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부:단문 행정법의 기초이론 / 행정입법 01. 법치행정의 원칙2 02. 법률유보의 원칙: 13년 기출단문····5 03. 행정법의 일반원칙·········7 04. 부당결부금지의 원칙: 07년 기출단문········10 05. 자기구속의 원칙: 10년 기출단문··12 06. 신뢰보호의 원칙: 11년 기출단문··14 07. 비례의 원칙: 08년 기출단문·········17 08. 공법관계와 사법관계(공법과 사법의 구별) : 19년 기출단문·19 09. 행정사법·········21 10. 행정법에 대한 사법규정의 적용(행정법의 흠결과 보충) ··23 11. 사인의 공법행위··········25 12. 사인의 공법행위로서의 신고: 21년 기출단문·········27 13. 신고와 신청의 비교(구별) ·········30 14. 개인적 공권····32 15. 무하자재량행사청구권·35 16. 행정개입청구권(경찰개입청구권) : 09년 기출단문··38 17. 특별권력관계(특별행정법관계) ··40 18. 통치행위·········43 19. 공무수탁사인: 20년 기출단문·······46 20. 법규명령: 12년 기출단문·48 21. 행정규칙·········51 22. 훈령···53 23. 법규명령 형식의 행정규칙: 22년 기출단문57 24. 행정규칙 형식의 법규명령: 09년 기출단문59 25. 법규명령형식의 행정규칙과 행정규칙형식의 법규명령····61 행정행위 / 그 밖의 행정의 행위형식 26. 행정행위의 개념··········66 27. 일반처분: 13년 기출단문·69 28. 행정행위의 특수성(행정행위의 효력) ·····71 29. 기속행위와 재량행위: 15년 기출단문········73 30. (불확정 개념과) 판단여지: 12년 기출단문·76 31. 복효적 행정행위: 16년 기출단문··78 32. 명령적 행정행위··········80 33. 하명(경찰하명) : 16년 기출단문····82 34. 허가(경찰허가) : 21년 기출단문····84 35. 예외적 승인(예외적 허가) ·········87 36. 형성적 행정행위··········89 37. 특허···91 38. 허가와 특허의 구별······93 39. 준법률행위적 행정행위95 40. 공정력과 구성요건적 효력········98 41. 행정행위의 존속력·····102 42. 행정행위의 하자 일반론·········104 43. 행정행위의 무효와 취소(무효와 취소의 구별) ···108 44. 위헌법률에 근거한 처분의 효력···········111 45. 하자의 치유: 14년 단문기출·······113 46. 하자의 전환··115 47. 하자의 승계··117 48. 행정행위의 직권취소: 18년 기출단문······119 49. 직권취소와 쟁송취소의 비교··122 50. 행정행위의 철회: 11년 기출단문124 51. 직권취소와 철회의 비교(구별) 127 52. 부관의 가능성과 한계129 53. 부관의 종류과 한계···131 54. 하자있는 부관에 대한 쟁송·····133 55. 부담: 10년 기출단문······135 56. 단계적 행정결정········137 57. 확약·140 58. 행정계획·······142 59. 행정의 자동결정: 22년 기출단문145 60. 공법상 계약··147 61. 행정상 사실행위········150 62. 행정지도: 08년 기출단문············153 행정절차법 / 정보공개법 63. 절차상 하자의 효력: 20년 단문기출········158 64. 이유제시: 15년 기출단문············161 65. 사전통지와 의견제출·164 66. 청문·167 67. 공청회···········170 68. 정보공개청구권: 17년 기출단문·173 행정의 실효성 확보수단 69. 강제집행: 24년 기출단문············178 70. 행정대집행(대집행) : 06년 기출단문········181 71. 강제징수·······185 72. 이행강제금(집행벌) ····187 73. 직접강제·······190 74. 즉시강제: 14년 기출단문············192 75. 행정벌(경찰벌) ···········195 76. 행정형벌·······198 77. 행정질서벌(행정질서벌의 특수성) ········200 78. 행정의 새로운 의무이행(실효성) 확보수단·······203 79. 행정상 공표(명단공표, 위반사실의 공표) : 07년 기출단문 ·207 80. 과징금···········209 81. 공급거부·······211 82. 행정조사(행정조사의 한계와 구제) ······213 행정쟁송 83. 