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00년대 |
📌06년 일진회, 기관지인 국민신보 창간 | |
📌20년 1920년 1월 6일 오늘 조선일보, 동아일보, 시사신문 발행 허가
조선일보, 동아일보, 시사신문 발행 허가 | |
📌26년 총독부가 남산 기슭의 구통감부 건물에서 경복궁의 새 청사로 이전. 📌30년 우리말 큰 사전 편찬에 착수 📌40년 대마도에서 밀항선 교영호 침몰, 130명 익사 📌49년 정부, 식민통치에 대한 일본 배상요구 선언 | |
📌50년 제1회 고등고시 실시
1950년 1월 6일 오늘 제1회 고등고시 실시 | |
📌58년 문교부, 한글전용안 실천요강 발표 📌62년 5.16군사혁명으로 국회및 지방의회 해산,교육 위원회의 기능이 정지되고 교육감만이 존속. 📌62년 구 정치인에 대한 연금을 완전 해제 📌66년 철도청 화물 운임을 횡령한 서울역장을 비롯한 68명 구속됨. 📌68년 박정희 대통령, 1군 사령부에서 비상치안회의 주재. 대(對)간첩작전 일원화 협의 📌69년 길재호 공화당 사무총장, 개헌논의 제기 📌69년 북, 조선 인민군당 제4차 4기 회의 개최, 군부고위층 10여 명 숙청과 군사 전략 전환. 📌78년 진흥왕 순수비, 단양에서 새로 발견 📌81년 문경 석공 은성광업소 갱도 붕괴 8명 사망 📌84년 조계종 이성철 종정, 종단 분쟁을 막기 위해 7인 제도 개혁위원회를 구성 📌86년 삼성전자 문태원 연구원, 세계 최초로 초소형 4mm VTR개발. 📌87년 검찰, 고문관련 경관을 무혐의로 불기소 처분 📌87년 서울시 교육위원회, 시국비판 발언을 한 이을재 교사 등 3명 해임, 2명 정직 처분 📌88년 민주당, 임시전당대회열고 김영삼총재를 재신임 📌89년 전북임실 고추파동, 고추재배 500여 농민 고추전량수매를 요구하며 임실역 앞 국도에서 시위·농성 📌89년 정주영 현대그룹 명예회장, 시베리아 개발 한·소 민간 경제협력 방안 협의차 소련 방문 📌89년 통일원, 세계청년학생축전에 북한이 전대협 초청 관련, 정부가 참가 막지 않을 것이라고 밝힘 📌90년 서울을 출발, 앵커리지 경유 파리행 대한 항공기가 앵커리지 인근 화산폭발로 노선을 변경 📌90년 서울-파리간 KAL여객기 소련시베리아영공 첫 통과 📌90년 정부, 금강산개발 등 남북합작투자를 위해 1∼2억원의 남북교류기금 신설키로 📌91년 북한ㆍ일본, 평양서 수교회담 열기로 결정 | |
📌92년 노태우 대통령과 부시 미국대통령, 청와대 정상회담,
1992년 1월 6일 오늘 노태우 대통령과 부시 미국대통령, 청와대 정상회담, | |
📌92년 농수산부,쌀 생산 목표량을 3700만섬으로 책정, 11년간 지속해온 3800만섬에서 100만섬을 감축. 📌92년 전국농민회 총연맹 등 6개 농어민 관련단체 회원들,부시 미국대통령의 방한에 맞춰 전국 시위. 📌93년 경제기획원, GNP규모가 92년의 229조원에 비해 11.8~13.1% 늘어난 256조원-국민소득 7400달러 📌93년 음란한 내용을 담은 국제 음성서비스 전화 데이트가 청소년들 사이에 성행, 6개월동안 48만여건 📌94년 김영삼 대통령, 연두 기자회견에서 교육개혁과 생활개혁으로 법과 제도를 정비해 나가겠다고 밝혀 📌94년 대입 본고사 14년만에 부활(서울대와 연ㆍ고대 등서 일제히 치러) | |
📌96년 가수 김광석 사망
✿1996년 1월 6일 가수 김광석 사망
김광석(金光石, 1964년 1월 22일 ~ 1996년 1월6일)은 대한민국의 싱어송라이터이다. ‘노래하는 철학자’로도 불린다. 2014년 제5회 대한민국 대중문화예술상 대통령표창장이 추서되었다. 대구에서 태어나 서울로 상경하여 1982년에 명지 대학교 경영학과에 입학하였고, 대학연합 동아리에 가입하면서 선배들과 함께 소극장에서 가요 공연을 시작하였다. 1984년에 김민기의 음반에 참여하면서 데뷔하였으며, 노찾사 1집에도 참여하였다. | |
📌96년 한국전력, 한반도에너지개발기구(KEDO)와 7월까지 부지조사ㆍ지형측량 등 용역업무계약 체결 📌97년 작가 장정일, 음란문서 제작 및 배포 혐의로 구속영장 청구 📌98년 김영삼 대통령과 김대중 대통령 당선자, 청와대 첫 주 회동에서 정리해고제 실현 등 5개항에 합의 📌98년 은행감독원, 금융기관간 합병을 적극 지원할 방침이라고 밝혀 | |
2000년대 | |
📌 2003년 부산 광안대로 개통
▶2003년1월6일 부산 광안대로 개통
광안대로가 유명세를 타기까지의 과정은 순탄치 않았다. 총 7.42km의 구간을 20여개 업체가 8년간 공사했고 총 7,899억원이 투입된 사업에서 결과적으로 적자를 본 업체도 있었다. 빠른 완공을 위해 다리는 다섯 부분으로 나눠서 공사가 진행됐다.
1구간은 대림산업 외 3개사가 2구간은 동아건설 외 3개사가 담당했다. 하지만 IMF의 여파를 피하지 못해 동아건설은 도중하차 했고 삼환기업이 바통을 이어받았다.
현수교 구간으로 가장 난이도가 높았던 3구간은 포스코건설 외 3개사가 맡았고 4구간은 롯데건설 외 3개사, 5구간은 (주)대우 건설부문 외 3개사가 맡아 진행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