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요약 경조사가 있을 때 축하·조문의 뜻을 담아 일정 금액의 돈을 전달하기 위한 봉투
목차접기
정의
경조사(慶弔事)란 가정·사회생활에서 일어나는 경사스러운 일과 궂은일을 아울러 이르는 말이다. 결혼식이나 장례식 등이 대표적인 경조사이며 생일이나 회갑, 입학, 승진, 개업, 이사 등도 포함된다. 한국에서는 경조사가 있을 때 축하·조문의 뜻을 담아 일정 금액의 돈을 전달한다.
경조사 종류에 따라 전달하는 돈의 이름이 달라진다. 결혼식 등에서 축하의 뜻으로 내는 돈은 축의금(祝儀金)이라 하며, 장례식에서 고인의 죽음을 애도하는 뜻으로 내는 돈은 조의금(弔意金)이나 부의금(賻儀金)이라 한다. 부의(賻儀)는 초상집에 도와주는 의미로 돈이나 물품을 보내는 것을 말한다. 잔치나 초상 등 남의 큰일에 돈이나 물건을 보내어 도와주는 것은 부조(扶助)라 하며, 부조로 주는 돈은 부조금(扶助金)이라 한다. 종종 실생활에서 쓰이는 ‘부주’는 부조의 비표준어이다.
경조사 봉투에는 일반적으로 흰 봉투를 사용한다. 축의금의 경우 밝은 색상의 봉투를 사용할 수 있지만, 조의금 등 장례식에 낼 봉투는 반드시 흰색을 사용해야 한다. 경조사 봉투 안에는 단자를 포함하는 것이 예의이나, 최근에는 단자 없이 보내기도 한다.
단자(單子)
단자란 부조(扶助)나 선물 따위의 내용을 적은 종이를 말한다. 대개 돈의 액수나 선물의 품목, 수량, 보내는 사람의 이름 등을 적어 물건과 함께 보낸다. 조선 시대에는 타인에게 보낼 물품의 내용이나 어떤 사실을 적은 간단한 문서를 통칭해 단자라 불렀다. 전통적으로 조의금이나 축의금 봉투 안에 단자를 함께 동봉하여 보내는 것이 예의였지만, 최근에는 단자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도 많다. 단자는 주로 흰 종이에 쓰며, 돈을 감싼 다음 봉투에 넣어 보낸다. 특히 여러 사람이 모아서 돈을 낼 때는 봉투보다는 단자에 금액과 성명을 적어 보내는 것이 좋다.
경조사 봉투 쓰는 법
경조사 봉투에 글씨를 쓸 때는 검은색 필기구를 사용하며 주로 한자(漢字)로 기재한다. 봉투 앞면에는 세로로 경조 문구를 쓰고, 뒷면 아래쪽에 보내는 사람의 이름을 쓴다. 한글로 기재해도 상관없으며, 봉투 앞면에 문구와 이름을 함께 기재하는 경우도 있다. 경조사 봉투에는 보내는 금액 등은 기재하지 않는다.
경조사 문구는 경조사의 내용에 따라 달라지며, 경조사 봉투 혹은 단자에 적는다. 단자에는 축하·애도 문구 등을 한글 문장으로도 쓸 수 있지만, 봉투에는 문장 형태의 문구는 되도록 쓰지 않는다. 다만 병문안에는 문장으로 문구를 적기도 한다.
경조사 봉투 쓰는 법
ⓒ Daum 백과사전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단자 쓰는 법
단자는 세로로 적는 것이 기본이다. 단자를 쓸 때는 먼저 중앙에 세로로 금액을 적고, 오른편에는 축하·애도 등의 문구를 적는다. 금액을 적을 때는 ‘금(金) OO원’으로 적으며 영수증을 쓸 때처럼 ‘일금(一金)’이란 표현은 쓰지 않는다. 금액 왼편으로는 날짜와 이름, 받는 사람(귀하)을 오른쪽부터 순서대로 적는다. 보내는 사람의 이름 뒤에는 아무 것도 쓰지 않아도 되며, 만일 쓴다면 ‘근정(謹呈)’이라 쓴다. 근정은 물품이나 편지 따위를 삼가 드린다는 말이다. 단자를 반드시 한자로 쓸 필요는 없으며, 한자나 한글 중 하나를 선택해 통일하는 것이 좋다. 한글로 쓸 경우 문구를 문장 형태로 쓰는 것도 가능하다. 다 적은 후에는 글자가 접히지 않게 주의해서 단자로 돈을 감싼 다음 봉투에 넣는다.
결혼식 문구 쓰는 법
결혼식 문구 예시
祝結婚(축결혼): 결혼을 축하함
ⓒ Daum 백과사전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결혼식을 축하하는 문구로는 축결혼(祝結婚), 축화혼(祝華婚), 축성혼(祝聖婚), 하의(賀儀), 축성전(祝盛典) 등이 있다. 축결혼은 말 그대로 결혼을 축하한다는 뜻이며, 축화혼에서 ‘화혼’은 남의 결혼을 아름답게 이르는 말이다. 축성전은 성대한 의식을 축하한다는 의미이며, 축성혼은 성스러운 결혼을 축하한다는 뜻이다. 하의는 하례(賀禮)와 같은 말로, 축하하여 예를 차린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이 중에서도 축결혼과 축화혼을 주로 사용하며 대개 신랑측에서는 축결혼, 신부측에서는 축화혼을 쓰는 경우가 많다.
