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8-1,[167]
(금) 쇠 |
자원(字源) : {形聲字} 금속의 덩어리를 본뜬 글자인데, 후에 옆에다 금속을 녹이는 도가니 의미를 가미해 현재 아래 부분의 두 사선을 표시하게 되었고, 위 부분 '今' 모양은 발음을 표현한 것임. 또 다른 학설로 발음을 나타내는 위 부분 '今'과 땅 의미인 중간의 '土', 그리고 아래 두 사선은 흙 속에서 빛나는 모습을 표시한 것으로 세 개가 결합하여 땅 속에서 빛을 발하는 광물의 의미로 보는 경우가 있음. 처음에는 의미가 금속의 총칭으로 사용되었는데, 후에는 최고의 금속인 '금'만을 표시하게 됨. 부수의 활용은 금속과 관련하여 종류나 금속으로 만든 물건, 만드는 과정 등의 의미로 활용됨. |
기초 한자 - 1800자 중 22자 0) 金 (금) 쇠,금,금나라 : 金城湯池, 金科玉條, (김) 성 2) 針 (침) 바늘,침,바느질하다 : 針小棒大, 指針 4) 鈍 (둔) 우둔하다 : 鈍感, 老鈍 5) 鉛 (연) 납,분 : 亞鉛, 鉛筆, 黑鉛 6) 銀 (은) 은,은빛,돈 : 銀行, 水銀 6) 銅 (동) 구리 : 銅像, 銅版 6) 銘 (명) 새기다,명 : 銘心, 座右銘 6) 銃 (총) 총 : 拳銃, 長銃 7) 銳(예) 날카롭다,날래다: 銳利,銳敏 8) 鋼 (강) 강철 : 鋼鐵, 鐵鋼 8) 錄 (록) 적다,나타내다,취하다 : 錄音, 記錄 8) 錢 (전) 돈,가래,전 : 金錢, 銀錢 |
8) 錦 (금) 비단: 錦上添花,錦繡江山 8) 錯 (착) 꾸미다,숫돌,섞이다 : 錯誤, 錯雜, 錯簡, 9) 鍊 (련) 불리다,연마하다 : 鍊金術, 鍊磨 10) 鎖 (쇄) 쇠사슬,자물쇠 : 鎖國, 封鎖 10) 鎭 (진) 누르다,진정하다,진영 : 鎭壓, 鎭靜 11) 鏡 (경) 거울,살피다 : 破鏡, 鏡鑑 12) 鐘 (종) 쇠북 : 鐘樓, 警鐘, 鐘閣 13) 鐵 (철) 쇠,병장기,흑색: 鋼鐵,鐵拳 14) 鑑 (감) 거울,거울삼다 : 鑑賞,寶鑑 ▲14) 鑄 (주) 쇠부어만들다: 鑄物, 鑄造, 鑄鐵 15) 鑛 (광) 쇳돌 : 鑛物, 採鑛 |
8-2,[168]
(장) 길다
|
자원 : {象形字} 늙은 노인이 지팡이를 짚고 머리를 길게 아래로 늘어뜨리고 있는 모습을 본뜬 글자에서 '길다', '오래다'는 뜻을 나타냄. 고대에는 늙은 사람을 머리가 길다는 것으로 표현했다는 것을 알 수 있고, 후에 지팡이 모양이 변해 '老(노)'의 아래 부분과 동일하게 변화된 모습으로 정착됨. {會意形聲字} 兀+匕+亡{실제 자형은 亡을 뒤집은 모양}의 결합으로, 높고 멀다는 의미의 '兀'과 변화되는 의미의 '匕', 발음을 나타낸 '亡'이 결합했는데, '亡'에 '멀다'는 의미를 포함하고 있어 '오래고 멀다'는 의미를 도출해 내었고, 후에 '길다', '우두머리' 등의 뜻으로 확대됨. 보통 부수자로 사용될 때는 부수의 변형이 생기는데, 속한 글자가 많지 않지만 변형의 자형(字形)과 '髮'의 윗 부분[10획부수]인 터럭의 의미는 별도의 글자임. 또한 발음부호[音符]로도 사용되 형성자를 만드는 역할을 하기도 함. [ 예) 張(장)베풀다 - 弓부수, 帳(장)장막 - 巾부수 등 ] |
기초 한자 - 1800자 중 1자 0) 長 (장) 길다,맏,어른,자라다,키,많다 : 長短點, 長幼有序, 成長 |
8-3,[169]
(문) 문 |
자원 : {象形字} 좌우 두 짝으로 이루어진 문의 닫혀진 모양을 본뜬 글자로, '문'의 의미를 지님. 부수의 활용은 문의 종류나 문과 관련된 부속물, 문과 관련된 행위나 동작 등의 의미로 활용되고, 발음부호[音符]로 사용되어 형성자(形聲字)를 만드는 역할을 하기도 함. [ 예) 問(문)묻다 - 口부수, 聞(문)듣다 - 耳부수 등 ] |
