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음악.공연 분야
1.라르고(largo)
*악보에서 아주 느리게 연주하라는 말. 메트로놈의 박절이 1분의 4분음표 40~69가 되는 빠르기이다.
*아주 느린 속도, 또는 그런 악장이나 악곡.
2.아다지오(adagio)
악보에서 안단테와 라르고 사이의 느린속도로 연주하라는 말.
또는 그속도로 연주하는 곡이나 악장.
3.안단테(andante)
*악보에서 느리게 연주하라는말. 모테라토와 아다지오의 중간속도로, 걷는 정도의 속도이다.
*소나타 따위에서 느린 속도로 연주하는 악장
4.안단티노(andantino)
안단테보다 조금 빠르게 연주하라는 말
5.모데라토(moderato)
'적당한','온건한'의 뜻으로 상대적으로는 알레그로와 안단테의 중간 빠르기를 가리키며, 알레그로 모데라토
(적당히 빠르게)처럼 다른말과 함께 쓰이는 일도 있다.
6.알레그레토(allegretto)
'조금빠르게'란 뜻으로 알레그로와 안단테의 중간빠르기를 이른다.
또 알레그로의 축소형으로 이 빠르기로 연주되는 고전파 소나타나 교향곡의 악장을 말하기도 한다.
7.알레그로(allegro)
빠르고 경쾌하게 연주하라는 말
8.프레스토(presto)
매우 빠르게 연주하라는 말
9.비바체(vivace)
*보통 곡 첫머리에 적어 전체의 빠르기를 나타낸다.
*아주 빠르게 연주하라는 말.
10.소나타(sonasta)
16세기 중기 바로크 초기 이후에 발달한 악곡의 형식. 기악을 위한 독주곡 또는 실내악으로
순수예술적 감상 내지는 오락을 목적으로 하며, 비교적 대규모 구성인 몇개의 악장으로 이루어진다.
11.교향곡(symphony)
관현악을 위하여 작곡한, 소나타 형식의 규모가 큰 곡. 보통 4악장으로 이루어지며, 하이든이 시작하여
모차르트와 베토벤에 의하여 확립.
12. 협주곡(concerto)
독주 악기와 관현악이 합주하면서 독주악기의 기교를 충분희 발휘하도록 작곡한 소나타 형식의 악곡.
13.변주곡(variation)
하나의 주제가 되는 선율을 바탕으로, 선율, 리듬, 화성 따위를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나가는 기악곡.
14.교향시(交響詩, symphonic poem)- 관현악에 의하여 시적(詩的) 또는 회화적인 내용을 표현하려고 하는 표제음악(標題音樂). 교향시라는 말은 19세기 중엽에 헝가리의 작곡가 F.리스트가 처음으로 쓰기 시작하여 확립된 말로, 좁은 뜻으로는 1악장형식의 곡을 이르며, 다악장형식의 곡과 구별되기도 한다. 표제가 붙은 관현악곡은 이미 바로크시대에도 있었으나, 당시의 작품들과 교향시 사이에는 대체로 다음과 같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외면적으로는 앞서 말한 1악장형식의 곡에 한해서 교향시라는 이름이 붙는다. 이를테면 베를리오즈의 《환상교향곡》은 그 내용으로 미루어 교향시로 보아도 무방하겠으나, 실제로 그렇게 부르는 일은 없다. 이처럼 다악장형식의 곡은 표제교향곡이라 하여 교향시와 구별되는 경우가 많다.
15.왈츠(Waltz)- 원무곡(圓舞曲).
4분의 3박자의 경쾌한 무곡으로 19세기 유럽에서 널리 유행하였다. 왈츠라는 이름은 대개 독일어의 waltzen(구르다, 돌다)에
서 온 것으로 보고 있으나 프랑스 프로방스의 옛 춤 볼타(volta)에서 비롯되었다는 설도 있다. 무곡으로서의 왈츠는 직접적으로
는 오스트리아의 무곡 렌틀러에서 발전한 것으로 보고 있다. 왈츠의 템포는 대별하여 렌틀러계의 비교적 완만한 것과 빈왈츠
처럼 빠른 것으로 나뉜다. 전자는 빈왈츠 이전의 것과 오늘날 많이 추는 왈츠이다.
