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철근 콘크리트 공사 2>
*모래
① 절건밀도 2.5kg/㎤ ② 흡수율 3% 이하
*잔골재
① 10mm체를 모두 통과하고 5mm체에 중량비 85%이상 통과하며, 0.08mm체에 모두 남는 골재
② 5mm체를 모두 통과하고 0.08mm체에 모두 남는 골제
*굵은골재
- 5mm 체에 모두 남는 골재
*굵은골재(조골재) 요구품질
① 입형은 구형으로 표면이 거칠것
② 유기 불순물이 없을 것
③ 입도가 적당할 것
④ 강도가 클 것
*경량골재
① 절건비중 2.0이하 모래, 자갈
② 잔골재 비중 0.8~1.7
③ 굵은골재 비중 1.2~2.0
④ 인공 경량골재 : 플라이애쉬, 고로Slag, 팽창성혈암, 팽창성점토
⑤ 천연 경량골재 : 화산자갈, 응회암, 부석, 현무암
⑥ 비구조용 경량골재 : 소성규조토, 팽창진주암
*골재의 품질요구 조건
① 표면이 거칠고 둥근 골재
② 견고한 것 (시멘트 강도 이상일 것)
③ 내 마모성 있을 것
④ 실적율이 클 것 (55% 이상)
⑤ 입도가 좋을 것
⑥ 석회석, 운모 함유량이 적을 것
*골재의 비중
①경량골재 2.0이하 ②보통골재 2.65이하 ③중량골재 2.65이상
*혼합물이 시멘트에 미치는 영향
① 유기불순물 : 강도, 내구성 저하, 시공연도 저하
② 염화물 : 철근부식, 응결촉진, 균열발생
③ 점토덩어리 : 강도저하, 수밀성저하, 부착력 저하
④ 당분함유 : 응결지연
⑤ 알카리량 : 0.6% 이하
*굵은 골재의 최대치수
① 일반적인 크기 : 20~25mm
② 단면이 큰 경우 : 40mm 이하
③ 무근 콘크리트 : 40mm이하
④ 부재 최소치수의 1/5이하, 철근 배근간격의 3/4이하
*콘크리트내 cl-에 대한 규정
① 잔골재의 염분함유량 0.04% 이하 (염소이온 기준 0.02%이하)
② 콘크리트 내부의 염소 이온량 : 0.3kg/㎥
*철근부식 3요소 및 방지대책
- 3요소 : ① 물 ② 공기 ③ 염분
- 방지대책
① 물시멘트비를 작게하여 수밀한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② 피복두께를 크게한다
③ 바다모래 사용시 물세적하고 방청제, 제염제를 사용한다
*철근 방청대책
① 염소이온 0.3kg/㎥ 초과시 철근 방청대책 (상수도물 0.04kg/㎥)
② 아연도금 처리
③ 시멘트 방청제 혼입
④ 에폭시 코팅 철근 사용
⑤ 골재에 제염제를 혼합 사용
*바다모래 골재의 철근부식의 방청조치
① 철근표면의 아연도금
② 방청제를 콘크리트에 혼입
③ 에폭시 코팅 철근사용
④ 골재에 제염제 혼합사용
*철근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이유
① 콘크리트 유동성 확보
② 재료분리 방지
③ 소요강도 확보
*콘크리트 배합 표시법 종류
① 중량배합
② 절대용적 배합
③ 표준계량 용적배합
*콘크리트 배합설계 목적
① 소요강도 유지
② 경제성 추구
③ 시공성 확보
④ 소요 내구성 확보
⑤ 단위용적 중량확보
⑥ 균질성, 수밀성 확보
⑦ 균열 저항성 확보
⑧ 철근이나 강재 보호성능
*콘크리트 용어설명
① 수량에 의해 변화하는 콘크리트 유동성 정도 (반죽질기, Consistency)
② 콘시스텐시에 의한 치어붓기 난이도 정도 및 재료 분리에 저항하는 정도 (시공연도, Workability)
