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URIP : ① Total Depravity : 전적 타락(부패) 혹은 전적 무능력
② Unconditional Election : 하나님의 무조건적 선택
③ Limited Atonement : 제한된 속죄 또는 특별한 구속
④ Irresistible Grace :불가항력적 은혜,성령의 유효한 부르심
⑤ Perseverance of the Saints :궁극적 구원 또는 성도의 견인
1. Total Depravity or Total Inability : 전적 타락(부패) 혹은 전적 무능력
전적 타락(부패) 혹은 전적 무능력에 대해 여러 설명중 저자가 열거한 주장과 글들을 살펴보자.
[박윤선/ 글 (파수꾼) 1993]: 인간의 전적 부패에 대한 도리가 의미하는 바는 인간이 타락한 후(원죄를 범함)에 죄로 말미암은 저주 아래 있다는 사실과 그로 인해 비진리(非眞理)로 인도함이 되며 인간 스스로는 전혀 하나님을 사랑 할 수도 없고(창 6:5) 구원의 값이 될만한 아무런 것도 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칼빈의 5대 교리-김봉환 이하 *로 표시.*P69:12~ )
[웨스트 민스터 신앙고백서 이하 웨.민.서.] 9장 3항:
" 인간은 타락하여 죄의 상태에 있음으로 구원에 수반(隨伴)하는 靈的 善을 행하고자 하는 모든 의지력을 완전히 상실했으므로(고전 2:14) 자연인(믿음으로 예수 그리스도를 구주로 영접하여 구원 받은이, 성령으로 거듭난 이, 성령충만한 이를 제외한 모든 사람. 本人 註)은 영적 선을 전적으로 싫어하고 죄로 죽어 있기 때문에 그 자신의 힘으로는 자신을 회개시키거나 회개에 이르도록 준비할 수가 없다. (요 5:40) (G.I. 윌리암슨/ [웨민서 신앙 고백서 강해] 2003. P140) (* P71:2~ )
(김하진/ '주제별 칼빈주의' P31): 전적부패란 본질상(本質上) 인간의 본성이 부패하고 비정상적이고 죄악 됨으로 하나님을 떠나 타락한 인간은 전체가 어두워졌고 훼손 되어 부패함이 육체적 영적 모든 부분에 확대되어 있어(요 8:43) 예수 그리스도를 자신의 주님과 구세주로 영접할 자유가 없고 하나님과의 생명적 관계가 끊어져(요 8:47. 본인 주)영적으로 죽은 무능력 상태를 뜻한다. 그 결과 아무런 영적인 선을 행할 수 없게 된 것이다. (요 3:3. 렘 17:9. 롬 3:11~12 ) (* P 70:1~ )
개혁주의 신학자들은 이와 뜻을 같이하며 (P71:13~ ) 이것을 "전적 타락 혹은 전적 전적 무능력" 이라고 말한다.(* P77:5~ 13)
(행 17:28. 엡 2:9~10. 빌 2:12~13)
성경을 보자.
➢ 아담의 범죄
➢ 인류가 죄 中 출생
➢ 그 본질상 영적사망에 이름.
(창 22:16~17. 시 51:5 시 58:3. 롬 5:12. 엡 2:1~3. 골 2:13)
➢ 타락의 결과 : 영적 진리에 눈이 멀고 , 귀머거리 , 마음은 죄로 부패함.
(창 6:5 .창 8:21下 전 9:3. 렘 17:9. 막 7:21~23. 요 3:19. 롬 8:7~8. 엡 4:17, 5:8. 딛 1:15)
➢ 거듭나기 전 :마귀의 자식, 그 지배 아래 있고, 죄의 종이다.
(요 8:44. 롬 6:20. 엡 2:1~2. 딤후 2:25~26. 요일 3:10, 5:19. 딛 3:3) 그러므로
➢ 모든 사람 :죄의 세력 아래 있음 . 의인은 하나도 없다.
(대하 6:36. 욥 15:14~16. 시 130:3. 잠 20:9. 전 7:20 , 전 7:29. 사 53: 6, 64:6. 롬 3:9~12. 약 3:2. 요일 1:8, 10.
➢ 영적 사망자 :스스로 회개 할 수 없음, 복음을 믿거나 J. X께 올 수도 없음. 구원을 준비 할 수도 스스로 변화시킬 수도 없음.