기초 한자 - 1800자 중 9 자 0) 門 (문) 문,집,집안,지체 : 門前成市, 門前沃畓 3) 閉 (폐) 닫다,막다,감추다: 開閉, 閉鎖 4) 開 (개) 열다,피다,풀다 : 開拓, 滿開 4) 閏 (윤) 윤 : 閏年, 閏月 4) 閑 (한) 한가하다,마굿간,막다,법 : 忙中閑, 閑暇 4) 間 (간) 사이,염탐꾼,이간하다 : 間隔, 間諜, 離間 |
6) 閣 (각) 다락집,잔교,찬장 : 閣道, 閣僚, 閣議 ▲7) 閱 (열) 살피다,벌열 : 閥閱, 檢閱, 閱兵 14) 關 (관) 문빗장,잠그다,관문,기관, 관계하다 : 關係, 關門, 關與
◈ 신교육용한자에서 제외된 한자 ▽6) 閨 (규) 협문, 도장방, 규방 : 閨秀, 閨房 |
8-4,[170]
(부) 언덕
|
자원 : {象形字} 연이어 있는 돌이 없는 흙 언덕들의 모양을 세로로 표현해 본뜬 글자로, '언덕'이라는 의미와 함께 '크다'는 의미까지 확대됨. 일반적으로 부수로 사용될 때는 글자의 왼쪽[偏(변)]에 위치하는데, 변형의 모습을 하고 있고, 부수의 활용은 언덕과 관련하여 지형이나 방어, 축조(築造) 등과 관련된 의미로 활용됨. 부수의 명칭을 속칭 '좌부방' 혹은 '좌부방변'이라 부르는 것은 '邑(고을 읍: 우부방)'과 변형의 모습이 유사해 붙여진 명칭인데, 실제 '좌부변'으로 명명되지 못한 불합리한 점이 있음. |
기초 한자 - 1800자 중 24 자 4) 防 (방) 막다,둑 : 防役, 堤防 5) 附 (부) 붙다 : 附和雷同, 寄附 6) 降 (항) 항복하다 : 降伏 (강) 내리다 : 降雨, 降等 6) 限 (한) 한정 : 無限軌道, 期限 7) 院 (원) 집,담,절: 院長, 翰林院 7) 陣 (진) 진치다 : 陣頭指揮, 陣地 7) 除 (제) 덜다,나눗셈,벼슬주다 : 除名, 除隊, 除授 8) 陰 (음) 그늘,음기,흐리다,그림자, 생식기,어둠 : 陰地, 陰陽, 陰德 8) 陳 (진) 늘어놓다,묶다,말하다 : 陳述, 陳腐 8) 陵 (릉) 언덕,능,짓밟다 : 陵寢, 陵蔑 8) 陶 (도) 질그릇,기뻐하다,근심하다 : 陶冶, 陶瓷器 (요) 사람이름 8) 陷 (함) 빠지다,함정 : 陷穽, 陷沒 8) 陸 (륙) 뭍,뛰다 : 陸地, 上陸 |
9) 陽 (양) 양기,해,양지,맑다,거짓 : 陽地, 陽刻 9) 隆 (륭) 높이다,성하다,두텁다 : 隆盛, 隆起 9) 隊 (대) 대 : 隊列, 隊伍 9) 階 (계) 섬돌,사닥다리,벼슬차례 : 階級, 階段 ▲10) 隔 (격) 사이뜨다: 隔離, 隔世之感, 隔差 11) 際 (제) 가,때,만나다 : 此際, 實際 11) 障 (장) 막히다,장애 : 障壁, 障碍 12) 隣 (린) 이웃,보필 : 善隣, 隣近 13) 隨 (수) 따르다 : 隨行, 隨時 12) 險 (험) 험하다 : 險難, 險路 14) 隱 (은) 숨다,점치다 : 隱遁, 惻隱之心
◈ 신교육용한자에서 제외된 한자 ▽5) 阿 (아) 언덕, 아름답다, 물가 : 阿丘, 阿諂, 阿附 |
8-5,[171]
(태) 미치다 |
자원 : {會意字} 윗 부분은 사람의 손을 의미하고 아래 부분은 짐승의 꼬리를 표시해 뒤에서 손으로 꼬리를 잡는다는 의미에서 뒤에 '미치다'는 의미를 도출해 냈는데, 현재는 '逮(체,태)'가 사용되고 있음. 실제 부수의 활용은 '잡는다', '도달하다' 등으로 활용되는데, 속한 글자가 거의 없음. |
기초 한자 - 1800자 중 1 자
▲8) 隸 (례) 종,노예,글씨 : 奴隸, 隸屬, 隸書 |
8-6,[172]
(추) 새 |
자원 : {象形字} 본래 꽁지가 긴 큰 새인 '鳥(조)'와 구별해서 꽁지가 짧은 작은 새의 모양을 본뜬 글자지만 실제 부수의 활용은 꼬리나 크기와는 관련이 없이 사용되고 있음. 혹 발음부호[音符]로 사용되어 형성자(形聲字)를 이루는 경우도 있음. [ 예) 惟(유)오직 - 心부수 등 ] |
