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4월 25일(목), 맑음, 아차산, 창경궁 노천 화단, 식물원
1. 금낭화(錦囊花, Dicentra spectabilis (L.) Lem.)

현호색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금낭화는 한동안 중국이 원산지라고 알려졌다. 우리나라에서는 설악산 봉정암 근처에서 처
음 발견되었는데, 중국에서도 자라는 것으로 미루어 학자들은 중국의 식물이 사찰을 통해 우
리나라에 전해졌을 거라고 추측하였다. 그러나 지난 십여 년 사이 우리 꽃에 대한 관심이 높
아지고 우리 식물자원에 대한 조사가 활발해지면서 그동안 정밀하게 조사하지 못했던 크고
작은 산에서 금낭화를 찾는 일이 크게 어렵지 않게 되었다. 이제는 금낭화가 그 뿌리부터 순
수한 진짜 우리 꽃이라는 데 아무도 토를 달지 않는다.(이유미, 『한국의 야생화』)
2. 금낭화(錦囊花, Dicentra spectabilis (L.) Lem.)

꽃이 ‘아름다운 주머니를 닮은 꽃’이라는 뜻이다. 또 꽃의 생김새가 여인들이 치마 속에 넣고
다니던 주머니를 닮아서 ‘며느리주머니’라고 부르기도 한다.
3. 금낭화(錦囊花, Dicentra spectabilis (L.) Lem.)

4. 탱자나무(Poncirus trifoliata (L.) Raf.)

운향과의 낙엽활엽 교목이다. 중국이 원산지로 우리나라 중부 이남에 분포한다.
탱자나무는 ‘추한 등자나무귤과 닮은 나무’라는 뜻으로 ‘추등수(醜橙樹)’라고도 한다.
예로부터 탱자나무는 울타리로 많이 심었다. 당나라 시인 온정균(溫庭筠, 812~870)의
「상산조행(商山早行)」에서도 이를 확인할 수 있다.
晨起動征驛 새벽에 일어나 말방울 울리며 출발할 때
客行悲故鄕 나그네는 고향 생각에 슬프기만 하네
鷄聲茅店月 닭소리 들리고 지는 달 초가지붕에 걸려 있고
人跡板橋霜 널다리에 서리 내려 발자취 나 있네
槲葉落山路 떡갈나무 잎 떨어진 산길을 걸어가노라면
枳花明驛牆 탱자 꽃이 주막집 담장에 희고 밝게 피었네
因思杜陵夢 하염없이 꿈인 듯 고향 근처의 경치 눈에 어리고
鳧鴈滿回塘 지금쯤 철새들 연못에 떼 지어 있으리
5. 탱자나무(Poncirus trifoliata (L.) Raf.)

우리나라 탱자나무의 북방한계선은 강화도라고 한다. 강화도에 천연기념물인 탱자나무가
2그루 있다. 강화읍 갑곶리에 제78호가 있고 화도면 사기리에 제79호가 있다. 갑곶리 탱자
나무는 나이 400년, 높이 4m, 둘레 1m이고, 사기리 탱자나무는 나이 400년, 높이 3.8m, 둘
레 0.6m라고 한다.
6. 할미꽃(Pulsatilla koreana (Yabe ex Nakai) Nakai ex Mori)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우리나라에서만 자생하는 특산식물이다.
영명은 Korean pasque flower이다.
7. 아그배나무(Malus sieboldii (Regel) Rehder)

장미과의 낙엽활엽 관목 또는 소교목이다.
아그배나무의 유래는 정확히 알려진 게 없지만, ‘아그’가 ‘아기’의 지방어라는 점을 감안하면
어린배나무 쯤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러나 사과를 의미하는 학명 말루스(Malus)에서 보듯
이 배보다는 사과에 가깝다. 아그배나무의 열매는 아주 작은 사과처럼 생겼다.
(강판권, 『나무사전』)
8. 아그배나무(Malus sieboldii (Regel) Rehder)

9. 괴불주머니(Corydalis pallida (Thunb.) Pers.)

