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입력으로 전천후 성능, JINI200 | |||||||||||||||||||||
AD Board에 대해서 이미 알고 있는 사용자도 있고, 심지어 AD Board의 종류와 가격을 꿰차고 있는 사용자도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모르는 사람들을 위해 간단히 기술하자면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해주는 일종의 컨버터라고 볼 수 있다. 즉 그래픽카드의 D-Sub를 통해 출력되는 RGB 아날로그 신호를 TFT LCD 패널이 인식하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LCD 패널 자체만으로는 자동차에 핸들과 엔진이 없는 것과 비슷하기 때문에 LCD 패널을 제어하고, 전원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그럼 LCD 모니터를 만들기 위해 필요한 구성 부품은 무엇이 있을까? 우선 TFT LCD 패널이 필요하고, 위에서 언급한 AD Board가 필요하다. 또한 이를 제어하기 위한 OSD 컨트롤러와 TFT LCD 패널의 백라이트를 켜기 위한 DC/AC 인버터가 필요하다. 또한 패널과 AD Board를 연결하기 위한 TTL 케이블 또는 LVDS 케이블이 필요하다.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 TFT LCD 모니터를 DIY하기 위한 필요 사항
위와 같은 구성품을 가지고 있다면 누구든지 LCD 모니터를 자작할 수 있다. TFT LCD 패널은 자신이 쓰던 고장나거나 사양이 현저히 낮아 사용이 불가능한 노트북에서 분리해 사용할 수도 있고 또 TFT LCD 패널을 별도로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제품들은 대체로 AD Board의 제조사에서 함께 판매하거나, 패키지 형태로 구매할 수 있다.
지니어샵의 JINI200은 AD Board로써 다양한 LCD 패널을 지원하고 있다. 지원하는 패널 목록은 지니어샵의 패널 호환 리스트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지원하는 패널에 따라 펌웨어 역시 다른 종류가 사용되며 지니어샵에서는 차후 바이오스를 업데이트하는 것과 같이 편리하게 펌웨어를 업그레이드하도록 지원할 예정이라고 한다. 현재 대다수의 AD Board는 패널에 맞는 ROM을 따로 구입해야 하는 것과 비교하면 편리하고 저렴한 방법이다. JINI200은 다양한 입출력 단자를 지원하고 있으며 최대 30' 및 Wide 타입 LCD를 지원하며 1280 x 1024의 해상도까지 지원한다. 더불어 압축 해상도를 지원하고 있어 패널이 가진 사양 이상의 해상도를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이는 즉 800 x 600의 해상도를 가진 TFT LCD 모니터를 1024 x 768의 해상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것인데, 단순히 화면의 출력이 아닌 최대한 이미지를 보정하여 시각적으로 무리없는 화면을 표현하는 기술도 포함하고 있다.
JINI200 보드는 전방위적인 활용이 가능한 높은 사양의 AD Board로써 다양한 옵션 및 입출력 단자가 그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D-Sub 입력 단자 및 Composite와 S-Video 입력 단자, RCA 및 3.5mm 스테레오 입력 단자와 더불어 TV 튜너를 장착했을 경우를 위한 안테나 입력 단자 등이 있다. 안테나 입력 단자는 다이버시티 안테나도 지원하고 있으므로 차량에서 사용하기에도 적합하다. 이렇듯 많은 입출력 단자를 통해 게임 콘솔이나 DVD 플레이어, PC 등 TFT LCD의 활용도를 대폭 증가시켜준다.
JINI200 보드의 측면에는 각종 커넥터들이 즐비하게 늘어져 있어 초기 당황할 수 있으나, 커넥터의 크기가 모두 달라 혼동될 염려는 없다. 패널에 따라 사용하는 케이블이 달라 패널마다 커넥터의 위치가 바뀌기는 하지만 기본적으로 잘못 연결되어 오작동을 일으킬 염려는 없다.
JINI200은 Weltrend의 WT8801TR 스케일러를 사용하였다. 스케일러는 LCD 패널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로써 OSD 및 LCD 전반에 관한 설정과 화질에 관계하는 역할을 한다.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역할과 더불어 LCD 패널의 화면을 조정하거나 JINI200의 압축 해상도를 구현하는 등의 역할도 하는 것이 바로 이 컨트롤러이다.
JINI200에 사용할 수 있는 OSD 컨트롤러이다. 6개의 버튼으로 구성되었으며 화면 조정이나 모니터의 전원을 제어하는데 사용되며 버튼의 크기가 큼직하여 편리하다. 아래의 이미지는 DC를 AC로 승압시켜 패널의 백라이트를 켜는데 사용하는 DC/AC 인버터이다. 인버터 역시 패널에 따라 다른 종류가 사용되므로 지니어샵에서 제공되는 패널 호환 리스트를 참고하여 구입할 수 있다.
JINI200에서 제공하는 OSD 메뉴는 아래와 같다. 일반적인 모니터의 OSD 메뉴와 동일하며, 화면 크기 및 위치 자동 설정, 명암과 밝기 조절 및 수동 화면 크기 및 위치 조절과 컬러를 설정할 수 있다.
압축 해상도는 기본적으로 한단계 위의 해상도는 시각적으로 커다란 무리없는 화면을 보여주지만, 두단계 이상 해상도를 높이게 되면 TV에 컴포지트 단자를 이용해 TV-Out하는 화면을 보는 듯한 느낌을 준다. 다만 가독성이 크게 필요없는 경우 화면을 넓게 볼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모니터의 화면을 이미지로 판단한다는 것이 사실상 넌센스라고 할 수 있으나, 이미지로 보기에도 1024 x 768의 압축 해상도에서는 크게 무리없는 수준의 화면을 보여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