黃芪甘溫收汗表 황기감온수한표
托瘡生肌虛莫少 탁창생기허막소
黃芪는 味甘 性溫하며, 汗表를 거둔다. 瘡을 헤쳐 살이 나게 하며, 虛한 데 많이 쓴다.
단너삼뿌리 황기
①足太陰․手少陽․足少陰․命門에 들어간다.(本草).
②表證을 다스림에는 生用하고, 虛證을 補함에는 蜜炙한다.
③下焦를 다스림에는 鹽炒한다는 말은 틀리는 말이다. 氣가 오르면 腎이 受蔭하여 崩漏․帶下 等症이 저절로 멎는다.(備要).
④龜甲․白蘚皮를 惡하고, 防風을 得하면 그 效力이 더욱 커지는데, 이는 相畏하고 相使하는 셈이다.
⑤모든 虛證을 다스리며, 益氣 壯脾하고, 熱을 없애며 고름을 빼고 活血하므로 瘡家에 聖藥이 된다. 땀이 없으면 發汗시키고, 땀이 나면 止汗시키니, 小兒의 여러 病과 婦人의 崩漏․帶下같은 여러 疾病을 다스린다.(本草).
⑥[四君子湯]에서 白朮과 茯苓을 빼고 黃芪를 加한 것을 [保元湯]이라고 하는데, 白朮은 燥濕하고 茯苓은 滲水하므로 痘疹에는 이를 禁忌하니 [保元湯]을 쓴다.(備要).
⑦寧越에서 生産되는 것의 껍질이 누렇고 속살은 희고 솜처럼 부드러운 것이 좋다.
ㅡㅡㅡ
薺苨甘寒嗽渴瘡 제니감한수갈창
解百藥毒蛇箭傷 해백약독사전상
제니 게루기 잔대
薺苨는 味甘 性寒하다. 咳嗽․消渴․瘡腫에 좋다. 百藥의 毒을 풀고 뱀․화살 傷處에 쓴다.
게로기 잔대
①人蔘과 비슷하나 잎이 작고, 桔梗과 비슷하나 心이 없다.
ㅡㅡㅡ
桔梗味苦療咽腫 길경미고요인종
載藥上升開胸壅 재약상승개흉옹
桔梗은 味苦하다. 咽喉腫을 治療하며, 藥氣를 끌고 上升하여 가슴 막힌 것을 열어준다.
도라지 길경
①微溫하고 毒이 적은데, 一說은 無毒하고 몹시 寒하다고 한다.
②手太陰 氣分 및 足少陰으로 들어간다.
③龍膽草․白芨을 畏하고, 猪肉을 忌한다.
④蘆頭를 버리고 米泔浸한다.
⑤甘草와 마찬가지로 補佐藥으로 쓴다.(本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