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지개는 태양광선과 관찰자를 잇는 각도가 물의 전반사임계각(42도)이 될 때 발생하는 현상이며 무지개가 둥근 이유는 그 전반사 임계각이 되는 범위가 둥근 원이 되기 때문입니다. 그럼 달빛도 대기중의 물방울과 만나서 전반사 임계각을 만들어낸다면 무지개를 만들어 낼 수도 있습니다. 이런 현상을 달무지개(Moonbow)라고 합니다.
달무지개를 자주 볼 수 없는 이유는 1. 달의 공전각도가 앞서 설명한 물의 전반사 임계각과 같아지는 것이 어렵고, 2. 달과 반대쪽에 물방울이 위치할때 전반사해서 관찰자가 달무지개를 볼 수 있으며, 3. 달빛 자체가 태양빛처럼 밝지 않기 떄문에 보름달일때가 아니면 관찰이 거의 불가능하다는 것입니다. 여러가지 달무지개의 사진들입니다.
빅토리아 폭포, Calvin Bradshaw 촬영
요세미티 국립공원
Steve C. Kim 촬영
정상에 오르는 등산객들의 Head Lamp 가 움직이는게 왼쪽 검은 부분에 보인다
하와이 마우리섬, Wally Pacholka 촬영, 왼쪽에 크게 빛나고 있는 별은 화성입니다
켄터키주 쿰버랜드 폭포
무지개
첫댓글 아름답습니다 무지개 노래는 어릴때
겨 부르던 곡입니다. 그때가 엊그제 같은데



달무리는 가끔 본일이 있지만 달무지개는 한번도 못 보았는데 이렇게 사진으로 보니 신비한 느낌입니다. posting 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