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독서
<주님을 경외하는 이는 아버지를 공경한다.>
▥ 집회서의 말씀입니다. 3,2-6.12-14
2 주님께서 자녀들로 아버지를 영광스럽게 하시고 아들에 대한 어머니의 권리를 보장하셨다. 3 아버지를 공경하는 이는 죄를 용서받는다. 4 제 어머니를 영광스럽게 하는 이는 보물을 쌓는 이와 같다. 5 아버지를 공경하는 이는 자녀들에게서 기쁨을 얻고 그가 기도하는 날 받아들여진다. 6 아버지를 영광스럽게 하는 이는 장수하고 주님의 말씀에 귀 기울이는 이는 제 어머니를 편안하게 한다. 12 얘야, 네 아버지가 나이 들었을 때 잘 보살피고 그가 살아 있는 동안 슬프게 하지 마라. 13 그가 지각을 잃더라도 인내심을 가지고 그를 업신여기지 않도록 네 힘을 다하여라. 14 아버지에 대한 효행은 잊히지 않으니 네 죄를 상쇄할 여지를 마련해 주리라.
주님의 말씀입니다.
◎ 하느님 감사합니다.
제2독서
<주님과 함께하는 가정생활>
▥ 사도 바오로의 콜로새서 말씀입니다. 3,12-21
형제 여러분, 12 하느님께 선택된 사람, 거룩한 사람, 사랑받는 사람답게 마음에서 우러나오는 동정과 호의와 겸손과 온유와 인내를 입으십시오. 13 누가 누구에게 불평할 일이 있더라도 서로 참아 주고 서로 용서해 주십시오. 주님께서 여러분을 용서하신 것처럼 여러분도 서로 용서하십시오. 14 이 모든 것 위에 사랑을 입으십시오. 사랑은 완전하게 묶어 주는 끈입니다. 15 그리스도의 평화가 여러분의 마음을 다스리게 하십시오. 여러분은 또한 한 몸 안에서 이 평화를 누리도록 부르심을 받았습니다. 감사하는 사람이 되십시오. 16 그리스도의 말씀이 여러분 가운데에 풍성히 머무르게 하십시오. 지혜를 다하여 서로 가르치고 타이르십시오. 감사하는 마음으로 하느님께 시편과 찬미가와 영가를 불러 드리십시오. 17 말이든 행동이든 무엇이나 주 예수님의 이름으로 하면서, 그분을 통하여 하느님 아버지께 감사를 드리십시오. 18 아내 여러분, 남편에게 순종하십시오. 주님 안에 사는 사람은 마땅히 그래야 합니다. 19 남편 여러분, 아내를 사랑하십시오. 그리고 아내를 모질게 대하지 마십시오. 20 자녀 여러분, 무슨 일에서나 부모에게 순종하십시오. 이것이 주님 마음에 드는 일입니다. 21 아버지 여러분, 자녀들을 들볶지 마십시오. 그러다가 그들의 기를 꺾고 맙니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하느님 감사합니다.
<부모는 율법 교사들 가운데에 있는 예수님을 찾아냈다.>
복음 루카 2,41-52
41 예수님의 부모는 해마다 파스카 축제 때면 예루살렘으로 가곤 하였다.
42 예수님이 열두 살 되던 해에도 이 축제 관습에 따라 그리로 올라갔다.
43 그런데 축제 기간이 끝나고 돌아갈 때에 소년 예수님은 예루살렘에 그대로 남았다.
그의 부모는 그것도 모르고, 44 일행 가운데에 있으려니 여기며 하룻길을 갔다.
그런 다음에야 친척들과 친지들 사이에서 찾아보았지만, 45 찾아내지 못하였다.
그래서 예루살렘으로 돌아가 그를 찾아다녔다.
46 사흘 뒤에야 성전에서 그를 찾아냈는데,
그는 율법 교사들 가운데에 앉아 그들의 말을 듣기도 하고 그들에게 묻기도 하고 있었다.
47 그의 말을 듣는 이들은 모두 그의 슬기로운 답변에 경탄하였다.
48 예수님의 부모는 그를 보고 무척 놀랐다.
예수님의 어머니가 “얘야, 우리에게 왜 이렇게 하였느냐?
네 아버지와 내가 너를 애타게 찾았단다.” 하자,
49 그가 부모에게 말하였다. “왜 저를 찾으셨습니까?
저는 제 아버지의 집에 있어야 하는 줄을 모르셨습니까?”
50 그러나 그들은 예수님이 한 말을 알아듣지 못하였다.
51 예수님은 부모와 함께 나자렛으로 내려가, 그들에게 순종하며 지냈다.
그의 어머니는 이 모든 일을 마음속에 간직하였다.