16.볼레로(Bolero)-6매우 강렬한 리듬을 지닌 3/4박자의 활달한 스페인 춤.혼자서, 또는 남녀가 짝을 지어 캐스터네츠를 치며
화려하고도 복잡한 스텝을 밟으면서 춘다. 독특한 춤동작으로 걷기(paseo), 갑자기 멈추기(bien parado), 그리고 다양한 발
구르기(battements)가 있다. 볼레로 음악 가운데 뛰어난 작품으로는 라벨의 관현악곡 〈볼레로 Boléro〉(1928)가 있다. 라틴
아메리카의 볼레로는 간단한 스텝을 밟으며 추는 느리고 낭만적인 룸바춤이다.
17.폴카(polka)-보헤미아에서 유래된 활발한 구애춤.3번의 빠른 스텝과 1번의 뛰어오르는 동작이 특징이며, 2/4박자의 음악에
맞추어 춘다. 춤추는 쌍들은 무도장을 빙빙 돌면서 넓은 공간을 돌아다닌다. 1843년경 파리에 소개되어 무도장과 무대에서 크
게 유행했으며, 스칸디나비아에서 라틴아메리카에 이르기까지 유럽과 아메리카 대륙 전역을 휩쓸면서 많은 변형을 낳았다. 20
세기에 들어와서도 여전히 민속춤과 사교춤으로 인기가 있으며, 야로미르 바인베르거의 오페라 〈피리 부는 슈반다 Svanda
Dudák〉와 베드르지흐 스메타나의 오페라 〈팔려간 신부 The Bartered Bride〉 같은 무대 작품에도 등장한다.
18.오라토리오(oratorio)-성악의 일종으로 줄거리가 있는 곡의 모임이지만 배우의 연기는 없다. 종교적인 내용을 주로 담고 있
다. 독일의 수난곡도 이와 비슷한 형식을 가지고 있다.
19.아리아(aria)-서정적인 선율을 말한다. 보통 오페라에 있는, 관현악 반주가 있는 독창곡을 가리킨다.
20.세레나데(serenade)-17-18 세기에 이탈리아에서 발생한 연흥을 위한 가벼운 연주곡을 일컽는다.이탈리아에서는 세레나
데라는 이름 이외에 디베르띠멘또 (Divertimento 여흥, 기분전환) 노뚜르노 (Notturno 야상곡), 카사티온 (Kassation 휴식) 등
으로 불리어 졌으며, 이 다양한 명칭에 관련한 작은 일화로서 하이든은 자신의 현악 4중주 (1 - 12번)을 원래 Kassation라 부
르다가 후에 Divertimento로 바꾸어 불렀다고 전해진다.하지만 보통의 Divertimento는 2악장에 미뉴엣을, 3악장에 느린 악장
을 넣는 반면에 세레나데는 보통 그 순서가 바뀌어 있다는 점에서 다르다.
21.캐논(Canon)-엄격한 모방의 원칙에 의한 대위법 음악형식 및 작곡기법. 처음 주어진 선율이 일정한 시간이 지나 하나 또는
여러 성부에서 유니즌(같은 음높이)이나 다른 음높이로 모방된다. 모방될 때 음의 길이는 그대로 또는 처음보다 긴 길이로 확
대되거나, 본래보다 짧은 길이로 축소되어 나타난다. 선율적으로도 원래의 진행방향과 거꾸로 모방이 이루어지기도 하며(역행
모방), 음정은 불변이지만 반대방향으로 움직이거나(예를 들면 음이 올라가면 그 음정만큼 아래로 내려가는 전위 또는 거울 모
방) 역행과 전위가 동시에 나타나기도 한다.
22.탱고(tango)-1880년 무렵 부에노스아이레스의 하층민 지역에서 생긴 사교춤.