행정소송의 한계(행정재판권의 한계) ···218 84. 의무이행심판221 85. 무효등확인소송··········223 86. 부작위위법확인소송···226 87. 무명항고소송229 88. 당사자소송····231 89. 원처분주의와 재결주의···········233 90. (취소소송의) 대상적격············235 91. (취소소송의) 원고적격············238 92. (취소소송의) 협의의 소익·······240 93. (취소소송의) 피고적격············242 94. (취소소송의) 제소기간············244 95. 행정심판전치주의······246 96. 처분사유의 추가, 변경············248 97. 가구제(집행정지와 가처분) : 17년 단문기출··········251 98. 행정청의 부작위에 대한 권리구제·······254 99. 거부처분에 대한 권리구제······258 100. 사정판결: 18년 단문기출·········260 101. 취소판결의 기속력···262 102. 행정쟁송법상 간접강제·········264 103. 취소판결의 기판력(판결의 확정력) ····266 104. 이의신청·····268 105. 처분에 대한 이의신청 및 재심사·······270 106. 행정심판의 재결(재결의 종류와 효력) ············273 107. 재결의 기속력··········276 108. 행정심판법상 재처분의무 실효성 확보수단····278 109. 행정심판의 고지제도: 24년 기출단문····280 행정상 손해전보 110. 국가배상법 제2조의 국가배상청구권·284 111. 국가배상법 제2조의 성질·····288 112. 법령해석의 하자와 공무원의 과실·····292 113. 국가배상법 제5조의 배상책임(영조물 책임) ···294 114. 국가배상법 제6조의 비용부담자········296 115. 국가배상법상 배상책임자·····298 116. 국가배상청구의 제한(이중배상금지의 원칙) : 23년 기출단문··301 117. 손실보상(손실보상청구권) ····303 118. 수용유사적 침해이론············306 119. 수용적 침해이론······308 120. 희생보상이론(희생보상청구권) ··········310 121. 결과제거청구권········312 경찰행정법 122. 경찰권 발동의 근거·316 123. 경찰권 발동의 한계·318 124. 일반적 수권조항(개괄적 수권조항) : 06년 단문기출·········320 125. 경찰책임의 원칙: 23년 기출단문···········322 126. 경찰책임의 승계······325 127. 제3자 경찰책임(경찰긴급권) ·327 128. 불심검문·····329 129. 무기사용·····332 130. 위험방지를 위한 출입···········335 131. 보호조치·····338 132. 위험발생방지조치와 범죄의 예방과 제지········341 Ⅱ부:사례 행정법의 기초이론 / 행정입법 01. 행정법의 일반원칙 case ·········344 (즉시강제, 절차상 하자, 자기구속・신뢰보호・비례원칙) 02. 특별권력관계 case ····351 (특별권력관계, 판단여지, 하자의 승계, 행정심판전치) 03. 별표 case ·····357 (법규명령형식의 행정규칙, 부당결부금지원칙, 비례원칙) 04. 별표 case ·····364 (법규명령형식의 행정규칙, 신뢰보호원칙, 주체상 하자) 05. 별표 case ·····371 (법규명령형식의 행정규칙, 판단여지, 행정심판전치) 06. 법령보충적 행정규칙 case ·····379 (행정규칙형식의 법규명령, 협의의 소익, 취소소송의 기판력) 07. 행정개입청구권 case 386 (일반적 수권조항, 경찰개입청구권, 권리구제) 08. 행정개입청구권 case 393 (행정개입청구권, 국가배상책임의 성립요건) 09. 통치행위 case ···········398 (통치행위 인정여부, 사법심사 가능성) 10. 신고와 신청, 허가와 예외적 승인 case ············401 (신고와 신청, 허가와 예외적승인, 예방적 부작위소송) 행정행위 / 그 밖의 행정의 행위형식 11. 직권취소 case ···········408 (직권취소, 직권취소의 취소와 원행정행위의 효력) 12. 부관 case ·····413 (행정재산의 목적외 사용, 부관) 13. 부관 case ·····420 (부관, 사후부관, 철회의 제한) 14. 행정계획 case ···········425 (행정계획의 법적성질, 계획변경청구권) 15. 행정계획 case ···········431 (행정계획의 법적성질, 형량명령이론, 취소판결의 기속력) 16. 