52 예수님은 지혜와 키가 자랐고 하느님과 사람들의 총애도 더하여 갔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그리스도님 찬미합니다.
싸움 상황을 연출한 후, 10명에게 그 상황을 지켜보게 했습니다. 어느 방향에서나 똑같이 볼 수 있도록 했지요. 그리고 같은 상황을 본 10명의 관찰자가 말하는 이야기가 과연 모두 일치하는지를 알아보는 실험이었습니다. 어떻게 되었을까요? 똑같은 상황을 보고 있었으니, 그래도 어느 정도 일치하지 않았을까요? 하지만 우리의 예상과 달리 이 10명의 이야기는 모두 달랐습니다.
기억은 인지 기능이지만 정서와도 깊은 연관이 있기에, 당시의 정서적 반응에 따라 기억의 내용이 바뀔 수 있다고 합니다. 이 과정에서 종종 왜곡과 변형이 일어납니다.
이런 경험을 자주 할 것입니다. 상대방의 서운함에 너무 힘들어 어느 날 용기 내어 이야기했는데 상대방은 전혀 기억하지 못할 때가 있지 않습니까? 그때 상대방이 모르는 척하는 것이라고, 어떻게 이 일을 잊을 수 있냐면서 화를 내지 않았습니까?
진짜 기억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충분히 왜곡할 수 있고 변형되는 우리의 기억이기 때문입니다. 이런 불안한 기억력으로 상대방을 평가하고 단죄할 수 없습니다. 자신의 부족함을 인정해야 상대방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일 수 있습니다.
가정 안에서도 이런 왜곡되고 변형된 기억으로 일치를 이루지 못하는 경우가 너무나 많습니다. 사랑이 충만한 가정이 아니라 불신과 미움으로 가득한 가정으로 보입니다. 그런 가정이 아닌, 우리가 원하는 진정으로 사랑하는 가정이 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상대방의 부족함을 보는데 집중해서는 안 됩니다. 그보다 있는 그대로 받아주는 마음이 있어야지만 가능합니다.
이런 성가정의 모범을 예수님과 성모님 그리고 요셉 성인이 만든 가정에서 찾습니다. 오늘 복음을 보면, 성전에서 예수님을 찾는 장면을 볼 수 있습니다. 잃어버렸다고 생각했던 아들을 성전에서 찾은 뒤에 성모님께서는 “얘야, 우리에게 왜 이렇게 하였느냐? 네 아버지와 내가 너를 애타게 찾았단다.”라고 말씀하십니다. 아직 어린이로 취급하고 있는 모습이 보입니다. 그런데 예수님은 “왜 저를 찾으셨습니까? 저는 제 아버지의 집에 있어야 하는 줄을 모르셨습니까?”라고 말씀하시면서, 이제 하느님의 아들로서의 사명감을 자각하고 있음을 드러내십니다.
이해하기 힘든 상황입니다. 그러나 혼내기보다는 이 모든 일을 마음속에 간직합니다. 이 모습이 성가정이 되는 비결이 아닐까요? 서로가 서로를 믿는 것, 그리고 이해하지 못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마음속에 간직하면서 이해하려고 노력하는 모습이 성가정의 시작이었습니다.
싸움이 가득하면서, 서로를 전혀 이해하려고도 하지 않고 믿지 않으면서 진정한 성가정이 되려는 것은 큰 욕심입니다.
겸손함 없이 말하는 이는 말을 잘하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공자).
예수, 마리아, 요셉의 성가정.
비우는데 집중하십시오.
어느 실내 공간의 가장 멋지고 예쁜 인테리어는 어떤 것일까요? 우드 앤 화이트? 아니면 멋진 대리석?
가장 훌륭한 인테리어는 물건이 하나도 없는 빈 공간이라고 하더군요. 인테리어 업체가 올린 사진을 보면 모두가 멋지고 예뻐 보이지요. 디자인을 잘한 이유도 있겠지만, 가장 큰 이유는 실내 공간에 아무런 물건이 없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아무리 고급 자재로 인테리어를 해봤자 물건들이 가득 들어 있으면 그 인테리어가 전혀 보이지 않으니 멋지게 보이지도 또 예뻐 보이지도 않는 것이었습니다.
우리 몸도 그렇지 않을까요? 우리 몸이 멋지고 예뻐 보이도록 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물건이나 물질로 나를 채워서는 안 된다는 것입니다. 이렇게 세상의 것들로 나를 채우면 결국 나는 사라지고 말 것입니다.
채우는 것에 집중할 것이 아니라 비우는 데 집중해야 합니다. 그래야 최고의 멋지고 예쁜 내가 두드러질 수 있습니다.
예수, 마리아, 요셉의 성가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