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주 수축기혈압 mmHg 이완기 혈압 mmHg
정상 < 120 그리고 < 80
전 고혈압 120-139 또는 80-89
고혈압 1 기 140-159 또는 90-99
고혈압 2 기 > 160 또는 > 100
# 고혈압의 치료 원칙
- 혈압을 < 140/90 mmHg로 치료 하거나 당뇨 또는 만성신장 질환이 있는 환자에서는 혈압을
< 130/80 mmHg가 되도록 치료한다.
# 생활습관의 교정의 권장사항
수정 권장사항 평균 수축기 혈압 감소 범위
체중감량 정상체중유지 ( 체질량지수; 18.5-24.9 ) 5-20 mmHg/10 kg
DASH 섭식계획 포화지방과 전체 지방의 양을 감소시킨
유제품과 과일, 채소가 풍부한 식단채택 8-14 mmHg
식이 염분 감량 식이 나트륨 섭취를 1일 < 100 mmol 2-8 mmHg
( 나트륨 2.4 g 또는 염화 나트륨 6 g)
으로 감량
유산소 운동 1일 30분 이상, 거의 매일 규칙적으로 4-9 mmHg
유산소 운동 ( 예, 빠른 걸음 )
음주 절제 남성 ; 1일 제한량 < 2 drinks 2-4 mmHg
여성과 체중이 덜 나가는 사람
1일 제한량 < 1 drinks
# 1 drinks; 에탄올 1/2 온스 또는 15 ml( 예를 들면 맥주 12 온스, 포도주 5 온스, 80도 위스키 1.5온스)
# 주요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인자
- 고혈압
- 비만 ( 체질량 지수 ( body mass index) > 30 kg/m2
- 고지혈증
- 당뇨
- 흡연
- 신체적 활동 결여
- 미세알부민뇨, 신 사구체 여과율 < 60mL/min
- 나이 ( 남성 > 55 세 , 여성 > 65 세 )
- 조기 심혈관계 가족력 ( 남성< 55 세, 여성 < 65 세 )
# 불응성 고혈압의 원인
- 부적절한 혈압 측정
- 과도한 염분 섭취
- 부적절한 이뇨제 치료
- 약물 치료
- 부적절한 용량,
- 약물의 작용과 상호작용 ( 예를 들면 NSAIDs, 불법약물, 교감신경 유사약물, 경구 피임제 )
- OTC 약물과 한약
- 과도한 음주
- 확인 가능한 고혈압 원인 ( 수면시 무호흡증, 약물에 의해 유발/약물과 관련, 만성 신장질환
일차 알도스테론증, 신혈관성 질환, 쿠싱증후군 또는 스테로이드치료
크롬 친화 세포증, 대동맥교착증, 갑상선/부갑상선 질환 )
첫댓글 예를 들면 체중감량 10 kg를 하면 평균적으로 수축기 혈압이 5-20 mmHg, 소금을 하루에 6 g 정도 섭취하면 수축기 혈압이 4-9 mmHg 내려 간다는 것입니다. 체질량지수란 체중을 신장의 제곱으로 나눈 수치로서 정상은 18.5-22.9이고 23-24.9는 과체중, 25-29.9는 비만 30 이상은 과도 비만입니다.
키가 170cm, 체중이 70 kg 이면 체질량 지수는 70/1.7X1.7 = 24.2 로 과체중에 들어가는 것이지요. 각자 계산해 보면 체질량 지수에 따른 비만의 분류를 알수가 있답니다.
주님은 우리의 영 뿐 아니라 우리의 육신의 몸도 위하십니다. 건강을 잃거나 약화되면 즉시 교회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종종 봅니다. 예수사랑 형제님 만이 하실 수 있는 조언을 통해 여러 지체들이 도움을 입는 것 같습니다.
나이가 드시면서 혈압이 높아지시는 분들을 옆에서 많이 봅니다. 거의 증상이 없어서 혈압이 높은 줄도 모르다 검사후 알게 되시는분들도 있구요. 체중을 줄이고 염분섭취를 적게하고 걷기운동.. 잘 알겠습니다. ^^
체중 84.5키로에서 75키로까지 운동으로 감량 성공했습니다. 처음 3일이 고비이며 그리고 다음 일주일이 2차고비입니다 초기만 잘 견디면 그다음은 저절로 운동하기가 쉬워집니다. 이제 날씨좀 풀리면 5키로 더 감량하려고 계획중에 있습니다.
식사와 운동 모두가 중요하지요. 식사양를 줄이지 않고는 체중을 감량하기가 어렵습니다. 물과 달리 몸에 들어온 칼로리는 들어온 만큼 소모하지 않으면 소모되지 않은 칼로리가 몸에 축적 되면서 체중이 늠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