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홀수형/짝수형 선택지 배치 순서 다름> 2023학년도 수능 영어영역 홀수형 41번 제목
정답 ① 가장 긴 선택지
최빈 정답인 가장 긴 선택지가 정답으로 출제되었습니다.
참고로 6월 모의평가와 9월 모의평가는 부정행위 방지 장치인 홀수형, 짝수형 시험지로 치러지지 않고 단일 형태로 실시됩니다. 대학수학능력시험 영어영역은 부정행위를 방지 장치인 홀수형, 짝수형 시험지로 나누어서 실시되지만 문제의 특성상 홀수형과 짝수형에 동일하게 인쇄되는 문제 유형이 있습니다. 제목 문제는 (최근)24번, 41번으로 2개 출제되며 홀수형, 짝수형 시험지에 따라 선택지 순서가 달라집니다.
2016학년도 6월 모의평가(2015년 6월) 21,22,41번 3개의 제목 문제가 출제되었습니다.
2017학년도 9월 모의평가(2016년 9월) 23번 1개만 제목으로 출제되었습니다.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16년 11월) 22,23,41번 3개의 제목 문제가 출제되었습니다.
----------------------------------------------------------------------------------------------------------------------------------------
이번에 보고 드리고 싶은 문제는 ‘24. 다음 글의 제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과 ‘41. 윗글의 제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으로 출제되는 ‘제목’입니다.
시험 문제 정답은 가장 짧은 거나 가장 긴 거다는 말에 가장 충실한 문제가 "제목"입니다.
--------------------------------------------------------------------------------------------------------------------------------------
최근 7년 간 모평, 수능 제목 2개 정답 비교 ( 24번 vs 41번)
※ 참고
① 41번 제목 문제는 장문 독해 지문으로 출제됩니다.
② 21번, 22번, 23번, 24번 제목 문제는 모두 24번으로 분류했습니다.
③ 21~24번 제목 문제는 한 단락짜리 독해 지문으로 출제됩니다.
24번 제목 | 41번 제목 | |
가장 짧은 선택지 | 5번 | 6번 |
두번째 짧은 선택지 | 4번 | 1번 |
세번째 길이 선택지 | 1번 | 4번 |
두번째 긴 선택지 | 3번 | 3번 |
가장 긴 선택지 | 12번 | 8번 |
합계 | 25번 | 22번 |
-----------------------------------------------------------------------------------------------------------------------------------------
보통 ‘24. 다음 글의 제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으로 출제되는 한 단락짜리 제목 문제의 정답 분포는 다음과 같습니다.
25개의 한 단락짜리 제목 문제 중에서 가장 짧은 선택지 5번, 두 번째 짧은 선택지 4번, 세 번째 길이 선택지 1번, 두 번째 긴 선택지 3개, 가장 긴 선택지 12번의 정답 분포를 보였습니다.
-----------------------------------------------------------------------------------------------------------------------------------------
41. 윗글의 제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으로 출제되는 장문 지문에서 출제되는 제목 문제의 정답 분포는 다음과 같습니다.
22개의 장문 지문에서 출제되는 제목 문제 중에서 가장 짧은 선택지 6번, 두 번째 짧은 선택지 1번, 세 번째 길이 선택지 4번, 두 번째 긴 선택지 3개, 가장 긴 선택지 8번의 정답 분포를 보였습니다.
------------------------------------------------------------------------------------------------------------------------------------
< 24번, 41번 제목 종합>
‘24. 다음 글의 제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과 ‘41. 윗글의 제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으로 출제되는 ‘제목’ 문제의 정답 경향을 종합하겠습니다.
‘시험 문제 정답은 가장 긴 것이나 가장 짧은 것이다.’는 말에 가장 부합하는 문제가 수능 영어영역 ‘제목’ 문제입니다. 다음 제목 문제 정답을 카운팅해보니 47개의 제목 문제 중에서 가장 짧은 선택지 11개, 두 번째 짧은 선택지 5개, 세 번째 길이 선택지 5개, 두 번째 긴 선택지 6개, 가장 긴 선택지 20개의 정답 분포를 보였습니다.
‘제목’ 문제는 가장 긴 선택지가 정답으로 가장 많이 채택되며 가장 짧은 선택지가 다음으로 정답으로 설정됩니다. 47개의 제목 문제 중에 가장 긴 선택지 20개, 짧은 선택지 16개(가장 짧은 선택지 11개 + 두 번째 짧은 선택지 5개)가 정답으로 출제되었습니다.
-------------------------------------------------------------------------------------------------------------------------------------
제목 문제 발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21~22] 다음 글의 제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41. 윗글의 제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3. 다음 글의 제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2~23] 다음 글의 제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최근 7년 모평, 수능 24번 제목 정답 counting>
2016학년도 6월 모의평가(2015년 6월) 21,22,41번 3개의 제목 문제가 출제되었습니다.