( 욥 14:4. 마 7: 16~18, 12:33. 요6:44, 6:65. 롬 11:35~36. 고전 2:14, 4:7. 고후 3:5)
(* P 78:5~24. 이근삼: [칼빈. 칼빈주의] P79. 1972)
<결론>
전적타락은 자연인(J.X의 보혈을 믿음으로 구원 받은이, 성령으로 거듭난 이를 제외한 하나님을 모르는 이, 하나님을 필요로 하지 않은 모든 이. 본인 주)은 결코 근본적 의미에서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는 선을 행할 수 없고 다만 악을 행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사람의 스스로의 의지대로 행한 모든 것은 모두 죄악된 것뿐이다. 사람은 참으로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는 일을 단 한가지도 행하지 않는다. (* P83: 3~7)
성경적인 전적 타락 교리는 자연인과 중생치 않은 사람, 거듭났을 지라도 온전히 성령님께 사로잡힌 바 되지 않은 사람은 단 일초 동안만이라도 한가지의 선도 행할 수 없음을 강조한다.
칼빈은 선행에 대해서는 죽은자이며 혹 그가 믿거나 어떤 선을 행한다면 이는 오직 하나님께서 그로하여금 그렇게 행하도록 역사하셨기 때문일 것이다. (* P88:21~89: 3)
사람의 의지는 아담의 의지가 타락전에 자유로웠던 것과같이 더 이상(죄의 지배에서)자유하지 못하다. 즉 사람은 죄로 인해 타락함으로서 구원에 따르는 어떤 영적 선을 원하는 모든 능력을 전부 상실했으므로 자연인은 선을 행하기를 싫어하는 죄안에 죽어 있어서 자기의 힘으로는 회개하거나 회개하도록 준비할 수도 없다. (웨스터 민스터 신앙 고백서 9장 3항)
2. Unconditional Election :무조건적 선택
칼빈주의의 5대교리는 모두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인간의 타락과 그 결과같이 선택 또한 하나님의 原作定 가운데 있는 것이다.
(기독교강요 PartⅡ 1: 7 * P 70:16~18 박형용)
전적 타락이 성경적으로 진리라면 신앙에 따른 그 결과인 구원은 오직 성령께서 중생시키시는 역사를 하신는때 만이 나타날 것이다. “하나님의 선택하심은 인간의 어떠한 행위에도 근거하지 않는다”는 것이 무조건적 선택이다. (에드윈. P. 팔마 101:11~15)
(요 6:37~39. 15:16上. 행 13:48. 엡1:4~5. 빌2:12~13. 살후 2:13. 요일4:19)
하나님께서 創世前에 選民을 救援하시고저 宣布하신 것이며 그것은 하나님 스스로의 목적과 무조건적 사랑에 의한 것이며 全的으로 하나님의 主權的 恩惠에 起因한 것이다.(시 65:4. P91:3~11)
이것을 하나님의 自我 決定的 目的의 結果(Self- determined purpose)로 보고 있다(*P98:14~15. 107:끝.D.스틸. C.토마스 共著)
이 聖父 하나님의 선택하심이 선민을 구원 하시기 위하사 自己 自身(J. X)를 희생하신 救贖史業과 동시에 성령의 중생사업과 관련 되어야 하는 것이며 예정은 절대적 무조건적이며 일반적 의미에서는 부분적이 아니고 全包括的인 것이다(*91:12~16)
하나님께서는 그 주권적인 올바른 의지로 단 한사람도 구원하시지도 않으실 수 있으시고 소수를, 혹은 다수를, 인류 모두를 구원 하실 수도 있으시며 그 선택하심조차도 하나님의 자유이시기에 하나님의 절대적인 完全性과 전혀 矛盾이 안된다.(로레인 뵈트너 *80:13~16)
알미니안의 헛소리(?)에 대해 하나님의 선택하심은 1. 신앙을 豫見한 하신것도 아니요 2.신앙은 선택의 결과. 증거요 3. 신앙은 선택의 근거는 아니다 라고 명백히 말하고 있다(*226 신세원)
그렇다면 왜 무조건적이어야만 하는가?
1. 선택하심은 항상 J. X안에 있다.
