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에서 링크를 클릭하면 쓰는 법과 발음듣기 실습이 가능하다.
<표> 크메르어 첨족자형 자음문자의 첨족자형 표기법
Ka / 꺼
☞ 실습 |
Kha / 커
☞ 실습 |
Ko / 꺼(꺼우)
☞ 실습 |
Kho / 커(커우)
☞ 실습 |
Ngo / [응]워*
☞ 실습 |
Ca / 쩌
☞ 실습 |
Cha / 처
☞ 실습 |
Co / 쩌(쩌우)
☞ 실습 |
Cha / 처(처우)
☞ 실습 |
Nyo/[냑]녀(녀우)*
☞ 실습 |
Ṭa(Ḍa) / 더(떠)*
☞ 실습 |
Ṭha / 터*
☞ 실습 |
Ṭo (Ḍo) / 더우*
☞ 실습 |
Ṭho / 터우*
☞ 실습 |
Ṇa / 너*
☞ 실습 |
Ta / 떠
☞ 실습 |
Tha / 터
☞ 실습 |
To / 또우
☞ 실습 |
Tho / 터우
☞ 실습 |
No / 너(너우)
☞ 실습 |
Ba (Pa) / 버(뻐)
☞ 실습 |
Pha / 퍼
☞ 실습 |
Po / 뻐(뻐우)
☞ 실습 |
Pho / 퍼(퍼우)
☞ 실습 |
Mo / 모(모우)
☞ 실습 |
Yo / 여(여우)
☞ 실습 |
Ro / 러(러우)*
☞ 실습 |
Lo / 러(러우)
☞ 실습 |
Vo(Wo)/워(워우)
☞ 실습 |
|
Sa / 써
☞ 실습 |
Ha / 허
☞ 실습 |
|
A / 어
☞ 실습 |
|
<팝업창에 나타나는 각 단추들의 기능>
- 發音 (발음) : 발음 들어보기 기능. 한번씩 누른 후 따라서 발음해보면 도움이 됨.
- 再生 (재생) : 누를 때마다 글씨의 획이 천천히 그려지면서, 획순을 이해할 수 있음.
- 停止 (정지) : 위의 "재생"을 통해 천천히 진행되는 과정에서, 어떠한 시점이라고
할지라도 "정지"를 클릭하면 그 상태로 멈춰섬.
이때 다시한번 "재생"을 눌러주면 글자그리기가 다시 계속됨.
- 閉じる(닫기) : 이 버튼을 누르면, 팝업 창이 자동으로 사라짐.
* 참고 : 창을 작게 만들 경우, 동시에 여러 문자들을 띄워놓고 비교하는 일도 가능함. |
2. 크메르 표기체계의 부호들
크메르어 문자 표기체계는 앞에서 공부한 자음 문자(첨족자 포함)와 모음 문자 외에도, 마침표나 따옴표 역할을 하는 부호들과, 발음상의 규칙을 규정하는 부호들도 사용됩니다. '도쿄외국어대학'의 '크메르어 언어 모듈'의 설명에 따르면, 아래에서 소개하는 부호들 외에도 크메르 문자체계의 부호가 더 존재하지만, 현대 크메르어를 표기하는 데는 11가지 정도만 알고 있으면 충분하다고 합니다.

|
좌로부터
(1) 명칭: '칸' -- 마침표(문장 종료) 기능. ☞실습
(2) 명칭: '렉또우' -- 동일한 문구의 반복을 뜻함. 가령 한국어 '반짝반짝'처럼 동일한 문구가 반복될 경우, '반짝'을 1번만 표기하고 2번째는 렉또우 부호로 대체함. ☞실습
(3) 명칭: '쩜노웃삐' -- 인용구의 시작을 가리킴. 따옴표 기능과 유사. ☞실습 |

|
좌로부터
(1) 명칭: '번떡' -- 해당 음절의 모음을 짧게 끊는 느낌으로 발음. ☞실습
(2) 명칭: '뜨러이 쌉' -- 해당 음절의 자음이 'A계열'의 자음이지만 'O계열' 자음을 발음하는 원리들을 적용하라는 표시. ☞실습
(3) 명칭: '무시까똔' -- 해당 음절의 자음이 'O계열'의 자음이지만 'A계열' 자음을 발음하는 원리들을 적용하라는 표시. ☞실습
(4) '뜨러이 쌉'(2번) 부호나 '무시까똔'(3번) 부호 대신 사용. ☞실습
* (2), (3), (4) 번의 발음부호들은 특히 영어나 프랑스어 등 현대 외래어들과 한국어와 같은 외국어 발음을 표기하는 데 많이 사용됨. |