문구음의미
祝結婚 | 축결혼 | 결혼을 축하함 |
祝華婚 | 축화혼 | 결혼을 축하함 |
祝聖婚 | 축성혼 | 결혼을 축하함 |
賀儀 | 하의 | 축하(祝賀)하는 예식(禮式) |
결혼식 문구
장례식 문구 쓰는 법
장례식 문구 예시
賻儀(부의): 초상집에 부조로 보내는 돈이나 물품
ⓒ Daum 백과사전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장례식에서 애도를 표현하는 문구로는 부의(賻儀), 근조(謹弔), 조의(弔儀), 추모(追慕), 추도(追悼), 애도(哀悼), 위령(慰靈), 초상(初喪), 전의(奠儀), 향촉대(香燭代) 등이 있다. 부의는 초상집에 부조로 보내는 돈이나 물품을 일컫는다. 근조는 ‘삼가 조상(弔喪) 한다’는 뜻으로 몸가짐을 가지런히 해 조문한다는 뜻이다. 조의는 조문하는 의식을 말하며, 추모는 죽은 사람을 사모(思慕)한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추도와 애도는 모두 사람의 죽음을 슬퍼한다는 의미가 있다. 위령은 죽은 사람의 영혼을 위로한다는 뜻이다. 초상은 사람이 죽어 장사 지낼 때까지의 기간을 말한다. 전의는 제사에 맞는 법도를 의미하며, 향촉대는 상에 켜는 촛값 정도의 성의를 보낸다는 뜻이 담겨있다. 이 중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문구는 부의와 근조이다.
문구음의미
賻儀 | 부의 | 초상집에 부조로 보내는 돈이나 물품 |
謹弔 | 근조 | 삼가 조상함 |
弔儀 | 조의 | 조문하는 의식 |
追慕 | 추모 | 죽은 사람을 사모함 |
追悼 | 추도 | 죽은 사람을 생각하여 슬퍼함 |
哀悼 | 애도 | 사람의 죽음을 슬퍼함 |
慰靈 | 위령 | 죽은 이의 영혼을 위로함 |
삼가 故人의 冥福을 빕니다. |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
장례식 문구
생일 문구 쓰는 법
생일 문구 예시
祝生日(축생일): 생일을 축하함
ⓒ Daum 백과사전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생일을 축하하는 문구로는 축생일(祝生日), 축생신(祝生辰), 축수(祝壽), 축회갑(祝回甲), 축화갑(祝華甲), 축수연(祝壽宴), 축희연(祝禧宴)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축생일과 축생신을 가장 많이 사용하며, 상황에 맞게 다른 문구들을 쓰기도 한다. 이 중에서 축수는 오래 살기를 빈다는 뜻으로 주로 돌잔치 부조 봉투에 적는 문구다.
손윗사람의 생일에는 보통 축생신을 쓰지만 만 60세 생일인 환갑(還甲)을 축하할 경우 축회갑이나 축화갑, 축수연, 축희연 등을 쓴다. 환갑은 60년마다 같은 이름을 가진 해가 돌아오는 간지(干支)각주1) 가 한바퀴를 돌아왔다는 뜻이다. 회갑(回甲)은 환갑과 같은 뜻이며, 축화갑의 화(華)는 세월을 뜻하는 단어로 다시 돌아온 세월을 축하한다는 의미를 가진다.
문구음의미
祝生日 | 축생일 | 생일을 축하함 |
祝生辰 | 축생신 | 생신을 축하함 |
祝돌 | 축돌 | 처음 맞는 생일을 축하함 |
祝晬 | 축수 | 돌을 맞아 오래 살기를 빎 |
祝回甲 | 축회갑 | 61세 생신을 축하함 |
祝古稀宴 | 축고희연 | 70세 생신을 축하함 |
祝喜壽宴 | 축희수연 | 77세 생신을 축하함 |
祝八旬宴 | 축팔순연 | 80세 생신을 축하함 |
祝米壽宴 | 축미수 | 88세 생신을 축하함 |
祝白壽宴 | 축백수 | 99세 생신을 축하함 |
생일 문구
개업/창립 문구 쓰는 법
개업/창립 문구 예시
祝發展(축발전): 발전을 축하함
ⓒ Daum 백과사전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가게나 사업의 개업을 축하하는 문구는 축발전(祝發展), 축개업(祝開業), 축번영(祝繁榮), 축개원(祝開院), 축개관(祝開館) 등이 있다. 주로 사업의 발전을 기원한다는 뜻인 축발전을 많이 사용한다. 축개업은 가게와 사업의 시작을 축하한다는 뜻이며, 축번영은 사업이 번창하길 기원한다는 뜻이 있다. 축개원은 주로 병원이나 학원, 학교 등에 사용하며, 축개관은 도서관이나 박물관 등의 개관을 축하할 때 쓴다.
문구음의미
祝發展 | 축발전 | 발전을 축하함 |
祝開業 | 축개업 | 개업을 축하함 |
祝繁榮 | 축번영 | 번영을 축하함 |
祝開院 | 축개원 | 병원, 학원 등의 개원을 축하함 |
祝創立 | 축창립 | 회사 등의 설립을 축하함 |
개업/창립 문구
병문안 문구 쓰는 법
병문안 문구 예시
빠른 快癒(쾌유)를 빕니다.
ⓒ Daum 백과사전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병문안 시 부조금 봉투에는 주로 기쾌유(祈快癒), 기완쾌(祈完快) 등의 문구를 쓴다. 기쾌유는 빠른 쾌유를 기원한다는 뜻이며, 기완쾌는 병이 빨리 낫기를 바란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다른 경조사와는 다르게 병문안은 부조금 봉투에 문장으로 문구를 적기도 한다. 봉투 앞면에 ‘빠른 쾌유를 빕니다.’ 등의 문구를 정중하게 적고 뒷면에 이름을 적으면 된다.
문구음의미
祈快癒 | 기쾌유 | 쾌유를 기원함 |
祈完快 | 기완쾌 | 완쾌를 기원함 |
빠른 快癒를 빕니다. | 빠른 쾌유를 빕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