2. 선택은 한정적이고 취소 될 수 없다.(롬 9:6~7.11.13.15~16.18. 20~28. 30~33)
3. 택함 받을 자격이 있는 자 단 한사람도 없다. 4. 그러나 그 어뗜 죄인들(선택자)도 구원 하신다. 5. 선택하심은 하나님의 영광을 드러낸다
(엡1:1~2) (Joel Beeke . *P105:14~)
(마 11:23. 요10:24~27. 17:3. 롬9:11~12. 25. 엡1:9)
그러면 무조건이 주는 결과는 무엇인가?
1.구원에 대한 절대 안심이다.(시65:4) (P112:9)
2. 그 이유는 하나님의 기뻐하심이다.(마 11:25~26. 롬9:11~15.11:5. 엡1:5.9. 딤후1:9)
遺棄者와 選擇者를 구별하심은 오직 하나님의 주권이요. 그 이유를 주님께서 모든 인간에게 알리지 않으시는 의도는 분명히 탁월한 것이다. 그 이유를 아시는 이는 오직 아버지 하나님뿐이시다
(죤 칼빈 *95:4~6)
무조건적 사랑하심으로 우리를 선택하신 하나님의 말씀과 약속을 더 찾아보며 결론 짓는다.
(출33:19.신10:14~15.욥42:1~2.시33:12.65:4.106:5.115:3.135:6. 사14:24.27.46:9~11.55:11.65:1렘32:17. 학2:23. 마11:27.20:15.22:14.24:22.24:31.눅18:7.요5:21.6:37.
롬8:28~30.33.9:11~13.16.28.10:20.11:4~6.33~35.행13:48고전1:27.29. 엡1:4~6.2:8~9. 골3:12. 살전1:4.5:9. 살후2:13. 딤후1:9. 딛1:1 벧전1:1~2.2:8~9. 계13:8.17:8.14.)
3. Limited Atonement or Particular Redemption : 제한된 속죄 또는 특별한 구속
특별히 제한된 이들을 구속하시는 하나님의 위대하신 결정하심과 은혜로우시고 絶對的인 主權을 말한다.(박형룡 *P121:3~8)
J. X께서 一定한 사람(지옥행일 수 밖에 없는 죄인들 중 선택된 사람)을 구원하시고저 탁월하시고 가장 효과적이며 특별한 구속 사업을 펼치셨는데 이것을 칼빈신학에서는 “제한속죄”라 부른다. 이는 선택하심 자체가 제한이요 특별한 것이기 때문이며 무조건 적인 사랑의 선택하심과 寶血의 덕택이다.(*125:8~20)
만일 누구든지 자기 心中에 양심의 고통을 느끼는 자가 있으면 하나님께서 그를 끌어 당기시기 위해 쓰시는 수단일 것이다(*120:1~4)
이 주장은 5대교리 전체에 해당(요 6:37)되기도 한다(本人 周)
前 場에서도 거론 한바 있지만 T.U.R.I.P은 5대교리 모두 서로 연관성이 짙으며 핵심의 시작과 끝 또한 같은 線上에 있다.(本人 周)
성경은 인간의 운명을 크게 두 가지(選擇과 遺棄)로 작정하셨다. 즉 천국과 지옥이냐에 대한 하나님의 영원하신 계획을 豫定(Predestination)라고 부른다(*103:17~24)
제한구속이란 범위의 제한, 능력의 제한을 말함이 아닌(*125: 21) J. X의 능력은 全知全能하시고 無限하신 속죄하심의 의도와 적용의 제한이다(*129: 1~2)
칼빈주의는 하나님께서 거듭나게 하신이는 한사람도 예외없이 모두 완전구원에 이르며 지속적으로 범죄하여 타락할지라도 포기하지 않으시는 하나님에 의해 최후구원에 이른다고 가르친다.(*75:19~23)
<요 3:16의 해석의 문제>
요 3:16의 “믿는 자마다(믿는자는 모두)” 여기서 “모든” 혹은 “세상들”은 “모든 인류”로 보는 중대한 착각(만민 구원설)에서 “택한자 모두”로 해석해야 한다.(석원태 *127: 1~20)
세상: 요1:9. 29. 3:16.17.4:42. 고후5:19 요일2:2. 4:14
모든: 롬5:12.고후5:14.15 딤전2:4~6.히2:9.벧후3:9 즉 택하신 이의 超人種. 超性. 超時間. 超地域임.