|
좌로부터
(1) 명칭: '러 밧' -- 발음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며, '러'(ra) 자음이 첨두자(添頭字) 형태로 변형되어 부착된 것임. ☞실습
(2) 명칭: '렉 쓰다' -- 발음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며, '동음이의어'를 구분. ☞실습
(3) 명칭: '깍 밧' -- 발음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며, '동음이의어'를 구분. ☞실습
(4) 명칭: '떤데어키엇' - 해당 문자를 발음하지 말라는 의미. ☞실습
* 참고: (4) 번의 '떤데어키엇'은 주로 산스끄리뜨어나 빨리어에서 전해진 외래어에 많이 사용되는데, 크메르어 음운론상 발음은 되지는 않지만 원래의 고전어가 갖고 있던 철자를 표기체계 상에서도 보존해주기 위해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 점을 역이용할 경우, 크메르어를 통해 고대 산스끄리뜨어나 빨리어 철자법을 복원하는 일이 가능하다. 티벳어는 7세기 중반에 문자를 만들고. 인도의 고전어를 완벽하게 의역했다. 반면, 크메르어는 6세기 초보다 이전에 문자가 만들어진 후, 인도의 고전어가 갖고 있던 철자들을 1대1로 완벽하게 자역하는 방식을 택했다. 따라서 인도학을 연구하는 학자들이 티벳어와 크메르어 고전을 비교 연구하면서, 한문 경전(의역과 음사가 섞여 있음)을 추가로 탐구한다면, 인도에서 사라져버린 고대 인도의 문화적 양상이 재발견될 가능성이 존재한다. 언젠가 그러한 분야의 비교연구를 하는 연구자가 나와주었으면 하는 것이 필자의 개인적인 소망이기도 하다. |
3. 독립된 자모음 일체형 문자들
크메르어 문자들 중, 이하의 표에 등장하는 문자들은 그 자체로 하나의 음절을 구성하는 독립된 문자들입니다. 주로 크메르어에는 없는 발음이지만 산스끄리뜨어나 빨리어에 존재하는 반모음이나 이중모음을 표기하는 데 사용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독립형 문자들은 주로 고전적 표현에 사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상황에 따라 독립형 문자로 표현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일반적인 자모음 문자를 사용하여 해당 발음을 대체해 표기해주는 경우도 존재합니다. 가령 한국인 작가가 동일한 단어를 한글로 표기하느냐 한자로 표기하느냐에 따라, 문장의 느낌이 약간 달라지는 현상이 있는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아래의 표는 독립성을 지닌 자모음 일체형 문자들의 목록입니다. 윗줄에 있는 문자가 독립형 표기법이고, 그 아랫줄은 해당 문자를 일반형 문자로 표기할 경우의 형태입니다. 앞서와 마찬가지로 '실습'을 클릭할 경우, 쓰는 법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실생활에서 사람에 따라 쓰는 법이 다소 달라지기도 합니다.
4. 숫자의 표기
크메르 문자의 숫자(아래 표에서 2번째 줄에 있는 문자들임)는 캄보디아, 태국 등 인도문화권의 여러 문자체계에서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표기법입니다. 다만 크메르어는 그 읽는 법에서 5진법의 사용 흔적을 갖고 있다는 점이 특징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 부분에서는 정인휴(까로나) 님의 동영상 강의가 여러분의 공부에 많은 도움을 줄 것입니다.


|
0 = 쑤운/ 1 = 무어이 មួយ/ 2 = 삐 ពីរ/ 3 = 버이 បី/ 4 = 부언 បួន/ 5 = 쁘람 ប្រាំ/
6 = 쁘람무어이 ប្រាំមួយ/ 7 = 쁘람삐 ប្រាំពីរ/ 8 = 쁘람버이 ប្រាំបី/
9 = 쁘람부언 ប្រាំបួន/ 10 = 덥 ដប់ |
|
(동영상) '까로나'의 캄보디아어 기초회화 : 캄보디아말로 숫자 세기
1~10까지의 기본 숫자와 10 단위 숫자들의 공부.
* 20 = 머파이 ម្ភៃ / 30 = 쌈썹 សាមសិប / 40 = 싸에썹 សែសិប / 50 = 하썹 ហាសិប /
60 = 혹썹 ហុកសិប / 70 = 쪋썹 ចិតសិប / 80 = 빠엗썹 ប៉ែតសិប / 90 = 까으썹 កៅសិប |
|
(동영상) 큰 숫자 말하기. 100, 1000, 1만 등 큰 단위의 숫자들 공부.
* 100 = 뭐이 로이 = មួយរយ * 1,000 = 뭐이 뽀안 = មួយពាន់ * 10,000 = 뭐이 머은 = មួយមឺុន * 100,000 = 뭐이 싸엔 = មួយសែន * 1,000,000 = 뭐이 리은 = មួយលាន |
아래에 링크되어 있는 목록을 이용하면, 까로나 님의 동영상 강의를 통해 보다 본격적인 크메르어 초급 회화 공부가 가능합니다.
|
첫댓글 진작에 마쳤어야 할 시리즈인데요..
워낙에 손이 가는 작업이라 엄두를 못내고,
미루고 미루다가 3년만에 마무리했습니다..
이제 제가 이 분야에서 해야 할 일은 대충 끝난 것 같습니다..
그 사이 크메르어에 능숙한 한국인들이 많이 증가했습니다..
따라서 이제부터는 더욱 젊고 실력있는 분들이
크메르어에 관한 연구를 더욱 진전시켜주시길 기대해봅니다.
넘넘..
고생이 많으셧습니다,
그간 성원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