③ 마감성의 난이도를 표시하는 성질 (마감성, Finish ability)
④ 거푸집 등의 형상에 순응하여 채우기 쉽고 재료분리가 일어나지 않는 성질 (성형성, Plasticity)
*시멘트 종류에 따른 최대강도 (K)
① K400 : 조강시멘트
② K370 : 보통, 고로A종, 플라이애쉬A종, 실리카A종
③ K350 : 고로B종, 중용열
④ K320 : 플라이애쉬B종, 실리카B종
*Slump 표준값
① 철근콘크리트 : 보통 80~150mm, 단면이 큰 경우 60~120mm
② 무근콘크리트 : 보통 50~150mm, 단면이 큰 경우 50~100mm
③ 펌프를 이용하여 타설시 150mm 이상
④ 유동화콘크리트 210mm 이하
*콘크리트 문제점에 대한 용어
① 수화반응이 지연되어 콘크리트의 응결 및 강도발현이 늦어진다 (한중 콘크리트)
② 슬럼프 로스가 증대되고, 슬럼프가 저하하고 동일 슬럼프를 얻기위해 단위 수량이 증가한다
(서중 콘크리트)
③ 슬럼프의 경시변화가 보통 콘크리트보다 커거 여름철 30분, 겨울철 1시간 정도 베이스 콘크리트의
슬럼프 (유동화 콘크리트)
④ 수화열이 내부에 축적되어 콘크리트 온도가 상승하고 균열이 발생하기 쉽다 (매스 콘크리트)
*콘크리트 타설순서
①기초 ②기둥 ③벽 ④계단 ⑤보 ⑥바닥판
*이어치기 시간간격
① 외기온도 25℃ 이상 : 2시간 이내
② 외기온도 25℃ 이하 : 2.5시간 이내
*이어치기 형태
- 수직 : ① 보 ② 슬래브 ③ 벽
- 수평 : ① 기둥 ② 벽
- 축에 직각 : 아치
*비빔에서 타설 종료까지 시간간격
① 외기온도 25℃ 이상 : 1.5시간 이내
② 외기온도 25℃ 이하 : 2시간 이내
*진동기 과다 사용시
① 재료분리 발생
② 콘크리트 공기량 감소
*이어붓기 주의사항
① 이음은 짧게하고 전단력이 적은 곳에서 한다
② 이음위치는 단면이 적은곳에 두고 응력에 직각방향으로한다
③ Bleeding 수에 의한 Laitance를 제거하며, Cold joint에 주의한다
④ 부득이 전단이 큰곳에는 장부 등 적절한 강재로 보강해야 한다
*시방서상 시공이음부 처리
① 철근으로 보강할 경우 철근지름의 20배 이상으로 하고 원형철근은 갈고리를 붙인다
② 온도변화, 건조수축 등에 의한 균열을 고려, 필요시 신축줄눈 시공
③ 시공 이음면은 쇠솔질, 쪼아내기 등으로 거칠게 한 후 시공
④ 콘크리트 타설전에 고압분사로 청소, 충분히 물축이기, 시멘트 풀, 부배합 모르터,
양질의 접착제 등을 바른 후 타설
*콘크리트 비실시 시공 Joint 처리방법
① 이음면 : 구조물의 강도에 영향이 없는 곳에서 응력방향에 직각으로
② 수평부재 : 골재 불량부분을 제거하고 부배합 모르타르를 바른다
③ 수직부재 : 재진동 다짐으로 생긴물을 제거하고 부배합 모르타르를 바른다
④ 이음부 : 거칠게 마감하고 콘크리트 치기전에 청소, 물축임, 촉이나 홈, 철근배근 후
수밀하고 밀실하게 처리
*이어붓기 자리의 발생결함
① 수밀성 저하우려 (누수 우려)
② 부착력 저하 우려
③ 강도(단단력) 저하우려
④ 균열발생 증가
*무근콘크리트 붓기 이음새 전단력 보강 방법
① 이어붓기 이음새의 촉 또는 홈을 둔다
② 석재를 삽입 보강
③ 철근을 삽입 보강
*Joint (줄눈)
① Cold joint : 시공과정 중 휴식시간 등으로 생긴 계획 안된 줄눈
② Construction joint (시공줄눈) : 타설능력, 작업환경을 고려하여 미리 계획한 줄눈