<제한적 속죄설의 성경적 근거와 이를 반박하는 학설에 대한
우리의 입장> (*131:10~ )
1) 성경의 세상은 때로는 어떤 “제한적” 의미를 갖는다.(눅2:1. 요1:10. 7:4. 2:19. 14:22. 18:20.
행19:27. 24:5. 롬1:8. 11:12. 15. 골1:6)
2) *P134:7의 對辯: 창 24:36. 25:5~6. 삼하 7:1.9.11. 15:17.23. 고전 15:22)
3) 롬 14:15. 고전 8:11 에 대한 對辯: 롬 14:4~5. 갈 1:8
육이 죽는 그날까지 하나님의 복음을 전해야 할(마28:18~20. 행1:8) 우리 모두는 누가 택함받고 못 받은이인지 알 수가 없기에 누구에게나 차별없이 전해야 한다. 이것은 하나님의 사람 모두에게 필수적 책임이요 사명이며 우리가 이땅에 존재하는 이유이다(本人 周)
택하심과 유기하심은 오직 아버지 하나님의 絶對主權이시고 숨은 계획 이시기에 우리는 그 여부를논할 자격조차 없다.(*138:11~14) 암3:2. 롬9:13. 골1:2. 살전1:4. 살후2:13
4. The Irresistible Grace or Efficacious coll of the Spirit
: 불가항력적 은혜 또는 성령의 유효한 부르심
T.U.L.I.P 모두가 마찬가지지만 이 단락은 칼빈주의 구원론의 핵심이며 예정 교리는 대중적으로 칼빈주의의 증서로 간주된다.(*159:7~8)
不可抗力的이란 하나님께서 어떤 이를 구원하시기로 택하실 때, 성령을 보내시사 그들을 사랑받기 싫어하는 자리에서부터 변화시킬 때 아무도 하나님을 대적할 수가 없음을 의미한다. 하나님의 계획하심은 소멸되지 않으므로 사람의 의사와는 반대로 결국은 천국에 들어가게 하신다는 것(*149:1~7)
무조건으로 선택하신 이들에게 구원을 완성 하심같이 이 召命은 피택자의 영혼을 重生. 悔心으로 인도하시는 성령의 불가항성을 含意하는데 이를 主權的 恩惠라 할 수 있다.(박형룡 *147:3~7)
성령께서 구원을 이루시는 그 힘은 크고 完全한 效果가 있어 누구도 拒否하거나 抵抗할 수 없는 힘이다. 이것을 유효적 소명이라고 한다(석원태 *152:14~16)
궁극적으로 하나님께서 자신의 뜻을 따라 그가 선택하신 이들에게 생명을 주시는 것인데 택하심 받은 이들(하나님의 사람들)은 J. X안에서 새로운 피조물이 되어 불가항력적으로 하나님을 찾고 있는 것이다. (요 6:37. 행13:48. *152:1~7)
이 교리는 "The Synod of Dort"에서 사람들이 고안 해 낸 것이 아닌 하나님의 거룩한 말씀속에서 밝히 드러난 啓示이다.(*155: 2~4)
하나님께서 나같이 하나님께 反抗, 拒否, 否認, 對抗하는이들을 鐵甕城같은 의지와 自我를 屈服시켜 하나님의 은혜앞에 무릎꿇게 하시며 이 돌같은 마음에서 피가 흐르게 하신다.
이 아버지의 불가항력 은혜를 말로나 글로 다 표현하지도 못하기에 찬양을 올려 드리지 않을 수 없다.(*156: 7~10)
칼빈주의 신학은 “중생과 구원은 사람과 하나님의 협력의 사건이 아니다. 그것은 삼위일체 하나님의 단독 사역이시고 인간은 성령님께서 믿게 하셔야 믿을 수 있고 회개의 영을 주셔야 회개 할 수 있다. (마 16:15~17. 요일 5:1) 이는 알미니안들의 ”신인 협동설“과 相反한다.