행정지도 case ···········436 (행정지도, 대상적격, 협의의 소익, 국가배상책임의 위법성) 17. 선결문제 case ···········441 (가중적 제재처분과 협의의 소익, 민사법원과 선결문제) 18. 선결문제 case ···········448 (무효와 취소, 하자의 치유와 전환, 형사법원과 선결문제) 19. 정보공개 case ···········456 (청구권자, 비공개정보, 권리구제수단, 시민단체의 청구권) 20. 정보공개 case ···········464 (청구권자, 비공개정보, 처분사유의 추가・변경, 비공개사유) 행정절차법 / 정보공개법 21. 절차상 하자 case······472 (이유제시, 의견제출, 하자의 치유, 절차상 하자) 22. 공무원 임용결격 case ············479 (무효・취소의 구별, 하자의 치유・전환, 당연퇴직, 퇴직연금 지급청구 가능성) 23. 시보임용 / 징계 / 사실상 공무원이론 case ·····488 (시보임용의 효력, 정규임용취소처분의 위법성, 해임처분의 구제수단, 사실상 공무원 이론) 24. 위헌법률에 근거한 처분의 효력 case ·495 (위헌결정의 소급효, 위헌법률에 근거한 처분의 집행력) 행정의 실효성 확보수단 25. 대집행・계고・독촉 case··········500 (대집행, 하자의 승계, 실력행사 가능성, 독촉의 처분성) 26. 대집행・계고 case ·····507 (반복된 계고와 취소소송의 대상, 하자의 승계) 27. 즉시강제 case ···········512 (즉시강제, 국가배상법 제2조, 선택적청구 가능성) 28. 즉시강제 case ···········519 (즉시강제, 경찰긴급권) 29. 행정조사 case ···········525 (행정조사, 영장주의, 실력행사가능성, 위법 조사에 따른 처분) 행정쟁송 30. 취소소송의 제기요건 case ·····532 (대상적격 : 횡단보도설치, 벌점부과, 정년퇴직인사발령, 의약품조달계약) 31. 원처분주의와 재결주의 case ··539 (행정심판전치, 재결의 효력, 취소소송의 대상과 제소기간) 32. 경업자소송 case·······547 (경업자소송, 사정판결, 인용재결에 대한 취소소송-제3자) 33. 경원자소송 case·······552 (경원자소송, 처분사유의 추가・변경, 취소판결의 기속력, 하자치유, 신뢰보호원칙) 34. 취소판결의 기속력 case·········559 (사전통지, 거부처분과 집행정지, 취소판결의 기속력) 35. 취소판결의 기속력 case·········564 (간접강제, 취소판결의 기속력, 경과규정과 기속력) 행정상 손해전보 36. 국가배상 case ···········570 (국가배상법 제2조, 공무원에 대한 구상권) 37. 국가배상 case ···········575 (국가배상법 제2조, 공무원에 대한 구상권, 선택적청구가능성) 38. 국가배상 case ···········581 (국가배상법 제2조, 제5조의 경합, 배상책임자) 39. 국가배상 case ···········588 (직접강제, 손실보상, 국가배상법 제2조, 국가에 대한 구상권) 40. 자배법・이중배상금지 case ····596 (자배법상 배상책임, 이중배상금지와 구상권) 41. 손실보상 case ···········601 (경찰공공의 원칙, 경찰비례의 원칙, 손실보상) 42. 희생보상청구권 case 607 (손실보상청구권 성립요건, 희생보상청구권 성립요건) 43. 행정심판 case ···········609 (임시처분, 일부취소) 경찰행정법 44. 경찰책임 case ···········614 (행위책임, 상태책임, 경찰긴급권) 45. 경찰책임 case ···········617 (행위책임, 상태책임, 다수책임자 경합, 경찰긴급권) 46. 경찰책임 case ···········621 (경찰책임의 경합, 경찰긴급권, 제재적 처분사유의 승계) 47. 경찰책임 case ···········627 (경찰책임의 승계, 하자의 승계, 공법인의 형식적 경찰책임) 48. 경찰책임 case ···········632 (일반적 수권조항, 경찰긴급권, 경찰비례의 원칙) 49. 불심검문 case ···········638 (불심검문, 비례의 원칙, 선결문제, 판단여지, 하자의 승계) 50. 무기사용 case ···········645 (불심검문, 무기사용의 요건과 한계, 비례원칙) Ⅲ부:판례····653 Ⅳ부:부록 1. 연도별 기출문제··········708 2. 주관식 답안지(양식)···7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