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5.17 제6차 협동조합 실태조사 결과
https://www.moef.go.kr/nw/nes/detailNesDtaView.do?searchBbsId1=MOSFBBS_000000000028&searchNttId1=MOSF_000000000068992&menuNo=4010100
기획재정부는 제6차 협동조합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하였다.
* 「협동조합 기본법」에 따라 협동조합의 활동현황·자금·인력 및 경영 등에 관한 실태파악을 위하여 2년마다 실시하는 조사
조사 결과, ‘22년까지 설립된 협동조합은 23,892개로 20년(19,429개)에 비해 23.0% 증가하였으며, ’22년 현재 운영중인 조합은 10,976개로 ‘20년(8,926개) 대비 23.0% 증가하였다.
조합당 평균자본은 1억 1,227만원, 매출액은 3억 7,470만원으로 ‘20년 대비 각각 5,167만원, 7,958만원 증가하였으며, 당기순이익은 118만원으로 ’20년 적자(△433만원)에서 흑자로 전환되었다.
조합원은 총 622,410명, 임금근로자는 73,992명으로 ‘20년 대비 각각 26.2%, 54.4% 증가하였다.
지역별로는 서울, 경기, 전북, 전남, 강원, 경북, 경남 순으로 분포하고 있으며, 서울, 경기지역의 협동조합이 39.3%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담당 부서 | 미래전략국 | 책임자 | 과 장 | 최상운 | (044-215-5970) |
| 지속가능경제과 | 담당자 | 사무관 | 이지영 | (carrera@korea.kr) |
□ (설립수) ‘22년 기준 협동조합수(누계)는 23,892개이며, ’20년(19,429개)에 비해 23.0% 증가
* 협동조합 설립수(개): (‘16) 10,615, (’18) 14,526, (’20) 19,429 (’22) 23,892
ㅇ (유형) 일반협동조합은 19,649개(82.2%), 사회적협동조합은 4,116개(17.2%), 연합회는 104개(0.5%)
|
구분 | 계 | 일반협동조합 | 사회적 협동조합 | 일반 협동조합연합회 | 사회적 협동조합연합회 |
소계 | 사업자 | 다중이해 관계자 | 직원 | 소비자 |
조합수(개) | 23,892 | 19,649 | 14,403 | 3,978 | 690 | 578 | 4,116 | 93 | 34 |
비중(%) | 100.0 | 82.2 | 60.3 | 16.6 | 2.9 | 2.4 | 17.2 | 0.4 | 0.1 |
(100.0) | (73.3) | (20.2) | (3.5) | (2.9) |
□ (지역별 현황) 전체 협동조합 지역별 분포는 서울, 경기, 전북, 전남, 강원, 경북, 경남의 순이며, 서울, 경기의 비율은 39.3%
구분 | 전국 | 서울 | 경기 | 전북 | 전남 | 강원 | 경북 | 경남 | 기타 |
전체 | 23,892 | 4,980 | 4,415 | 1,608 | 1,404 | 1,369 | 1,242 | 1,228 | 7,646 |
(100.0) | (20.8) | (18.5) | (6.7) | (5.9) | (5.7) | (5.2) | (5.1) | (32.0) |
일반협동조합 | 19,649 | 4,106 | 3,439 | 1,385 | 1,206 | 1,136 | 1,014 | 943 | 6,420 |
(100.0) | (20.9) | (17.5) | (7.0) | (6.1) | (5.8) | (5.2) | (4.8) | (32.7) |
* 시·도지사는 관할구역 내 일반 협동조합 설립신고 수리(협동조합기본법 제15조제1항)
□ (부처별 현황) 사회적협동조합의 경우 보건복지부, 교육부, 고용부, 문화부, 국토부 등 5개 부처 소관 조합이 76.8%를 차지
구분 | 전체 | 복지부 | 교육부 | 고용부 | 문화부 | 국토부 | 농림부 | 행안부 | 기타 |
개수 | 4,116 | 1,621 | 590 | 332 | 326 | 291 | 157 | 137 | 662 |
