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일예배순서 February 16th 2025 11:00AM
■ 기 원 Invocation ………………… 다 같 이 All
■ 찬 송 Hymn …………………… 찬 송 389
■ 교 독 문 Responsive Reading … 14
■ 성 가 대 Choir
■ 성경봉독 Scripture Lesson from 요한복음 John 8:7-9
■ 말 씀 Sermon …………………… 인도자 Leader
■ 기 도 Prayer …………………… 인도자 Leader
■ 찬 송 Hymn ……………………… 찬 송 268
□ 축복의 말씀 Sharing Blessing ……………… 함께 Altogether
교독문 Responsive Reading 시편 Psalm 46
하나님은 우리의 피난처시요 힘이시니
God is our refuge and strength,
환난 중에 만날 큰 도움이시라
an ever-present help in trouble.
그러므로 땅이 변하든지 산이 흔들려 바다 가운데 빠지든지 바닷물이 흉용하고 뛰놀든지
Therefore we will not fear, though the earth give way and the mountains fall into the heart of the sea,
그것이 넘침으로 산이 요동할지라도 우리는 두려워 아니하리로다
though its waters roar and foam and the mountains quake with their surging. Selah
한 시내가 있어 나뉘어 흘러 하나님의 성 곧 지극히 높으신 자의 장막의 성소를 기쁘게 하도다
There is a river whose streams make glad the city of God, the holy place where the Most High dwells.
하나님이 그 성중에 거하시매 성이 요동치 아니할 것이라 새벽에 하나님이 도우시리로다
God is within her, she will not fall; God will help her at break of day.
저가 땅 끝까지 전쟁을 쉬게 하심이여
He makes wars cease to the ends of the earth;
활을 꺾고 창을 끊으며 수레를 불사르시는도다
he breaks the bow and shatters the spear, he burns the shields with fire.
너희는 가만히 있어 내가 하나님 됨을 알지어다
"Be still, and know that I am God;
내가 열방과 세계 중에서 높임을 받으리라 하시도다
I will be exalted among the nations, I will be exalted in the earth."
만군의 여호와께서 우리와 함께 하시니
The LORD Almighty is with us;
야곱의 하나님은 우리의 피난처시로다.
the God of Jacob is our fortress. Selah
하나님의 용서 The Forgiveness of God
이에 일어나 가라사대 너희 중에 죄 없는 자가 먼저 돌로 치라 하시고 다시 몸을 굽히사 손가락으로 땅에 쓰시니 저희가 이 말씀을 듣고 양심의 가책을 받아 어른으로 시작하여 젊은이까지 하나씩 하나씩 나가고 오직 예수와 그 가운데 섰는 여자만 남았더라 요한복음 8:7-9
너희 조상 아브라함은 나의 때 볼 것을 즐거워하다가 보고 기뻐하였느니라 유대인들이 가로되 네가 아직 오십도 못되었는데 아브라함을 보았느냐 예수께서 가라사대 진실로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아브라함이 나기 전부터 내가 있느니라 하시니 요한복음 8:56-58
He straightened up, and said to them, "He who is without sin among you, let him be the first to throw a stone at her." Again He stooped down and wrote on the ground. When they heard it, they began to go out one by one, beginning with the older ones, and He was left alone, and the woman, where she was, in the center of the court. John 8:7-9
"Your father Abraham rejoiced to see My day, and he saw it and was glad." So the Jews said to Him, "You are not yet fifty years old, and have You seen Abraham?" Jesus said to them, "Truly, truly, I say to you, before Abraham was born, I am." John 8:56-58
용서는 우리의 믿는 기독교에서 아주 중요한 덕목입니다. 우리가 처음 받는 복음은 예수 그리스도의 피로 우리의 죄가 사하여졌다는 것인데 이는 곧 용서 받았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기독교인으로 살아가는 것은 주님을 따르는 것이라 여기고 이는 곧 용서하는 것이라 여깁니다. 오늘 본문은 바로 이 용서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그런데 본문의 상황을 그대로 우리 현실에 적용하려 한다면 이는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음을 발견하게 됩니다.
만일 누군가가 자신에게 잘못한 사람을 주님처럼 용서하려 한다면 때로는 점점 더 이용하려 드는 경우도 생길 수 있습니다. 간음하는 현장에서 잡힌 여인을 정죄하는 바리새인들에게 주님은 “너희 중에 죄 없는 자가 먼저 돌로 치라.”고 하심으로 각자 자신의 모습을 보게 하십니다. 우리는 지금 솔로몬의 판결처럼 주님의 지혜를 보려하는 것이 아닙니다. 오히려 이 상황은 주님과 나 사이에 일어나는 절대적 용서에 대하여 말씀하는 것입니다.
어떤 신학자 무리는 본문의 용서가 기독교 교리적 이해와 다르다는 이유로 이 구절을 나중에 누군가가 추가했다는 주장을 합니다. 이는 이 여인에 대한 주님의 용서가 아무런 조건도 없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하나님의 용서에 대해서 생각해 보아야 합니다. 처벌이 아니고 용서라고 하면 그야말로 거기에는 아무런 조건이 없어야 할 것입니다. 그렇습니다. 하나님은 우리를 용서하시되 아무런 조건 없이 용서하십니다.
