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구체 향가 : 풍요, 서동요, 도솔가, 헌화가
8구체 향가 : 처용가, 모죽지랑가
10구체 향가 : 원가, 원앙생가, 제 망매가, 찬 기파랑가 안민가, 천수대비가, 우적가, 혜성가
서동요(薯童謠)
善化公主主隱 선화공주님은
선화공주주은
他密只嫁良置古 남 몰래 정을 통해 두고
타밀지가랑치고
薯童房乙 서동 맛둥(서동)도련님을
서동방을
夜矣卯乙抱遺去如 밤에 몰래 안고 간다.
야의묘을포견거여
서동요(薯童謠)는 신라 진평왕(眞平王) 대(599년 이전)에 이루어진 동요이다.
서동이라는 개인의 창작으로 당시 아동들에게 불린 동요이기는 하나,
전대에 그러한 형식의 민요가 널리 불려 이것이 4구체의 향가로 정착된 것으로 추측된다.
따라서 서동요는 향가 중의 가장 오랜 형태로 그 형식은 4구체이다.
백제 제30대 무왕의 이름은 장(璋)이다.
그의 어머니는 홀로 남쪽 연못가에 집을 짓고 살던 중 그 연못의 용(龍)과 정을 맺어 그를 낳았다.
아명(兒名)은 서동(薯童). 그 도량이 비상하고 항상 서여(마)를 캐어 팔아서 생계로 삼고 있었으므로,
사람들이 아명을 그리 부른 것이다.
그는 신라 진평왕의 셋째 공주 선화(善花)가 아름답다는 말을 듣고 서울로 올라왔다.
그러고는 동네 아이들에게 마를 주며 노래 하나를 지어 아이들에게 부르게 했다.
내용은
선화공주가 밤마다 몰래 서동의 방을 찾아간다는 것이었는데
이 동요가 대궐에까지 전해지니 왕이 노하여 공주를 멀리 귀양 보내게 하였다.
떠날 때 왕후(王后)는 그 딸에게 순금 한 말을 주었다.
공주가 귀양길에 오를 때
서동이 도중에서 나와 맞이하여 시위(侍衛)해 가겠노라 했다.
공주는 그가 어디서 온지도 모르나 우연히 믿고 기뻐하며 정을 나누었다.
그 후에야 서동이란 것을 알았다. 함께 백제로 와서 공주는 어머니가 준 금을 내놓으며 생계를 꾀하려 하니
서동은 “내가 마를 캐던 땅에 이런 것이 흙처럼 쌓아 놓았다." 하니 공주가 놀라면서
그것을 신라의 궁궐에 보내드리자고 했다,
서동은 금을 산더미처럼 모아서 지명 법사의 신력을 빌려 하룻밤 사이에 신라로 보냈다.
진평왕이 그 신이(神異)함에 감동하였다.
서동이 이로부터 인심을 얻어 왕위에 올랐다.
이 작품은 신라의 향가이면서 그 배경설화는 백제의 것이다.
이런 점 때문에 이 노래는 본래는 서정 민요였다가
설화에 편입되는 과정에서 서사적으로 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서동요를 설화적, 사실적 문맥으로 파악할 때는 작자가 누구인지,
한 낫 마를 캐는 소년과 선화 공주 사이에 혼인이 가능한지 등이 중요한 문제가 될 수도 있다.
그러나 서정적 시가의 하나로 이해 될 때는 이런 문제가 중요하지 않다.
이 작품은 주객을 바꾸어 애정을 표현함으로써 자신의 마음을 상대 여인과 주변 인물들에게 알리는
공개적 구애(求愛)의 노래이다.
이별의 노래가 애정시의 주류를 이루어 온 우리 시가
문학에서 이런 구애시(求愛詩)의 전통은 거의 없었으며
‘서동요’와 ‘헌화가’에서 그 모습을 찾을 수 있을 뿐이다.
이 노래는 서술 내용에 소박하고 꾸밈없는 동심이 잘 나타나 있고
백제인들의 온화하고 따뜻한 마음을 엿볼수 있다.
요즘으로 말하면 어쩌면 서동요는 악플 같은 것으로 비난 받으며
한 때 떠도는 소문으로 무성하다가 소멸되었을 수도 있는데
백제인들은 아름답게 생명력을 불어 넣어주어 이별의 한을 노래하는 그 당시의 다른 시가와는 다르게
행복한 결말로 다다르게 한다.