2017학년도 9월 모의평가(2016년 9월) 23번 1개만 제목으로 출제되었습니다.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16년 11월) 22,23,41번 3개의 제목 문제가 출제되었습니다.
5
2016학년도 9월 모의평가(2015년 9월) 23. ①번: 가장 짧은 선택지
2017학년도 9월 모의평가(2016년 9월) 23. ①번: 가장 짧은 선택지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16년 11월) 23. ①번: 가장 짧은 선택지
2021학년도 6월 모의평가(2020년 6월) 24. ①번: 가장 짧은 선택지
2023학년도 6월 모의평가(2022년 6월) 24. ①번: 가장 짧은 선택지
4
2016학년도 6월 모의평가(2015년 6월) 22. ②번: 두 번째 짧은 선택지
2020학년도 9월 모의평가(2019년 9월) 24. ④번: 두 번째 짧은 선택지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20년 12월) 24. ② 두 번째 짧은 선택지
202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19년 11월) 24. ②번: 두 번째 짧은 선택지
1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16년 11월) 22. ④번: 세 번째 길이 선택지
3
2016학년도 6월 모의평가(2015년 6월) 21. ②번: 두 번째 긴 선택지
2018학년도 9월 모의평가(2017년 9월) 23. ④번: 두 번째 긴 선택지
2022학년도 6월 모의평가(2021년 6월) 24. ① 두 번째 긴 선택지
12
201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15년 11월) 23. ①번: 가장 긴 선택지
2017학년도 6월 모의평가(2016년 6월) 23. ⑤번: 가장 긴 선택지
2018학년도 6월 모의평가(2017년 6월) 23. ①번: 가장 긴 선택지
201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17년 11월) 23. ⑤번: 가장 긴 선택지
2019학년도 6월 모의평가(2018년 6월) 23. ①번: 가장 긴 선택지
2019학년도 9월 모의평가(2018년 9월) 24. ④번: 가장 긴 선택지(⑤번 선택지와 길이 거의 비슷)
2019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18년 11월) 24. ①번: 가장 긴 선택지
2020학년도 6월 모의평가(2019년 6월) 24. ①번: 가장 긴 선택지
2021학년도 9월 모의평가(2020년 9월) 24. ①번: 가장 긴 선택지
2022학년도 9월 모의평가(2021년 9월) 24. ③번: 가장 긴 선택지(②,③번 길이 동일)
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21년 11월) 24. ①번: 가장 긴 선택지
2023학년도 9월 모의평가(2022년 9월) 24. ②번: 가장 긴 선택지
---------------------------------------------------------------------------------------------------------------------------
<최근 7년 모평, 수능 41번 제목 정답 counting>
6
2016학년도 6월 모의평가(2015년 6월) 41. ①번: 가장 짧은 선택지
201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15년 11월) 41. ①번: 가장 짧은 선택지
202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19년 11월) 41. ⑤번: 가장 짧은 선택지
2021학년도 6월 모의평가(2020년 6월) 41. ①번: 가장 짧은 선택지(②번 선택지와 길이 동일)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20년 12월) 41. ③ 가장 짧은 선택지
2022학년도 9월 모의평가(2021년 9월) 41. ② 가장 짧은 선택지
1
2019학년도 9월 모의평가(2018년 9월) 41. ②번: 두 번째 짧은 선택지
4
2019학년도 6월 모의평가(2018년 6월) 41. ②번: 세 번째 길이 선택지
2019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18년 11월) 41. ③번: 세 번째 길이 선택지
2020학년도 6월 모의평가(2019년 6월) 41. ③번: 세 번째 길이 선택지
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21년 11월) 41. ②번: 세 번째 길이 선택지
3
2017학년도 6월 모의평가(2016년 6월) 41. ①번: 두 번째 긴 선택지
2021학년도 9월 모의평가(2020년 9월) 41. ④번: 두 번째 긴 선택지
2022학년도 6월 모의평가(2021년 6월) 41. ③ 두 번째 긴 선택지
8
2016학년도 9월 모의평가(2015년 9월) 41. ⑤번: 가장 긴 선택지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16년 11월) 41. ⑤번: 가장 긴 선택지
2018학년도 6월 모의평가(2017년 6월) 41. ⑤번: 가장 긴 선택지
2018학년도 9월 모의평가(2017년 9월) 41. ①번: 가장 긴 선택지
201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17년 11월) 41. ⑤번: 가장 긴 선택지
2020학년도 9월 모의평가(2019년 9월) 41. ①번: 가장 긴 선택지
2023학년도 6월 모의평가(2022년 6월) 41. ①번: 가장 긴 선택지
2023학년도 9월 모의평가(2022년 9월) 41. ③번: 가장 긴 선택지(②,③번 길이 동일)
-----------------------------------------------------------------------------------------------------------------------------------
<최근 7년 모평, 수능 제목 24번 + 41번 정답 counting>
2016학년도 6월 모의평가(2015년 6월) 21,22,41번 3개의 제목 문제가 출제되었습니다.