기초 한자 - 1800자 중 9 자 4) 集 (집)모이다,이루다: 雲集,集大成 4) 雅 (아) 우아하다,바르다 : 優雅,雅量 4) 雁 (안) 기러기 : 雁書 5) 雌 (자) 암컷 : 雌雄 9) 雖 (수) 비록 10) 雙 (쌍) 쌍 : 勇敢無雙, 雙童 10) 雜 (잡) 섞이다 : 混雜, 雜務 |
11) 離 (리) 떠나다,흩어지다,만나다 : 離別, 離散家族 11) 難 (난) 어렵다,나무라다 : 難攻不落, 難易度
◈ 신교육용한자에서 제외된 한자 ▽5) 雌 (자) 암컷 : 雌雄 |
8-7,[173]
(우) 비 |
자원 : {象形字} 하늘[ㅡ]의 구름[∩]에서 물방울이 주룩주룩 떨어지는 모양을 본뜬 글자로, 기상(氣象)의 대표 격인 '비'의 듯으로 쓰임. 부수의 활용도 자의(字意)를 충실하게 따라 기상과 관련된 현상이나 상황 등의 의미로 활용됨. |
기초 한자 - 1800자 중 12 자 0) 雨 (우) 비 : 雨後竹筍, 降雨量 3) 雪 (설) 눈 : 雪上加霜, 螢雪之功 4) 雲 (운) 구름 : 靑雲, 雲雨之情 5) 零 (령) 떨어지다,영 : 零下, 零落 5) 雷 (뢰) 천둥,치다 : 附和雷同,地雷 5) 電 (전) 번개,전기 : 電光石火,電報 6) 需 (수) 구하다 : 祭需, 需要 |
▲7) 震 (진) 벼락,두렵다 : 地震, 震動, 震怒 9) 霜 (상) 서리,해 : 傲霜孤節, 秋霜 11) 霧 (무) 안개 : 五里霧中, 霧散 12) 露 (로) 이슬,드러나다,나타나다 : 綻露, 露骨 16) 靈 (령) 신령,혼백 : 靈魂, 靈前 |
8-8,[174]
(청) 푸르다 |
자원 : {會意字} 싹이 돋아 나온다는 의미의 위 부분 '生'과 우물의 맑은 물의 의미인 아래 부분 '井'이 결합하여 모두 맑은 푸른빛을 띠고 있어 '푸르다'는 의미를 도출해 낸 것으로 봄. {形聲字} 위 부분의 '生'은 소리를 나타내고, 아래 부분의 '丹'은 '井'의 의미로 뜻을 지니고 있는 형성자로 보아, '봄에 초목이 처음 생겨날 때의 맑은 색깔'인 '푸른 색'을 나타낸 글자임. 하지만 부수자로 설정된 글자들은 대부분 의미와는 관계없이 부수 설정시에 자형에 따른 분류로 결정된 것들이고, 혹 발음부호[音符]로 사용되어 형성자를 만드는 역할을 많이 함. [ 예) 淸(청)맑다 - 水부수, 晴(청)개다 - 日부수, 請(청)청하다 - 言부수, 情(정)정 - 心부수, 精(정)자세하다 - 米부수 등 ] |
기초 한자 - 1800자 중 2 자 0) 靑 (청) 푸르다,대껍질 : 靑春, 靑雲 |
8) 靜 (정) 조용하다 : 動靜, 靜肅 |
8-9,[175]
(비) 아니다 |
자원 : {象形字} 본래 새가 두 날개를 펴고 하늘로 날아 오르는 모습을 본뜬 글자로, 앉아 있던 곳에서 반대로 날아가기 때문에 '등지다'의 의미였는데, 후에 발전해서 '반대하다', '아니다'로 확대된 것으로 보기도 하고. 혹은 양쪽의 두 날개가 서로 반대로 펴져 있기 때문에 '반대하다'는 의미로 설명하거나 양쪽에 살이 있는 빗의 모양을 본뜬 글자로 설명하는 학설도 있음. 부수의 활용은 '갈라지다', '등지다' 등의 의미로 활용되고, 혹 발음부호[音符]로 사용되어 형성자를 만드는 역할을 하기도 함. [ 예) 悲(비)슬프다 - 心부수, 誹(비)헐뜯다 - 言부수, 扉(비)문짝 - 戶부수, 翡(비)물총새 - 羽부수 등 ] |
기초 한자 - 1800자 중 1 자 0) 非 (비) 아니다,어긋나다,나무라다 : 似而非, 非一非再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