( 신30:6. 사:55:11. 겔36:26~28. 마3:10~11. 요 3:3~8. 6:37. 44. 행 11:18. 13:48. 고전2:10~14. 12:3. 엡2:8~10. 빌1:6. 딤후1: 9~11. 딛3:5. 히9:15. 벧전 5:10. 계17:14)
5. UltimateSalvation or Perseverance of the Saints : 궁극적 구원 또는 성도의 견인
하나님의 택하심을 받은 이는 주 예수 그리스도로 인하여 궁극적으로 영원히 구원을 받으며 성령님에 의하여 중생을 입어 시험에 빠져 실패하고 낙심할 지라도 하나님의 전능하신 능력안의 보호와 인도하심으로 신앙을 지키게 되어 영원한 기업. 즉 천국이 보장되어 있다는 것이다. (*161:1~8)
이 교리를 웨. 민. 서. 17:1에도 “하나님께서 자기의 사랑하는 독생자 안에서 용납해 주시고 그의 성령으로써 효과적으로 부르시고 거룩하게 하신 이들은 은혜의 상태에서 전적으로, 최종적으로 타락될리 없으며 마지막 날까지 그 상태에 꾸준히 인내하여 머물러 있게 되며 영원히 구원받을 것(영원한 保全)이다”라고 명백히 말하고 있다.(롬 8:35~39. 엡2:8~10. 빌1:6. 딤후1:9~10. 벧전 5:10. 계17:14)
루터는 “하나님의 예정하심은 강하고 확실하고 불변하며 반드시 성취된다”라고 말했다“(*162:1~4)
이 성경의 원리를 가장 뜨겁게 받아들인 이가 Augusine이었다.
부르심을 받은 하나님의 사람(聖徒)은 성령님께 붙잡힌 바되어 기필코 천국에 안착되고야 만다.
이런 성경적 원칙을 성도의 견인, 궁극적 구원이라고 부른다(164:3~6)
堅忍이란? “하나님께서 견고하게 붙드신다” 라는 뜻으로 하나님께서 인간에 대하사 오래 참으시는 사랑과 인내(Perseverance)에 근거를 두고 있다.(*164: 7~9. 벧전 5:10)
이를 성경에 “불꽃같은 눈길, 구름기둥, 불기둥, 소망의 닻줄, ”등으로 묘사하고 있다(출13:21~22. 신1:33. 시23편. 사4:5~6. 히 6:18~20. 계1:14,19:12~16)
성도들이 끝까지 인내하는 것은 너무나 단순한 이유 때문인데 이는 하나님께서 견인차같이 오른팔로 이끌고 붙들어서라도 그 구원(하나님의 攝理. 經綸)을 완성하실 것이라는 약속하심을 믿는 것이다. (듀안 스펜서 *166:1~7)
성도의 견인에 대한 가장 단순하고 짧은 표현은 한번 구원 받으면 계속해서 구원 받는다. 즉, 성도는 끝 날까지 구원을 받을 것이다.(에드윈 H. 팔마. *169:8~16)
주님의 뜻을 이루시기 위해 시작된 그 구원사역은 주님의 목적을 성취하시는 데서 결말을 맺어야 한다.
즉 예수 그리스도의 뜻과 목적 가운데서 그 구원사역의 시작과 끝이 있어야 한다. (박윤선 *168:20~24)
이는 무조건 선택하심의 끝은 궁극적 구원이라는 말이다.
#무조건 선택됐음을 아는 이는 “하나님의 견인과 궁극”을 자신있게 믿게 된다.
#제한 속죄의 대상이 특별한 이(택함 받은 이)임을 아는 이는 “견인과 궁극”이 당연한 효력이 있음을 믿게 된다.
이 구원의 5대 강령은 모두 하나님의 주권 위에 세워지고 한 고리에 매여진 동일한 사상임을 확인하게 되는데 이 TULIP에서 어느 하나라도 떼어내면 아무 소용이 없게 될 것이며 하나님의 이 구원의 攝理.와 經綸과 主權을 강조하려면 만사가 모두 하나님의 豫定하심을 확신해야 한다.(사 40:15. 엡1:11. *P170: 13~171: 14))
성경을 찾아보며 마친다. T~P까지 모두 또는 서로 연관되는 말씀이 많다.
(렘32:40. 겔11:19~20. 롬8:25~39. 6:4. 8:10. 요 6:47. 5:24. 11:42. 14:19. 빌1:6. 마24:24. 고전11:11. 고후2:2~14. 4:8. 9:14. 갈 2:20. 빌3:21. 4:3. 딤후2:11. 히7:24. 계3:5. 13:8. 17:8)
출처 : 코람데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