비중(%) | (100.0) | (39.4) | (14.3) | (8.1) | (7.9) | (7.1) | (3.8) | (3.3) | (16.1) |
* 중앙행정기관의 장은 소관 분야 사회적협동조합의 설립 인가(협동조합기본법 제116조제2항)
□ (운영 여부) ’22년 사업을 운영 중인 협동조합*은 10,976개로 ‘20년(8,926개) 대비 23.0% 증가
* ‘22년 귀속 법인세·부가가치세 납부 또는 ‘22년말 고용보험에 가입한 사업장
□ (조합원수) 총 622,410명으로 ’20년(493,004명) 대비 129,406명(26.2%) 증가
ㅇ 평균 조합원수는 57.0명으로, ’20년(55.2명) 대비 1.8명 증가
□ (설립목적) 조합원 소득증대(43.3%), 지역사회 공헌(25.5%), 일자리 창출(21.7%)을 목적으로 협동조합 설립
설립 목적 | 조합원 소득증대 | 지역사회 공헌 | 일자리 창출 | 합리적 경제소비 | 조합원 복지증진 | 경쟁력 제고 | 조합원 친목 | 기부 자원봉사 | 정부지원 | 공적자원획득기회 |
비중(%) | 33.3 | 25.5 | 21.7 | 5.4 | 4.8 | 4.3 | 1.7 | 1.3 | 1.3 | 0.6 |
□ (총회) 협동조합의 90.4%가 연평균 2.0번 총회를 개최하고 있으며, 주된 안건은 사업승인(70.9%), 임원변경(37.6%), 자금조달(34.5%) 등
□ (교육) 협동조합의 86.3%는 조합원 대상 협동조합 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며, 교육내용은 경영컨설팅(41.3%), 협동조합 원론(33.7%) 등
□ (매출액) 협동조합의 평균 매출액은 3억 7,470만원으로 ‘20년(2억 9,512만원) 대비 7,958만원 증가(27.0%)
ㅇ 당기순이익은 118만원으로 ‘20년(△433만원) 대비 흑자 전환
□ (재무상태) 자산(’20년 2억 4,970 → ‘22년 3억 4,739만원), 부채(’20년 1억 8,460 → ‘22년 2억 3,512만원), 자본(’20년 6,060 → ‘22년 1억 1,227만원)은 모두 증가
ㅇ (출자금) 조합당 5,382만원으로 ’20년(4,763만원) 대비 619만원 증가
□ (종사자수) 전체 종사자*는 189,053명이며, ’20년(133,290만명) 대비 55,763명(41.8%) 증가
* 협동조합에서 일하는 모든 구성원
(임금근로자 + 유급 임원 + 무급 상근·비상근 임원 + 유·무급 자원봉사자)
ㅇ 평균 종사자수는 17.3명으로, ’20년(14.9명) 대비 2.4명 증가
□ (근로자수) 전체 임금근로자*는 73,992명이며, 조합당 6.8명으로 ’20년(5.4명) 대비 1.4명 증가
* 임금을 목적으로 주당 1시간 이상 협동조합 일을 하는 자(조합원 근로자 + 비조합원 근로자)
(단위: 명)
구분 | ‘20년 | ‘22년 |
전체 | 133,290 | 189,053 |
임원 | 51,085 | 69,813 |
| 이사장 | 8,926 | 10,928 |
상근이사 | 6,853 | 9,649 |
|
비상근이사·감사 | 35,306 | 49,235 |
|
근로자 | 47,925 | 73,992 |
자원봉사자 | 34,280 | 45,966 |
* 종사자 = 임금근로자 + 유급 임원 + 무급 상근·비상근 임원 + 유·무급 자원봉사자
임금근로자 = 임금을 목적으로 주당 1시간 이상 협동조합 일을 하는 자
□ (유형별) 일반협동조합 중 사업자협동조합(54.5%)과 다중이해관계자 협동조합(16.5%)이 전체 협동조합수의 대부분을 차지
구분 | 전체 | 일반 협동조합 | | | | | 사회적 협동조합 | 연합회 |
사업자 | 다중이해 | 직원협동 | 소비자 |
개수 | 10,976 | 8,362 | 5,983 | 1,811 | 317 | 251 | 2,566 | 48 |
비중(%) | (100) | (76.2) | (54.5) | (16.5) | (2.9) | (2.3) | (23.4) | (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