2017학년도 9월 모의평가(2016년 9월) 23번 1개만 제목으로 출제되었습니다.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16년 11월) 22,23,41번 3개의 제목 문제가 출제되었습니다.
11
2016학년도 6월 모의평가(2015년 6월) 41. ①번: 가장 짧은 선택지
2016학년도 9월 모의평가(2015년 9월) 23. ①번: 가장 짧은 선택지
201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15년 11월) 41. ①번: 가장 짧은 선택지
2017학년도 9월 모의평가(2016년 9월) 23. ①번: 가장 짧은 선택지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16년 11월) 23. ①번: 가장 짧은 선택지
202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19년 11월) 41. ⑤번: 가장 짧은 선택지
2021학년도 6월 모의평가(2020년 6월) 24. ①번: 가장 짧은 선택지
2021학년도 6월 모의평가(2020년 6월) 41. ①번: 가장 짧은 선택지(②번 선택지와 길이 동일)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20년 12월) 41. ③ 가장 짧은 선택지
2022학년도 9월 모의평가(2021년 9월) 41. ② 가장 짧은 선택지
2023학년도 6월 모의평가(2022년 6월) 24. ①번: 가장 짧은 선택지
5
2016학년도 6월 모의평가(2015년 6월) 22. ②번: 두 번째 짧은 선택지
2019학년도 9월 모의평가(2018년 9월) 41. ②번: 두 번째 짧은 선택지
2020학년도 9월 모의평가(2019년 9월) 24. ④번: 두 번째 짧은 선택지
202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19년 11월) 24. ②번: 두 번째 짧은 선택지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20년 12월) 24. ② 두 번째 짧은 선택지
5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16년 11월) 22. ④번: 세 번째 길이 선택지
2019학년도 6월 모의평가(2018년 6월) 41. ②번: 세 번째 길이 선택지
2019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18년 11월) 41. ③번: 세 번째 길이 선택지
2020학년도 6월 모의평가(2019년 6월) 41. ③번: 세 번째 길이 선택지
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21년 11월) 41. ②번: 세 번째 길이 선택지
6
2016학년도 6월 모의평가(2015년 6월) 21. ②번: 두 번째 긴 선택지
2017학년도 6월 모의평가(2016년 6월) 41. ①번: 두 번째 긴 선택지
2018학년도 9월 모의평가(2017년 9월) 23. ④번: 두 번째 긴 선택지
2021학년도 9월 모의평가(2020년 9월) 41. ④번: 두 번째 긴 선택지
2022학년도 6월 모의평가(2021년 6월) 24. ① 두 번째 긴 선택지
2022학년도 6월 모의평가(2021년 6월) 41. ③ 두 번째 긴 선택지
20
2016학년도 9월 모의평가(2015년 9월) 41. ⑤번: 가장 긴 선택지
201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15년 11월) 23. ①번: 가장 긴 선택지
2017학년도 6월 모의평가(2016년 6월) 23. ⑤번: 가장 긴 선택지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16년 11월) 41. ⑤번: 가장 긴 선택지
2018학년도 6월 모의평가(2017년 6월) 23. ①번: 가장 긴 선택지
2018학년도 6월 모의평가(2017년 6월) 41. ⑤번: 가장 긴 선택지
2018학년도 9월 모의평가(2017년 9월) 41. ①번: 가장 긴 선택지
201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17년 11월) 23. ⑤번: 가장 긴 선택지
201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17년 11월) 41. ⑤번: 가장 긴 선택지
2019학년도 6월 모의평가(2018년 6월) 23. ①번: 가장 긴 선택지
2019학년도 9월 모의평가(2018년 9월) 24. ④번: 가장 긴 선택지(⑤번 선택지와 길이 거의 비슷)
2019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18년 11월) 24. ①번: 가장 긴 선택지
2020학년도 6월 모의평가(2019년 6월) 24. ①번: 가장 긴 선택지
2020학년도 9월 모의평가(2019년 9월) 41. ①번: 가장 긴 선택지
2021학년도 9월 모의평가(2020년 9월) 24. ①번: 가장 긴 선택지
2022학년도 9월 모의평가(2021년 9월) 24. ③ 가장 긴 선택지 (②,③ 길이 동일)
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21년 11월) 24. ①번: 가장 긴 선택지
2023학년도 9월 모의평가(2022년 9월) 24. ②번: 가장 긴 선택지
2023학년도 6월 모의평가(2022년 6월) 41. ①번: 가장 긴 선택지
2023학년도 9월 모의평가(2022년 9월) 41. ③번: 가장 긴 선택지(②,③번 길이 동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