스페인의 탱고와 빠르고 육감적이며 평판이 좋지 않은 아르헨티나의 밀롱가가 혼합되었으며, 쿠바의 하바네라에서도 영향을
받았으리라 여겨진다. 1900년대초에 사회적으로 용납되었고 1915년경에는 유럽 사교계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다. 알려진
작곡가가 만든 최초의 탱고 음악은 1910년 무렵에 출판되었다. 초창기 탱고는 활기차고 쾌활했으나 1920년대가 되자 그 음악
과 가사가 극도의 우수를 띠게 되었다. 스텝도 초기의 활기찬 스텝에서 부드러운 실내 무도 스텝으로 변화했다. 탱고 음악은
4/4박자이다. 스페인 탱고는 플라멩코와 음악의 경쾌한 변형이며 아르헨티나 춤의 영향을 받았으리라 여겨진다.
23.삼바(samba)-브라질에서 생겨나 1940년대초 서유럽과 미국에서 유행한 사교춤.
앞뒤로 걷는 단순한 스텝, 상하·전후·좌우로 흔드는 몸동작을 특징으로 하며 분절 리듬을 동반하는 4/4박자의 음악에 맞춰 춘
다. 각 쌍이 서로 껴안고 제자리에서, 또는 바닥을 돌면서 추며, 변형 스텝을 밟기 위해 서로 떨어지기도 한다. 이 춤은 주로
1870경~1914년에 유행한 마시셰에서 갈라져나왔다. 브라질에서는 사교춤 형태의 삼바와는 별도로 더 오래되고 아프리카적인
색채가 강한 유형의 삼바도 춘다. 종종 바투케라고 불리는 이 춤은 일종의 집단무로서 2겹의 직선, 또는 1명의 독무자를 가진
원형 형태로 진행된다.
24.리사이틀(recital)-음악에서는 독창회나 독주회 무용에서는 어느 한 사람만의 무용을 중심으로 하는 무용회.
25.골든 디스크(golden disk)- 대한민국 대중가요와 뮤직 비디오 우수작을 선정하는 시상식으로서 대중문화 창작의욕의 진적
과 신인 발굴, 음반 산업 성장에 기여할 목적으로 시작되었다. 1986년에 제1회 시상식이 열렸으며 대한민국에서 가장 권위있
는 음악 시상식으로 인정받고 있다.
26.아악(雅樂)-고려시대부터 조선 말기까지 궁중에서 연주되었던 전통음악의 한 갈래.
중국에서 들여온 음악으로 향악(鄕樂)·당악(唐樂)과 함께 궁중음악의 주류를 이루었다. 향악·당악은 우방악(右坊樂), 아악은 좌
방악(左坊樂)으로 구분하여 연주되었다. 조선 후기 이후 민속악에 대한 대칭개념인 정악(正樂)을 가리키는 말로도 사용된다.
27. 범패 : 범음(梵音), 인도(印度) 소리, 어산(魚山)이라고도 한다. 가곡·판소리와 함께 한국 전통 3대 성악곡 중 하나이다. 현재 전하는 불교음악을 총칭해 범패라고 하는데, 반드시 범패승들만이 부르는 전문적인 음악이다.
28. 시나위 : 정악에 상대한 향악. 또는 굿거리, 살풀이 따위의 무속 음악.
29. 퍼포먼스 : 연주, 수행, 성능이라는 뜻을 내포하고 있다.
30. 멜로드라마 : 서양 연극에서 덕망있는 사람이 사악한 사람에 의해 파란곡절을 겪다가 결국 미덕이 승리하는 비현실적인 줄거리로 이루어진 감상적인 드라마
31. 사이코드라마 : 동료환자와 극의 진행에 일부 참가할 수도 있는 전문치료가 앞에서 환자가 자신의 개인문제를 어느 정도 자발적으로 극화하는 집단 심리치료극.
32. 안티드라마 :
Anti Drama(안티드라마) [연극] 등장인물들의 인간관계, 주제와 부주제의 갈등, 또는 상징적으로 인정해온 연극적인 요소를 일체 배제한 연극. 1950년대에 들어서 프랑스 극작가 이오네스코 등에 의해 주창된 일종의 전위연극운동이다
33. 키노드라마 : 영화를 섞어 상연하는 특수한 연극. ≒사슬극·연속극·연쇄극
34. 블랙 코미디 : 잔혹하고 기괴하고 통렬한 풍자를 내용으로 하는 희극.
35. 보디 랭귀지 :몸짓이나 표정 따위로 의사 전달을 하는 행위.