우리는 지금 요한복음을 강해식으로 바라보고 있습니다. 첫 장부터 지금까지 공통된 구조는 당시 사건과 거기에 해당하는 설명의 구조를 띄고 있습니다. 8장도 마찬가지입니다. 간음 중에 잡힌 여자에 대한 용서의 기록과 그 이후는 마치 아무런 상관이 없어 보입니다. 그러나 그렇지 않습니다. 주님은 마지막에 아브라함의 상황을 말씀하십니다. 그리고 거기에서 주님은 시대를 초월하신다는 사실을 표명하십니다.
이 사실은 용서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더 깊게 해 줍니다. 주님은 하나님의 눈으로 우리를 바라보십니다. 하나님은 우리를 어떻게 보실까요? 현재 상태대로? 아니면 상처입지 않은 어린아이 상태로? 현재 상태라면 지금까지 내가 살아온 그 이력대로 나를 보신다는 것인데 이는 나도 원치 않는 것일 수 있습니다. 하나님은 우리를 하나님 앞에 온전한 모습으로 보십니다. 이것이 가능한 것은 하나님은 모든 시간을 초월하여 보시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믿음을 갖는 것은 주님의 이런 시각을 갖는 것입니다. 주님의 눈으로 자신을 볼 수 있다면 주께서 우리를 용서하시듯이 우리도 우리를 이해하고 용서하고 사랑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오직 이는 그리스도와 더불어 우리의 생명이 하나님 안에 감추었음을 알 때 비로소 가능합니다. 우리가 바라고 기도하는 것도 역시 서로에 대해서도 주님의 눈으로 서로를 바라보고 현재의 모습대로가 아니라 하나님 앞에 온전한 모습으로 볼 수 있기를 바라는 것입니다.
당신에게 죄지은 누군가를 용서하셨습니까? 잘하셨습니다. 이는 당신의 마음이 더 이상 그로 인해 아프지 않다는 증거입니다. 즉 치유되었기 때문일 것입니다. 여전히 아픈 사람은 상대를 용서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더 나아가서 보면 용서는 절대 나의 수고와 결심의 결과는 아닙니다. 오직 주와 더불어 하나 된 자신을 인식하고 또 상대로 그러한 눈으로 바라볼 수 있을 때 비로소 용서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입니다.
Forgiveness is a crucial virtue in our Christian beliefs. The first gospel we receive is that our sins have been killed by Jesus Christ's blood, which means we have been forgiven. And I consider living as a Christian to be obeying the Lord and forgiving it. Today's text is about this very forgiveness. However, if we try to apply the situation in the text to our reality as it is, we will discover that this can cause side effects.
If someone tries to forgive someone who has done something wrong to them like the Lord, sometimes they are increasingly trying to use it. The Lord asks the Pharisees who convict the woman caught at the scene of the adultery to see themselves, saying, "Those of you who are innocent, stone them first." We are not looking at the Lord's wisdom like Solomon's judgment. Rather, this situation is about the absolute forgiveness that occurs between the Lord and me.
Some group of theologians argue that someone later added this phrase because the forgiveness of the text was different from Christian doctrinal understanding. It points out that the Lord's forgiveness for this woman has no conditions. We must think about God's forgiveness. When it comes to forgiveness, not punishment, there should simply be no conditions there. That's right. God forgives us, but he forgives us without any conditions.
We are now looking at John in a strong way. From the first chapter to the present, the common structure has the structure of the event at the time and the corresponding explanation. The same is true of Chapter 8. The record of forgiveness for women caught during adultery does not seem to have anything to do with it after that. However, this is not the case. At the end, the Lord speaks of Abraham's situation. And there he expresses the fact that he is timeless.
This fact deepens our understanding of forgiveness. The Lord looks at us through the eyes of God. How does God see us? As it is? Or as an unscathed child? As it is, it means that you see me according to the history of my life so far, which I may not want either. God sees us intact before God. This is possible because God sees us beyond all time.
What we have faith in is to have this view of the Lord. If we can see ourselves through the Lord's eyes, we will be able to understand, forgive, and love us just as the Lord forgives us. This is only possible when we know that our lives, along with Christ, are hidden in God. What we hope and pray for is that we can also look at each other with the Lord's eyes and see each other as intact before God, not as we are.
Have you forgiven anyone who has sinned against you? Good job. This is proof that your heart is no longer broken by him. In other words, it may be because he has healed. Those who are still sick cannot forgive their opponents. However, if you go further, forgiveness is never the result of my hard work and determination. Forgiveness will come true only when you recognize yourself as one with the Lord and can look at the other with such eyes.
축복의 말
Blessing
여호와는 네게 복을 주시고
너를 지키시기를 원하며
여호와는 그 얼굴로 네게 비취사
은혜 베푸시기를 원하며
여호와는 그 얼굴을 네게로
향하여 드사 평강 주시기를 원하노라
민수기 6:24-26
The LORD bless you,
and keep you;
The LORD make His face
shine on you,
And be gracious to you;
The LORD lift up
His countenance on you,
And give you peace.'
Numbers 6:2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