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미술관11 《김홍도(조선을 그린 화가)》
우리에게 너무나도 친숙한 화가 김홍도(1745~?).
<씨름>, <서당> 등의 풍속화와 인물화, 산수화, 신선도 등 모든
분야에서 폭넓은 천재성을 발휘하였고, 음악, 글씨, 시조 등에도 뛰어났지요.
양반이 아닌 중인 집안에서 태어났으나 끊임없이 노력하여
조선 후기의 진실한 예술가로 우뚝 선 김홍도의 작품 세계를
만나보세요.
진준현 글 | 나무숲 l 10,500원 l 9788989004158
4학년 미술 2학기 공통 12. 우리 미술 문화 12-1. 전통 미술과 친해지자
1. 다음은 김홍도에 대한 설명입니다. 바르지 않은 것을 찾아보세요. ( )
① 1745년 경기도 안산 부근에서 태어났다.
② 젖니가 빠지는 일여덟 살 즈음부터 선비 화가 강세황에게 그림을 배웠다.
③ 시, 서예, 그림은 잘 하였지만, 음악에는 재능이 없었다.
④ 양반이 아닌 중인 집안에서 태어났다.
2. 다음 중 김홍도가 한 벼슬이 아닌 것은 찾아보세요. ( )
① 도화서 화원 ② 안기 찰방 ③ 연풍 현감 ④ 공주 목사
[3~7] 다음은 김홍도에 관한 설명입니다. 맞으면 ◯, 틀리면 ☓를 하세요.
3. 풍속화를 그린 화가로 알려져 있는 김홍도는 산수화, 신선도, 인물화 등에서도 뛰어난 솜씨를 발휘하였습니다. ( )
4. 스승 강세황과 함께 그린 〈송하맹호도〉에서 김홍도가 그린 것은 소나무입니다. ( )
5. 어진화사는 얼굴을 그리는 사람과 몸을 그리는 사람으로 나뉘어져 있는데, 김홍도는 그 중 얼굴을 그리는 사람이었습니다. ( )
6. 김홍도가 그린 어진은 6•25 전쟁 때 모두 불타 버렸지만 〈서직수 초상〉을 통해 어떻게 그렸을지 짐작해 볼 수 있습니다. ( )
7. 수원 화성의 가을 경치를 그린 《화성추팔경도》 중 6폭만 지금까지 전해지고 있습니다. ( )
[8~12] 다음 보기는 김홍도의 《풍속화첩》에 나오는 그림의 제목입니다. 설명에 해당하는 그림의 제목을 보기에서 찾아 써 보세요.
【보기】





〈씨름〉 〈고누놀이〉 〈서당〉 〈무동〉 〈자리짜기〉
8. 글방 선생님과 학동들, 그 가운데 울고 있는 아이를 그려 재미있게 구성하였습니다.
9. 땔나무를 지게에 한 짐씩 올려 둔 채 잠시 놀이에 열중하고 있습니다.
10. 북, 장고, 피리, 해금 소리에 맞춰 덩실덩실 춤을 추는 아이의 모습이 신명납니다.
11. 조선 시대 가정의 모습을 엿볼 수 있는 그림으로, 아버지는 자리를 짜고, 어머니는 물레로 실을 뽑고, 아들은 책을 읽고 있습니다.
12. 힘을 겨루는 두 사람과 갖가지 모습의 구경꾼들이 실감나게 그려져 있습니다.
[13~14] 다음 그림은, 1784년 선비 정란이 김홍도를 찾아와 강희언과 함께 김홍도의 집에서 즐거운 시간을 보낸 모습을 그린 것입니다.
( )에 들어갈 단어를 다음 보기에서 찾아 써 보세요.

【보기】 〈군선도〉, 〈단원도〉, 거문고, 비파
13. 이 그림의 제목은 ( )입니다.
14. 초가 마루에 있는 세 사람 중 ( )을(를) 연주하는 사람이 김홍도이고, 부채를 든 사람이 강희언, 박자를 맞추는 사람이 정란입니다.
15. 다음 그림은, 김홍도가 선비들이 서원에 모여 시 짓기, 글씨 쓰기, 그림 감상, 음악 감상 등을 하는 모습을 그린 것입니다.
그림의 제목은 무엇인가요? ( )

16. 김홍도가 제작에 대한 총책임을 맡은 정조의 어머니 혜경궁 홍씨의 환갑잔치 모습을 그린 병풍의 제목을 써 보세요.
( )
17. 금강산을 그려오라는 정조의 명을 받고 금강산을 사생한 뒤에 그린 김홍도의 작품의 제목을 2개 써 보세요.
( ), ( )
18. 다음 중 김홍도의 작품이 아닌 것은 무엇인가요? ( )
① 소박하고 단정한 문인화의 모습을 보여주는 〈파초도〉
② 주자학을 완성한 중국의 학자인 주자가 쓴 시를 그림으로 표현한 《주부자시의도》 병풍.
③ 벼를 타작하고 있는 모습을 그린 〈벼 타작〉
④ 영조 임금의 즉위 사십 년과 일흔한 살이 된 것을 축하하는 행사를 담은 병풍 《경현당수작도계병》.
[19~20] ( )에 알맞은 단어를 넣어 보세요.
19. 진경산수화를 완성한 화가 정선은 경치를 보았을 때 느끼는 감흥이나 기운을 표현하려 하였다면, 김홍도는 눈에 보이는 대로 경치를 실감나게 표현하기 위하여
멀고 가까움을 느낄 수 있는 ( ) 등 다채로운 표현 기법을 사용하였습니다.
20. 김홍도는 단양 일대를 두루 유람하며 〈도담삼봉〉, 〈옥순봉〉 등 ( )의 아름다운 경치를 화폭에 담았습니다.
나무숲독서활용안(김홍도).hwp
첫댓글 독서퀴즈의 문제와 답은 첨부된 파일을 내려받으세요.
독서퀴즈는 아이들이 책을 어느 정도 꼼꼼히 읽었는지 확인하는 도구이긴 하나 지나치게 매이지는 마세요. 너무 세세한 내용에 신경 쓰다 보면 즐거워야 할 아이들의 독서를 방해할 수 있으니까요. 독서퀴즈로 책의 내용을 확인한 후 다시 한 번 책을 읽게 하면 더 효과적인 마무리가 될 것입니다.
문제가 쉽지는 않은 것 같은데요~! 정신 바짝 차리고 시험 봐야겠는걸요~?! ~~ㅎ ㅎ
책만 꼼꼼히 읽으면 어렵지 않답니다. 꼭 책을 읽고 풀어보세요~~ 홧팅!!
오홋!!!퀴즈도 좋은 독후활동 되겠네요.감사합니당~♥♥
책을 설렁설렁 읽어선 안 되겠는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