36.판토마임 : 대사 없이 몸짓표현만으로 사상 ·감정을 표현하는 모든 연극적 형식, 또는 그 연기자.
37.가부키 : 음악과 무용의 요소를 함하는 일본전통극. 고유한 무대에서 양식화된 연기를 보여 주는대중적 극 양식으로, 에도 시대에 집대성하였다
38. 사극 : 독일의 극작가이며 연출가인 베르톨트 브레히트가 주장한 연극
39 경극 : 노래와 춤과 연극이 혼합되어 있는 중국의 전통극.
미술,영화 분야
1.데생 : 주로 선에 의하여 어떤 이미지를 그려 내는 기술. 또는 그런 작품. 색채보다는 선적인 수단을 통하여 대상의 형태를
표현하는 데 중점을 둔다. ‘소묘’로 순화.
2.미니어쳐 : 실물과 같은 모양으로 정교하게 만들어진 작은 모형. 소품으로 순화
3. 모빌 : 움직이는 조각이나 공예품. 여러 가지 모양의 쇳조각이나 나뭇조각 따위를 가느다란 철사, 실 따위로 매달아 균형을
이루게 한 것으로, 공기의 진동에도 평형을 유지하면서 움직인다. 1932년에 미국의 조각가 콜더의 작품이 오브제모빌이라는
명칭으로 불리면서 사용되었다. ‘흔들개비’로 순화.
4. 모자이크 : 여러 가지 빛깔의 돌이나 유리, 금속, 조개껍데기, 타일 따위를 조각조각 붙여서 무의나 회화를 만드는 기법.
‘짜 맞추기’로 순화. (=조각무늬 그림)
5. 크로키 : 움직이는 동물이나 사람의 형태를 빠르게 그린 그림. ‘속사화’로 순화.
6. 토르소 : 머리와 팔다리가 없이 몸통만으로 된 조각상.
7. 프로타주 : 나뭇조각이나 나뭇잎, 시멘트 바닥, 기타 요철이 있는 물체에 종이를 대고 색연필, 크레용, 숯 따위로 문질러 거
기에 베껴지는 무늬나 효과 따위를 응용한 회화 기법. 에른스트가 1925년에 처음으로 시도하였고, 이후 초현실주의자들이 자주 썼다. ‘뜨기’ 로 순화.
8. 아방가르드 : 기성의 예술 관념이나 형식을 부정하고 혁신적 예술을 주장한 예술 운동. 20세기 초에 유럽에서 일어난 다다
이즘, 입체파, 미래파, 초현실주의 따위를 통틀어 이른다.
9. 로마네스크 : 고딕에 앞서 서유럽에서 성행한 기독교 미술 양식. 게르만 민족이나 고대 로마, 고대 오리엔트의 요소를 포함
하고 있는 양식으로, 1075~1125년에 절정에 달했고 12세기 중반에 고딕 양식으로 발전하였다. 특히 석조성당의 둥근 천장,
창, 입구 따위에 반원아치를 많이 사용한 건축양식에 특징이 있고 회화에서는 미니아튀르에 특색이 있다.
10. 사군자 : 동양화에서, 매화. 난초. 국화. 대나무를 그린 그림. 또는 그 소재. 고결함을 상징으로 하는 문인화의 대표적 소재
이다.
11. 문방사우 : 종이, 붓, 먹, 벼루의 네 가지 문방구
12. 수묵화 : 먹그림
13. 비엔날레 : 국제 비엔날레 전람회. ‘격년 잔치’, ‘격년 미술 잔치’로 순화
14. 아카데미상(Academy Award) :
정식 명칭은 영화예술과학아카데미상이다. 그 전해에 발표된 미국영화 및 미국에서 상영된 외국영화를 대상으로 우수한 작품
"오스카"라는 애칭의 인간입상(人間立像)이 수여되기 때문에 아카데미상을 오스카상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15. 칸 영화제 (Festival de Cannes):
국제적으로 손꼽히는 영화제 중에 하나이다. 1946년 9월 20일 - 10월 5일 처음으로 개최된 이래, 매년 프랑스 남부 칸에서 보통 매년 5월에 열린다.
