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증상
병든 오디는 5월 하순 미성숙한 녹색 오디에서 나타나기 시작한다. 병든 과실을 과피가 다소 부풀어 오르면서 두꺼워지고, 회백색으로 변색된다. 점차 회갈색으로 변하면서 과피의 끝부분이 검게 변한다. 과실의 일부분 혹은 전체가 회색으로 변색된다. 열매인 오디에서만 발병하고 잎이나 나무 등 뽕나무의 다른 부위에서는 전혀 발병하지 않는다. 병든 과실은 뽕나무로 부터 지상으로 떨어지면서 수십 개의 작은 열매로 흩어지거나 혹은 오디의 형태를 그대로 유지한 채로 남아 있다. 지상으로 떨어진 병든 오디의 회백색 과피 조직 속에는 오디의 과육대신 '균핵'이라는 검은색의 딱딱한 조직을 볼 수 있다.
2. 병원균
오디 균핵병을 일으키는 병원균은 곰팡이로 2종류가 있다. 병든 오디가 뽕나무 아래에 떨어진 후 과피가 썩으면서 딱딱하고 검은 균핵만이 포장에 흩어져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균핵은 월동한 후 이듬해 봄 발아하여 자낭반이라는 버섯을 만든다. 버섯은 잔 모양 이거나 곤봉 모양이다. 잔모양의 버섯은 황갈색으로 중앙부위가 움푹 들어간 둥근 접시모양으로 병원균은 Ciboria shiraiana이고, 곤봉모양의 버섯은 황갈색으로 대는 길고,갓은 타원형으로 여러줄의 도랑을 갖는 형태로 병원균은 Scleromitrula shiraiana이다.
잔모양Ciboria shiraiana |
곤봉모양Scleromitrula shiraiana |
3. 발병 및 전염경로
낙엽이나 잡초 혹은 흙속에 묻혀 있던 월동 균핵은 초봄기운이 상승하면서 대개 4월 하순이나 5월 초순부터 발아하여 오디가 형성되는 오디가 형성되는 5월 중순이나 하순까지 지속적으로 버섯을 형성한다.
핵에서 형성된 버섯으로 부터 수 많은 포자가 방출되고, 바람이나 기류에 의해 이동하여 오디의 암술로 침입하고 감염한다. 감염된 오디는 대개 5월 하순부터 균핵병 증상을 나타내기 시작하여 수확기까지 볼 수 있으나 병든 과실에 1차로 감염된 병원균이 다른 건전한 과실로 2차 감염하지 않는다. 병든 과실은 지상으로 떨어져 작은 열매로 흩어진 후 과피조직은 썩어서 없어지고, 작고, 구형이나 콩팥 모양의 검은색 균핵으로 변하거나 오디의 형태를 유지한 채로 과피가 썩은 후 오디 형태를 그대로 갖는 검은색 균핵으로 된다. 균핵은 건조하고 저온의 불량한 환경 조건에서도 견딜 수 있는 병원균의 월동구조로서 추운 겨울에도 죽지 않고 있다가 이듬해 봄 다시 발아하여 포자를 방출하는 버섯을 형성하면서 전염원으로 작용한다.
4. 방제대책
오디 균핵병이 발생하면 치료는 불가능하기 때문에 병 발생을 막는 것이 최선의 방책이다. 병 방제를 위해서는 전염을 제거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먼저, 뽕나무 아래에 떨어져 있어 전염원으로 작용하는 균핵을 제거하기 위해 소 면적 재배에서는 손으로 일일이 제거 할 수 있으나 대 면적 재배에서는 시간과 노력이 많이 필요하므로 적용하기 어렵다. 경운에 의해 균핵을 땅속 깊숙이 묻어 제거하는 것도 한 가지 방법이다. 그러나 일부 균핵은 지상으로 노출될 가능성이 있고, 평지에서는 가능하지만 산간지에서는 적용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균핵을 제거 할 때는 포장내의 월동균핵 뿐만 아니라 재배포장의 주변에 있는 야생뽕나무 아래에 떨어져 있는 균핵이나 야생뽕나무 자체를 제거해야 한다. 재로이 조성된 포장이나 관리가 잘된 포장에서도 병 발생이 심한 것은 포장에는 전염원이 없을지라도 포장 주변에서 자라는 야생뽕나무 아래에 있는 균핵이 전염원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균핵이 발아하여 버섯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적당한 온습도가 필요하기 때문에 포장내에 낙엽이나 잡초를 제거하여 포장을 건조하게 유지하면 균핵이 발아하기 불량한 환경조건이 조송되기 때문에 병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지만 많은 노력을 필요로 한다는 것이 단점이다. 또한 균핵이 발아 후 형성된 버섯으로부터 방출된 포자가 오디의 암술에 감염되지 않도록 막는 방법이있다. 따라서, 균핵으로 부터 버섯이 형성되는 4월 하순 이전에 뽕나무 아래에 비닐이나 부직포 등의 피복제를 덮어서 포자가 오디의 암술에 감염되지 않도록 막아주는방법이다. 피복제로는 비닐처럼 병원균의 포자이동을 막을 수 있는 자재를 사용해야 병원균 감염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차광막이나 볏짚피복처럼 병원균의 포자가 잘 통과 할 수 있는 피복제는 병 방제 효과가 전혀 없으므로 피복제 선택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