현호색과 두해살이풀이다.
10-1. 괴불주머니(Corydalis pallida (Thunb.) Pers.)

괴불주머니의 뿌리를 菊花黃連(국화황련)이라 하며 약용한다.
약효로는 淸熱(청열), 拔毒(발독), 消腫(소종)의 효능이 있다. 癰瘡(옹창), 熱節(열절), 無
名腫毒(무명종독), 風火眼痛(풍화안통-급성결막염)을 치료한다.
10-2. 괴불주머니(Corydalis pallida (Thunb.) Pers.)

11. 매미꽃(Coreanomecon hylomeconoides Nakai)

양귀비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우리나라 특산식물이다. 영명은 Korean forest poppy이다.
피나물과 비슷한데 피나물은 줄기를 자르면 노란색의 액체가 나오고 매미꽃은 묽은 핏빛
액체가 나온다.
12. 제비꽃

13. 제비꽃

14. 복사나무 꽃(Prunus persica (L.) Batsch)

장미과의 낙엽 소교목이다.
복사나무의 열매를 ‘복숭아’라고 한다.
복사나무 이름의 유래는 아직 알 수 없다.
학명의 종소명 페르시카(persica)는 원산지가 페르시아(지금의 이란)라는 뜻이다.
15. 복사나무 꽃(Prunus persica (L.) Batsch)

16. 황매화(Kerria japonica (L.) DC.)

장미과의 낙엽활엽 관목이다.
꽃과 지엽을 체당화(棣棠花)라 하며 약용한다.
중국에서는 황매화를 체당화 혹은 지당화(地棠花)라고 한다.
아울러 황매화를 속칭 출단화(黜壇花)라고 부른다. 당나라 황제는 음양오행에 따라 물의 명,
즉 수명(水命)을 받았기에 황색을 꺼려했다. 이 때문에 궁궐이나 사찰에 심었던 황색의 황매
화를 제단에서 없앤 것이다. 이규보(李奎報, 1168~1241)의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
集)』에도 이러한 이야기(「지당화를 논하여 이 소경 수(論地棠花寄李少卿需)」에게 부치
다)가 실려 있다.(강판권, 위의 책)
그대는 말하길 옛날 임금이 정사가 한가한 틈을 타서 君言伊昔君王乘政閑
꽃 가꾸는 화단에서 꽃을 가릴 적에 養花壇上選花看
임금이 남겨둔 꽃은 어류화(御留花)되고 帝所留者是御留
이 꽃은 쫓김 당해 출단화라 한다던가 此花見黜名黜壇
(한국고전번역원 | 이훈종 (역) | 1979)
17. 병아리꽃나무(Rhodotypos scandens (Thunb.) Makino)

장미과의 낙엽활엽 관목이다.
하얀 꽃이 피는 모습이 어린 병아리를 연상케 한다고 하여 ‘병아리꽃나무’라고 이름 지었다.
영일군 동해면 발산리의 병아리꽃나무와 모감주나무 군락지는 천연기념물 제371호에 지정
되어 있다.
18. 철쭉(Rhododendron schlippenbachii Maxim.)

진달래과 낙엽활엽 관목이다.
철쭉은 척촉(躑躅)에서 유래했으며, ‘머뭇거리다’라는 뜻이다. 꽃이 아름다워 사람들이 발걸
음을 머뭇거리게 했다는 설이 유력하다.
종소명 스클리펜바키아(schlippenbachii)는 1854년 우리나라 해안선을 측정하러 왔다가 식
물을 처음으로 수집한 러시아의 해군장교 슐리펜바흐(Baron Alexander von Schlippenbach,
1828~ ?)를 가리킨다.
19. 홀아비꽃대(Chloranthus japonicus Siebold)