16. 베를린국제영화제(Internationale Filmfestspiele Berlin) :
1951년 동서화합을 기치로 내걸고 당시 분단 상태에 있던 독일의 통일을 기원하는 영화제로 시작되었다.
17. 베니스 영화제 ( Venice Film Festival ) :
이탈리아의 베니스(베네치아)에서 매년 개최되는 영화제로 가장 오랜 역사를 갖고 있는 국제영화제.
1932년 5월에 창설되었으며 그랑프리는 '산마르코 금사자상'이라 불린다. 한때 비경쟁 형식을 취하기도 했으나 그후 다시 경쟁영화제로 복귀했다.
18. 모스크바 국제영화제 :
1959년 소련 국가영화위원회와 영화인 동맹에 의해서 창설되었으며, 격년으로 7월에 개최된다.
동(東)유럽을 비롯하여 아시아 ·아프리카 지역에서도 출품하는 영화제로 규모에 있어 최대이며, 부문별로 많은 상을 주는 것이 특징이다.
19. 로카르노 국제영화제 (The Locarno International Film Festival) :
매년 8월 스위스 로카르노에서 열리는 국제영화제. 스위스 영화협회가 주관하는 대회로 2편 이내의 영화 제작 경력이 있는 신인감독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시상은 금표범상·은표범상·동표범상·어네스트 아타리아(Ernest Artaria) 기념상·심사위원 특별상 등 5개 부문에 걸쳐 시상한다.
20. 부천 국제판타스틱영화제 (The Puchon International Fantastic Film Festival) :
한국 영화를 세계에 알리기 위해 경기도 부천시에서 기획 개최하는 영화제.시민이 중심이 되는 수도권 축제의 이미지를 완성하려는 목적으로 기획되었다.
21. 부산 국제영화제 (P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
영상문화의 지방자치시대를 목표로 부산광역시에서 개최하는 영화제. 한국 영화의 발상지인 부산을, 영상문화의 중앙 집중에서 벗어나
지방 자치시대에 걸맞은 문화예술의 고장으로 발전시키고자 기획된 영화제이다.
22. 대종상 (大鐘賞) : 한국영화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기 위하여 설치된 영화예술상
23. 시네라마 (Cinerama) :
3대의 특수 영사기를 동시에 가동하여 세 방향에서 영사함으로써 화면의 뛰어난 입체감을 살림과 동시에 6본(本)사운드 트랙으로
완전한 입체음향을 재현시킨 대형영화.
24. 필름 누아르 (film noir) :
주로 암흑가를 무대로 한 1950년대의 할리우드 영화를 가리켜 프랑스 비평가들이 붙인 명칭. 18∼19세기 프랑스에 유입된
영국의 고딕소설을 로망 누아르(roman noir)라고 부른 데서 유래하였다. 일명 다크 필름(dark film)이라고도 한다.
25. 크랭크인 (crank in) : 영화에서 촬영개시를 뜻하는 말.
*스포츠 분야
1. 올림픽 대회 (The Olympic Games) :
국제올림픽위원회가 승인하는 대회로서, 100만 명이 넘는 운동 선수들이 오늘날 170개 이상의 국가에서 올림픽에 참여하고 있다.
2. 국제올림픽위원회(IOC,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1894년 프랑스의 피에르 쿠베르탱(Pierre de Coubertin)의 제창에 의해 파리 의회에서 창설된 국제기구로서, 고대올림픽의 전통과 이념을 선양하고 아마추어 경기를 권장하며 올림픽경기대회의 정기적인 개최를 총괄·발전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법률상의 지위는 국제법에 의한 법인체이며, 스포츠와 스포츠경기의 조직과 발전을 도모하고, 올림픽의 이상 아래 모든 국가의 경기자 간의 우호 촉진과 강화에 힘쓰며, 4년마다 올림픽경기대회의 개최를 주도한다.
3. 오륜기
올림픽기란 근대올림픽을 상징하는 기로 오륜기를 말한다. 올림픽경기대회 기간 동안 경기장 내의 메인폴에 게양되며, 주경기장과 경기장 주변에 많은 참가국의 기와 함께 게양된다. 개회선언과 동시에 게양되었다가 폐회식 종료시에 내린다.