2구가 기본을 이루는 전형적 민요의 모습을 보여 주기 때문에
구전되다가 기록된 민요이며 동요라 할 수 있다.
헌 화 가(獻花歌)
紫布 岩 乎 邊希 (자포암호변희)
딛 바호 호 자줏빛 바위 가에
執音乎 手 母牛 放 敎 遣 (집음호수모우방교견)
옴ㅁ온 손 암쇼 놓 이시 고 움켜쥔 손에서 암소를 놓게 하시고
吾肹 不喩 慚 肹 伊賜等 (오힐불유참힐이사등)
나 안디 붓글이시 나를 아니 부끄러워 하신다면
花肹 折叱可 獻乎理音如 (화힐절질가헌호리음여)
곶 것ㅅ가 받오리--다 꽃을 꺾어 바치리이다.
신라 성덕왕대(702~737)에
이름을 알 수 없는 노인이 수로부인(水路夫人)에게 꽃을 꺾어 바치며 부른 4구체 향가.
〈삼국유사〉 권2 수로부인조에 가사 전문과 배경설화가 실려 전한다.
수로부인의 남편 순정공(純貞公)이 강릉태수가 되어 부임해가던 중 바닷가에서 점심을 먹게 되었다.
깎아지른 벼랑이 병풍처럼 바다를 에워싸고 있었는데 벼랑 위에 철쭉꽃이 활짝 피어 있는 것을 보고
수로부인이 "저 꽃을 꺾어 바칠 사람이 없느냐"라고 하며 꽃을 원했다.
그러나 종자(從者)들은 모두 사람이 닿을 수 있는 곳이 아니라 하며 나서지 않았다.
이때 소를 끌고 가던 한 노옹(老翁)이 부인이 꽃을 바란다는 말을 듣고 이 노래를 지어 부르며 꽃을 꺾어 바쳤다.
노래의 성격과 해석에 대한 학설은 다양하며
특히 수로부인과 노인의 정체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수로부인은 절세의 미인으로
깊은 산과 큰 물을 지날 때마다 매번 신물(神物)에게 납치되곤 했다.
동해용도 미색을 탐내 납치해갔다가 뭇사람의 〈해가 海歌〉를 듣고 풀어주었다.
이렇게 수로부인은 범상하지 않은 사건과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단순히 아름답기만 한 보통사람이 아니라 무당으로 보아야 한다는 견해가 있다.
상층의 무당이 정치적 목적과 관련하여 민심을 무마하기 위해 굿을 하게 되었는데
〈헌화가〉는 이 굿에서 부른 굿노래라는 것이다.
노옹의 정체에 대한 견해는 다양한데
먼저 선승(禪僧)으로 보는 견해가 있다.
불가에서는 선승을 가리켜 목우자(牧牛子)라고 하며
그들이 수도하는 거처를 심우당(尋牛堂)이라고 한다.
따라서 암소를 끌고 가던 노옹은 오랫동안 잃었던 자기 마음의 소를 붙들고 가는 선승을 가리킨다는 것이다.
한편 노옹은 '어느 곳에 사는지 알 수 없다'라고 처리되었으며, 노인의 모습으로 등장한다.
이러한 점은 동양인의 상상 속에 있는 신의 모습과 상통하므로
노옹을 농경의례에 등장하는 농신(農神)으로 보기도 한다.
실제로 황해도 장연지방에서 행해지는 농경의례에는
산신 역의 사나이가 암소를 거꾸로 타고 오는 장면이 연출되고 있다는 것을 근거로 들었다.
도교적 측면에서는 배경설화의 노옹을 신선으로 보기도 했다.
도교에서는 신선을 현빈(玄牝)이라고 하고 검정 암소는 불멸영생의 상징물로 간주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불교적·원시종교적·도교적 시각으로 배경설화 기록을 볼 것이 아니라 문자 그대로 보아야 한다는
반성적 견해도 제기되었다.
노옹은 성스럽고 신비스러운 신적 존재가 아니라,
부근에서 농사를 지으며 그때 마침 암소를 끌고 가던 평범한 농부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아무도 할 수 없었던 벼랑 위의 철쭉꽃을 꺾어온 것은 그곳의 지형에 익숙했기 때문이라고 풀이했다.
〈헌화가〉는 꽃을 갖고 싶어하는 미인에게 꽃을 꺾어 바치며 부른 노래이다.
아름답고 젊은 상류층의 미인이 꽃을 갖고 싶어한다는 것과
초라하고 늙은 상민에 불과한 노옹이 암소를 끌고 간다는 것은 서로 대조를 이룬다.
