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주에 걸쳐 1, 2 강의 수목 이론 수업을 공간 초록에서 마친 후 드디어 삼동면 금곡마을 뒷산으로 저희 배움터를 옮겼습니다.
잘 모르시는 분들이 더 많을 줄로 압니다만, 숲에는 생각보다 나무 자체가 나물인 경우가 참 많습니다.
사람에 의해 선택되었다는 표현을 우리는 씁니다만, 식물중에서 가장 진화 한 것이 가장 맛있거나 약이 되고, 그 중에서도 나무가 나물인것이 최고라 합니다.
이 귀한 보배들을 함부로 하지 않아야 하는 방법들(채취시에는 나무 전체의 30% 정도만, 주로 잔가지를 등등)을 몇가지 민들레 선생님께 듣고 숲으로 출발하였지요.
가을의 숲은 어떨까?
가만히 관심을 가지고 들여다 보면, 봄과 여름에 우리에게 보여 주었던 친숙한 모습들을
그대로 드러내고 있을까 하는 기대반 걱정반으로 한걸음 한걸음 산을 올랐습니다.
쉽게 구별하는 나물이 되는 나무는...주로 잎이 그물맥인 쌍떡잎 식물들, 비벼보았을 고약하지 않은 달콤하고 좋은 향을 가진것들, 벌레 먹은 잎들, 가시가 있는 것들 입니다.
[ 국수나무 ] - 가지속 하얀 줄기가 국수 같아서 국수나무라고 부릅니다. 그물맥 잎이 보이시죠? 잎의 앞뒤로 털이 아주 많습니다.
특별한 맛을 가지진 않아서 향이 강한 나물과 섞으면 좋습니다. 봄에 잎은 나물로, 지금은 효소를 담습니다.
가지와 잎은 염색 재료로도 그만입니다.
매염제로 백반을 사용하면 정말 예쁜 살구색을 얻을 수 있습니다.



[ 누리장 나무 ] - 꽃과 잎에서 비타민향 혹은 옛날 어릴때 먹었던 원기소 향이 납니다. 향이 고약하다는 분들도 있습니다.
하지만 잎을 데쳐서 물에 2시간 정도 우리면 냄새가 싹 없어집니다. 누리장 나물은 고급나물에 속합니다.
혈압하강제로 최고인 약초이기도 합니다.


[ 회입 나무 ] - 잔가지가 푸른색이고 끝에 달린 두개의 잎이 꼭 나비 같지요? 봄에 가지를 살짝 쥐고 잎을 후루룩 훑어서
나물 해 먹는다고 훌잎나무라고도 합니다. 잡내가 없는 밍밍한 맛입니다.
화살나무와 똑 같아서 가지에 화살(날개)이 있음과 없음으로 두 나무를 구별합니다.

[ 광대싸리 ] - 나무 양도 많고, 부드럽고, 몸에도 좋습니다. 사진처럼 초록 잔가지는 올 봄에 생장한것임을 알수 있습니다.
광대싸리나무는 기름성분을 함유하고 있어서 태울 때 연기가 나지 않습니다.

[ 들꿩나무 ] - 빨간 열매는 사과 맛이 납니다. 효소재료로 씁니다.

[ 다래나무 ] - 잎은 달걀 모양이며, 잎 가장자리는 톱니모양입니다. 주맥에 털이 많은것이 특징입니다.
최고급나물 중의 하나이고, 묵나물로 만들면 향이 배가 됩니다.

[ 사람주 나무 ] - 계곡가에 주로 서생하고, 수피가 하얗고 예쁩니다. 새싹은 나물로 먹고, 잎은 부드러워서 1년 내내 쌈으로도
먹습니다. 지금은 약간 독성이 있어서 데친 후 소금물에 담궜다가 먹습니다.

[ 박쥐나무 ] - 새순이 박쥐처럼 거꾸로 처진다고 박쥐나무입니다. 청정지역에서만 서생하는 나무이고요,
가지는 부드럽고 매끈하며, 생강나무와 굉장히 비슷합니다. 장아찌 나물로 최상입니다.
박쥐나무는 겨울눈을 잎자루속에 숨기고 있는것이 특징입니다. 잎을 떼어내어야 겨울눈을 볼 수 있는데,
그만큼 잎을 내기가 힘들어서 절대 손실을 막기 위한 이 식물만의 생존전략인 셈입니다.



[ 구릿대 ] - 효소 담을때 꼭 필요한 식물입니다. 효소에서 나는 한약냄새가 구릿대 때문이지요. 산의 냇가에 서생합니다.


[ 박주가리 열매 ] - 어린 잎은 나물로 먹으며 열매는 약재로 쓰입니다.


산야초반 식구들, 알밤 까기, 싸리나무와 밤으로 만든 차숟가락, 두릅나무 열매, 비상, 취나물꽃, 들깨풀,
미국쑥부쟁이, 제주나비 애벌레(종령)
파이 서비스가 종료되어
더이상 콘텐츠를 노출 할 수 없습니다.
자세히보기
첫댓글 항상 이렇게 정성을 들여 정리를 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구릿대를 보니 윗 사진은 잎이 궁궁이 잎이고,밑에 사진은 개 구릿대 처럼 보입니다. 구릿대는 줄기가 초록색 입니다. 다 미나리과 친구들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