그란 고리 5개는 올림픽정신으로 하나가 된 유럽·아시아·아프리카·오세아니아·아메리카의 5개 대륙을 상징한다.
4. 아시아경기대회(The Asian Games)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후 아시아 여러 나라의 우호와 세계평화를 촉진할 목적으로 창설된 국제스포츠대회이다. 대회의 전신은 극동선수권대회와 1934년 인도 뉴델리에서 인도·아프가니스탄·스리랑카·팔레스타인이 참가하여 열린 서(西)아시아 경기대회가 합병하여 부활한 것이다. 극동선수권대회는 1913년 필리핀 마닐라에서 열린 동양올림픽대회가 그 기원이다.
5. 아시아올림픽평의회(OCA, Olympic Council of Asia)
인도의 IOC(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국제올림픽위원회) 위원이었던 G.D.손디의 제창으로 조직된 아시아지역 스포츠를 총괄하는 유일한 기구이다. 또한 올림픽과 대륙수준경기 및 각종 국제대회에 대하여 아시아지역의 다른 모든 단체나 기관에 우선하는 대표적인 기구이다.
6.유니버시아드(The Universiad)
국제대학스포츠연맹(FISU)이 주최하여 2년에 1번씩 열리는 세계 학생스포츠대회이다. 대학스포츠의 발전, 학생의 체육 및 후생, 모든 나라 학생들의 좀더 밀접한 접촉 및 국제적인 대학스포츠 통일을 위한 협력 등을 목적으로 한다.
7.프레올림픽(The Pre-Olympic)
올림픽대회가 열리기 1년 전에 그 경기시설이나 운영 등을 테스트하는 의미로 개최되는 비공식 경기대회.
그러나 IOC(국제올림픽위원회)에서는 올림픽은 매 4년에 한 번 열리는 대회라는 이유로 프레올림픽이라는 명칭의 사용을 금지하고 있으며, 이 호칭은 속칭이다
그러나 이 명칭은 국제 스포츠계에 잘 알려진 관용 명칭이 되어 있다.
8.패럴림픽(The Paralympic)
패럴림픽(Paralympic)은 국제 스포츠 경기이다. 많은 언론에서 장애인 올림픽으로 부른다.
매 4년마다 올림픽이 끝나고 난 후 올림픽을 개최한 도시에서 열린다.
9.대한올림픽위원회(KOC, Korean Olympic Committee)
올림픽정신을 국내에 보급 발전시키고 한국의 체육 및 스포츠 활동을 국제무대로 확산하여 인류평화에 기여할 것을 목적으로 한다. 주요 사업은 올림픽대회 및 아시아경기대회에 국가대표 선수단을 파견하는 일이 다.
대한체육회 산하기구면서도 대한체육회와는 별도의 규정을 제정하여 시행하고 있다.
10.성화(聖火)
고대 올림픽 개최지인 그리스의 올림피아에서 태양으로 점화한 횃불을 올림픽 개최지까지 릴레이로 봉송하여 주경기장의 성화대에서 개회식부터 폐회식날까지 계속 타오르는 불.
11.윔불던 테니스대회
개최지 이름을 따서 윔블던 테니스 대회(Wimbledon Championship)라고도 한다. 1877년 제1회 대회 이래 두 번의 세계대전으로 인한 10년 간의 공백을 제외하고 오늘날까지 매년 개최되고 있는데, 매년 6월 제4주 - 7월 제1주까지 열린다. 1968년부터 프로선수의 참가도 허용되어, 많은 액수의 상금이 걸리게 되었다. 영국 왕실을 비롯하여 매일 2-3만 명의 관중이 모여들고, 세계의 일류선수들이 참가했으며, 처음에는 영국인에 한정되어 있었으나 오픈대회가 되었다.
12.세계복싱협회(WBA, World Boxing Association)
권투의 세계적 보급과 발전을 위하여 설립한 국제경기단체.
1921년에 NBA(National Boxing Association:전미권투협회)를 결성하고 NYAC에 대항하여 별도로 세계 챔피언을 공인하였다.