노옹은 이러한 상황을 가사내용 중에서
'잡고 있는 암소를 놓게 하시고/
나를 아니 부끄러워하신다면'이라고 표현했다.
이런 점에서 〈헌화가〉는 사랑을 구하는 헌화의 노래가 아니라
미의 세계에 대한 추구를 본질로 하는 노래이다.
신라인들은 이 현화가를 위시하여
‘해가’ ‘처용가’등을 통해
인간적인 아름다움이 자연신을 포함하여 귀신까지도 감동시킬 수 있다는 생각을 표현하고 있다.
이는 곧 신라인들이 인간 중심의 미의식을 갖고 있었음을 말해 주는 것이다.
원왕생가(願枉生家)
月下伊底亦 (월하이저역) 달님이시여, 이제
西方念丁去賜里遣( 서방념정거사견) 서방까지가셔서
無量壽佛前乃(무량수불전내) 무량수불 앞에
惱叱古音(鄕言云報言也)(뇌질고음) 일러다가 사뢰소서
多可支白遣賜立(다가지백견사립) 다짐 깊으신 불존에 우러러
誓音深史隱尊衣希仰支兩手集刀花乎白良願往生願往生 원왕생 원왕생
(양수집도화호백량원왕생원왕생)
慕人有如白遣賜立(모인유여백견사립) 그릴 사람 있다고 사뢰소서
阿邪 此身遺也置遣(아사차신유야치견) 아아, 이 몸을 버려 두고
四十八大願成遣賜去(사십팔대원성견사거) 사십팔대원 이루실까?
신라 문무왕(文武王) 때 광덕(廣德이 지은 10구체 향가.
서방정토사상을 읊은 축도의 노래로, 달을 서방정토의 사자(使者)에 비유하여 불교의 신심을 노래했다.
삼국유사 권5 광덕 엄장조에 실려 전한다.
광덕은 짚신을 삼아서 살았는데
아내는 분황사 종이었고 광덕의 친구 엄장은 농사를 짓고 살았다.
광덕이 죽어 서방정토로 가자, 엄장은 광덕의 아내를 차지하려 했다.
그러자 광덕의 아내는 광덕이 평소 정좌하고 불도를 닦으며 한번도 동침하지 않았다 하며 엄장을 꾸짖었다.
엄장은 크게 뉘우치고 원효(元曉)에게서 쟁관법(錚觀法)을 배우고 마침내 서방정토로 갔다고 한다.
이 노래는 일찍이 광덕이 부른 노래로 되어 있는데
귀족불교를 넘어서서 평민에 이르는 화엄사상이 흐르고 있다.
이 노래는 기원가의 한 전형을 보여준다.
기원가는 예배 대상에 대한 청원이나 기구(祈求). 고백의 어법이 중심을 이룬다.
여기서는 예배 대상은 무량수불(아미타불)이며, ‘달’은 기도자(화자)가 위치한 현세와
아미타블의 세계인 서방정토를 잇는 중개자이다.
이 노래의 기도자는 먼저 ‘달’의 초월적 힘을 확인하면서, 그에게 자신의 소망을 무량수불께 아뢰어 줄 것을 청원한다.
이어서 제 5~8구에 그에게 자신의 청원이 서방정토로 왕생하는 데 있음을 합장하는 자세로 경건하게 아뢴다.
특히 아미타불에 대한 숭배 의식이 표면화되어 있는 제5구에서, ‘서원 깊으신’ 이라는 구절은
아미타블에게 중생 제도의 서원을 상기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제 9.10구에 이르러 서정적 자아를 왕성하게 하는 일에 아미타불을 묶어 놓으려는 강한 의지로 발전하게 된다.
이 노래에서 서정적 자아는 차안(此岸)에 살면서 피안(彼岸)의 서방정토에 있는 아미타불을 그리고 있다.
그런데 달은 차안과 피안을 오고 갈 수 있는 불법(佛法)의 사자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하여 시적 자아는 가슴 깊은 신앙심이 아미타불에게 전해지기를 달에게 빌고 있다.
즉 달을 통해 서정적 자아의 불교적 신앙심을 형상화한 것이다. 달은 어두운 밤을 밝혀 주는 광명의 달이며,
신적인 달이다. 밤의 어둠과 대조를 이루는 유일한 존재인 달은 어둠 속에서 빛을 발하는 속성으로
소망과 기원의 이미지를 내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