홀아비꽃대과 여러해살이풀이다.
영명은 Single-spike chloranthus이다.
한 개의 꽃대에 꽃이 하나만 피므로 ‘홀아비’라고 하는 이름이 붙여졌다.
20. 할미꽃(Pulsatilla koreana (Yabe ex Nakai) Nakai ex Mori)

21. 백화등(白花藤, Trachelospermum asiaticum var. majus (Nakai) Ohwi)

협죽도과 상록만경 식물이다.
영명은 White-flower Asian jasmine이다.
남부지방에 주로 분포하며 여수의 오동도 주변에서 자란다.
22. 백자단(白紫檀, Cotoneaster horizontalis Decne.)

장미과의 낙엽성 관목이다.
23. 백자단(白紫檀, Cotoneaster horizontalis Decne.)

24. 돈나무(Pittosporum tobira (Thunb.) W.T. Aiton)

돈나무과의 상록활엽 관목으로 주로 남부 해안이나 섬에서 자란다.
종소명 토비라(tobira)는 일본명 토베라(トベラ)를 뜻하며, 돈나무의 일본 발음이다.
영명은 Australian laurel(호주 월계수)이다.
지엽과 나무껍질을 七里香(칠리향)이라 하며 약용한다.
25. 돈나무(Pittosporum tobira (Thunb.) W.T. Aiton)

26. 안면도새우란(Calanthe discolor spp.)

27. 안면도새우란(Calanthe discolor spp.)

28. 괭이밥(Oxalis corniculata L.)

괭이밥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괭이는 고양이를 말한다.
일본명은 카타바미소(カタバミソウ, 酢漿草, 작장초)이다.
전초를 酢漿草(작장초)라 하며 약용한다.
29. 긴병꽃풀(Glechoma grandis (A. Gray) Kuprian.)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일본명은 고우라이카키도우시(コウライカキドオシ, 高麗垣通し)이다.
전남(광주), 경남(산청), 경기(북한산), 황해 이북에 나며 일본, 만주, 아무르, 우수리, 시베
리아에 분포한다.
30. 하늘매발톱(Aquilegia japonica Nakai & H. Hara)

미나리아재비과 여러해살이풀이다.
낭림산 이북에 나며 일본, 만주에 분포한다. 고산의 암석지에서 자란다.
속명 아킬레지아(Aquilegia)는 독수리라는 뜻의 라틴어 아퀼리아(aquilia)에서 유래되었다
고도 하고, 이 꽃의 뒷부분(톡 튀어나와 꿀이 고이는 부분이 있는데 , 이를 거(距)라고 한다)
의 거 안에 꿀이 고이므로 ‘물’이란 뜻의 아쿠아(aqua)와 ‘모으다’라는 뜻의 레게레(legere)
의 합성어라는 견해가 있다.
매발톱이라는 이름이 붙은 것은 이 꽃의 뒷부분이 발톱을 오므리고 있는, 매의 발을 닮았기
때문이라고 한다.(이유미, 위의 책)
31. 병꽃나무(甁---, Weigela subsessilis (Nakai) L.H.Bailey)

인동과의 낙엽활엽 관목이다.
일본명은 コウライヤブウツギ(高麗楊櫨, 고려양로)이다.
영명은 Korean weigela이다. 꽃이 병을 닮았다.
우리나라에서만 자라는 특산식물이다.
첫댓글 노천에서 남부수종인 돈나무도 꽃을 피우네요~ 매미꽃은 한속에서 2개도 꽃을 피우는게 다르다는데 야생에선 한번도 몬만났네요~ㅠ
돈나무는 당연히 식물원 온실에서 자라고, 매미꽃은 아차산에서 특별히 심어놓았답니다.^^
저는 야생에서 매미꽃을 보았는지 피나물만 보았는지 알지 못합니다.
@악수 글쿤요~ 야생에는 거의 피나물이지 매미꽃은 매우 귀한걸로 알고 있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