1962년 8월 NBA는 OBF(Oriental Boxing Federation:동양권투연맹)의 제안을 받아들여 WBA로 개편을 단행하였다
13.세계복싱평의회(WBC, World Boxing Council)
세계권투협회와 대립하는 또 다른 세계 권투 통할기구.1963년 2윌 멕시코에서 미국, 아르헨티나, 영국, 프랑스, 멕시코, 필리핀, 파나마, 칠레, 페루, 베네수엘라, 브라질 11개국이 모여 WBA의 상소·자문기관으로서 WBC를 결성하였다.1966년 8월 결국 WBA는 WBC로부터 탈퇴를 선언하였다. 그 결과 원칙적으로 1체급에 1명이어야 할 세계 챔피언이 2명이 되는 변칙적 사태가 발생하였다.
14.국제복싱연맹(IBF, International Boxing Federation)
세계복싱협회는 미국중남미로 이루어지고 1963년 2월 자문기관으로서 세계복싱평의회(WBC) 창설되어 각각의 선수권대회를 주관하며 챔피언공언에 관여했으나 1966년부터 갈라져 서로 다른 챔피언을 지명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중남미 주도의 세계복싱협회(WBC)에 맞서 1983년 미국 주도의 '국제복싱연맹(IBF: International Boxing Federation)'이 창설되었다. 이에따라 보통은 각 체급에서 3명의 세계챔피언을 갖게 되었다.
15. 도핑 테스트 : 운동경기에서 체력을 극도로 발휘시켜서 좋은 성적을 올리게 할 목적으로
선수에게 심장흥분제·근육증강제 따위의 약물을 먹이거나 주사 또는 특수한 이학적 처치를 하는 일.
16.드래프트 시스템 : 프로팀에 입단할 신인선수들을 한데 묶어놓고 각 팀 대표가 선발회의를 구성, 일괄적으로 교섭하는 방식. 원래는 야구용어였으나 현재는 광범위하게 쓰이고 있다.
17.근대 5종 경기 : 근대5종은 승마(마술), 펜싱, 사격, 수영, 크로스컨트리(육상) 의 5가지 종목을 겨루어 각 종목의 정해진 계산법으로 득점을 내 종합 성적을 겨루는 경기이다.
18.트라이애슬론 : 한 선수가 수영, 사이클, 달리기 세가지 종목을 연이어 실시하는 스포츠.
19.싱크로나이즈드 스위밍 : 독일·영국 등에서 수중 매스게임으로 발생하였으며, 그후 미국에서 음악 반주로 행하는 싱크로나이즈드 스위밍으로 발전하여 경기화되어 1954년 국제수영연맹이 공인 종목으로 정했다.
20.봅슬레이 : 1890년 스위스에 살고 있던 미국인들이 종래의 목제 썰매의 스피드에 만족하지 않고 강철의 러너를 장착한 썰매를 만든 것이 시초이며, 1898년 정식 경기로 행해진 것은 스위스의 생모리츠에서이다.
21.노르딕 : 거리·점프(비약)·복합의 3종류로 이루어진 노르딕종목은 노르웨이를 비롯한 스칸디나비아반도 국가의 언덕이 많은 지역에서 발달하여 노르드(北方)라는 뜻에서 이 명칭이 붙었다.
22.알파인 : 스키종목의 하나인 알파인은 스키기술을 체계화하여 근대스키를 정립한 인물로 꼽히는 오스트리아의 한스 슈나이더(H. Schneider)가 태어난 지명에서 명칭이 유래됐다.
23.커미셔너 : 원래는 정부로부터 임명받은 위원·장관·판무관(辦務官)을 뜻하는 말이다. 1919년 미국 월드시리즈 결승전에 대한 매수설을 규명하기 위하여 메이저·내셔널리그의 수뇌들이 연방법원 판사를 취임하도록 한 데에서 유래된 말이다.
24.다크호스 : 원래 경마에서 쓰이던 말이었으나, 이 말이 변해서 선거 ·경기 등에서 예상 외로 힘을 가진 후보자나 선수를 말한다. 다크(dark)는 ‘일반에게 알려지지 않은 비밀’이란 뜻이다.
