽 일부지방. 현 대륙의 내몽고 일부와 외몽골지방>등입니다. 이들은 수천년 전에 그들의 선대들이 했던 그 방식 그대로 지금도 생활하고 있는데, 도시화가 된 곳은 도시민으로 변화됩니다. 그러나 도시민으로 적응치 못하는 사람들은 가축을 데리고 계절에 따라 이목생활을 합니다. 이러한 곳이 중앙아시아지방입니다. 그곳 정부에서는 가능하면 정착하도록 하고 있으나, 이들은 도로 뛰쳐 나갑니다. 이것이 실상입니다. 제가 중동지방에서 수년간을 이들 곁에서 살아봤으니까요.
일일이 댓글을 달아주신 선생님의 고견 정말 감사합니다.(__)
닉네임(무식해서궁금합니다)이 참으로 부담스럽습니다. <무궁>으로 줄여보심을 강력 추천드립니다.ㅋ
<매일매일>의 좋은 아이디어 입니다. 사실 "무식해서 궁금합니다"라는 이름은 상대방에게 부담을 줄 수 있겠어요.
운영자 입장에서 회원님의 닉네임이 어떤 특별한 도덕적, 사회적 결함이 없는 것이라면 관계치 않고 있으나, <매일매일>님의 이야기를 듣고 보니 그럴 수 있겠구나 생각이 듭니다. 오해는 마시고, 그저 생각해 보았을 뿐입니다.
숙신, 읍루, 말갈, 여진 다 따로 따로 부족들입니다.
중원의 사가들이 그냥 두리뭉실하게 적고 있지요.
동시대에 이들이 평행으로 기록된 것이 있습니다.
즉, 이웃 부족들인데 두루뭉실하게 같은 것으로 적은 거죠.
각자 부족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