25.월드컵 : 세계선수권을 겨루는 국제적인 운동경기의 상배(賞杯)나 선수권대회, 또는 국제축구연맹(FIFA)이 주최하는 축구경기를 가리키는 말이다. 클럽이나 팀의 국적이 아니라 선수 개인의 국적에 속해 출전한다. 본선은 지역예선을 거친 32개국이 토너먼트로 경기를 치른다.
26.국제 축구 연맹 : 약칭은 FIFA이다. 1886년 영국에서 4개 축구연맹이 모여 국제평의회를 조직하였다. 1889년 영국에 인접한 덴마크·네덜란드에서 축구연맹을 결성하였고, 1895년 벨기에·스위스·이탈리아·독일(1900)·헝가리(1901)·노르웨이(1902)·프랑스(1903)·스웨덴(1904)의 순서로 세계 각국이 축구연맹을 결성하였다. 그후 경기인구 증가로 유럽 지역에서 국제 축구경기의 인기가 높아졌고, 선수의 국적문제·경기규칙 통일을 위해 국제적인 축구연맹 연합체가 필요해져 1904년 5월 21일 프랑스의 단체 설립 제창으로 네덜란드·덴마크·벨기에·스위스·스웨덴·에스파냐의 7개국이 파리에 모여 각국 축구연맹을 국제적인 연합체로 조직하였다.
27.수퍼볼 대회 : 미국 프로 미식축구에서 AFC의 우승팀과 NFC 우승팀이 해마다 1월에 벌이는 NFL(National Football League)의 챔피언 결정전으로, 1967년 시작되었다
28. 메이저 리그 : 미국 프로 야구 연맹의 최상위 두 리그를 이르는 말. 내셔널 리그와 아메리칸 리그로 나뉘며, 양 리그의 우승 팀끼리 해마다 월드 시리즈를 치른다.
29. 매직 넘버 : 프로 야구 따위에서, 1위 팀이 우승하는 데 필요한 승수(勝數). 2위 팀의 성적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렇게 부른다.
30. 에이스 : 팀에서 가장 뛰어난 투수를 말하며, 주전투수라고도 한다. 미국의 신시내티 레드스타킹스 팀에서 활약한 투수 에이사 브레이너드를 '에이스'라는 애칭으로 부른 데서 유래된 말이다.
31. 콜드 게임 : 야구에서, 5회 이상의 경기를 마친 후에 일몰·강우(降雨)·분쟁 따위로 경기를 할 수 없을 경우 심판이 경기를 중단하고 그때까지의 득점에 따라 승부를 결정한 게임.
32. 퍼팩트 게임 : 야구에서, 한 사람의 투수가 상대팀에게 주자를 한 명도 허용하지 아니하고 이긴 시합.
33. 그로기 : 권투에서, 심한 타격을 받아 몸을 가누지 못하고 비틀거리는 일.
34. 스파링 : 권투에서 실전 시합 전 가상의 적을 두고 모의시합를 해보는것
35. 러브게임 : 테니스에서, 1포인트도 얻지 못한 게임, 즉 4포인트를 연속으로 상대방에게 내준 게임을 말한다.
36. 그랜드 슬림 : 테니스에서, 네 개의 토너먼트 대회인 프랑스 오픈 대회, 호주 오픈 대회, 윔블던 대회, 전미 오픈 대회에서 한 선수가 한 해에 모두 우승하는 일.
37. 해트 트릭 : 축구나 하키 따위의 경기에서, 한 선수가 한 경기에 세 골 이상을 넣는 일.
38. 홀인원 : 골프에서, 티 샷을 한 공이 단번에 그대로 홀에 들어가는 일.
39. 스토브 리그 : 프로 야구의 한 시즌이 끝나고 다음 시즌이 시작하기 전까지의 기간. 계약 갱신이나 트레이드가 이루어지는 기간으로 스토브를 둘러싸고 팬들이 평판을 한다는 데서 생긴 말이다.
40. 이종격투기 : 다른 종류의 무술을 하는 사람들이 벌이는 격투기. 유도, 레슬링, 킥복싱, 합기도, 태권도, 복싱 따위처럼 다른 무술을 배운 사람들이 서 맞붙어서 싸우는 경기이다.
첫댓글 수고하심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