③ Control joint (조절줄눈) : 지반 등 안정된 위치에 있는 바닥판이 수축에 의하여 표면균열을 방지
④ Expansion joint (신축줄눈) : 온도에 의한 신축팽창, 부동침하 등불규칙 균열을 한곳에 집중 시킴
*조적조 벽체시공시 조절줄눈 위치
① 벽 높이가 변하는 곳
② 벽 두께가 변하는 것
③ 벽체와 기둥 및 붙임기둥의 접합부
④ 벽체와 기둥의 오목한 부분
⑤ 내력벽과 비내력벽의 접합부
⑥ 약한 기초의 상부벽
*신축줄눈 설치장소
① 구조물의 수평단면이 급변하는 곳
② 증축부위, 저층 고층건물의 접합부
③ 건물끝 날개형 건물
④ 50~60m 초과 건출
⑤ ㄴ자, ㄷ자, T자형 건물의 교차부
*신축줄눈 설치간격
① RC조 벽체 : 13m 내외
② 무근콘크리트 벽 : 8m 내외
③ 무근콘크리트 바닥 : 3~4.5m 간격
④ 얇은벽 : 6~9m 간격
⑤ 두꺼운 벽 : 15~18m 간격
*신축줄눈 설치형식
① 막힌줄눈 ② 트인줄눈 ③ 맞댄줄눈 ④ 침하줄눈
*양생(보양)시 주의사항
① 일광의 직사, 풍우, 상설에 대해 노출면 보호
② 콘크리트 충분히 경화될 때까지 충격, 하중을 가하지 말 것
(타설 후 3일간 보행금지, 부득이 한 경우 1일간)
③ 충분한 온도(5℃ 이상)를 유지하고 급격한 건조 방지
④ 수화작용이 충분히 되도록 습윤상태 유지 (5일이상 습윤양생, 조강 포틀랜드 시멘트는 3일 이상)
*콘크리트 양생방법
① 습윤양생 : 충분히 살수하고 방수지를 덮어서 봉합양생
② 증기양생 : 단기간 강도를 얻기 위해 고온 고압 증기양생
③ 전기양생 : 저압 교류에 의해 전기저항의 발열 양생
④ 피막양생 : 피막 양생제 살포로 수분증발 방지 양생
⑤ 고주파얀생 : 거푸집과 콘크리트 윗면에 철판을 놓고 고주파
⑥ 고압증기양생 : 압력용기인 Autoclave 가마에서 고온증기 양생
*경화전 균열 (초기균열)
① 소성수축균열 : 표면의 급격한 건조
② 소성침하균열 : 비중차이로 발생, 블리딩이 주된 요인
③ 온도균열 : 수화열에 의한 온도상승으로 팽창수축 반복
④ 시공중 균열 : 거푸집 변형, 동바리 침하, 경화전 진동, 충격
*콘크리트 균열 보수법
① 표면처리법 : 보통 진행정지된 2mm 이하의 균열에 폴리머시멘트, 모르타르로 보수
② 주입공법 : 보통 0.2mm 이하 균열에 대하여 20~30cm 간격으로주입구멍 천공후
저점도 epoxy 20ml 정도를 주입
③ 충전공법 : 보통 0.5mm 이상 큰 균열에 대하여 V, U형으로 폭 10mm 콘크리트를 절단 후
실링제, 에목시, 폴리머 모르타르로 충전
*각종콘크리트
① 한중 : 평균기온 4℃이하의 동경위험 기간내 시공하는 콘크리트
② 서중 : 일평균 25℃이상 기온에서 시공하는 콘크리트
③ Mass : 콘크리트 내부 최고온도와 외부 기온차가 25℃이상으로 예상될때 시공하는 콘크리트
④ 경량 : 경량골재를 사용한 설계기준강도 15~24MPa에 속하는 콘크리트
⑤ ALC : 10기압, 180℃ 포화증기에서 16~20시간 양생한 경량기포 콘크리트
⑥ 쇄석 : 쇄석 골재를 사용하여 강도를 10~20% 증가시킨 콘크리트
⑦ 고강도 : 물시멘트비를 작게하여 일반콘크리트 40MPa 이상, 경량콘크리트 27MPa 이상 인 콘크리트
⑧ PS : 외력에 대한 응력으로 PC 강재를 보강한 콘크리트
*각종 시멘트
① 레미콘 : 콘크리트 제조설비를 갖춘 전문공장으로부터 구입할수 있는 굳지 않은 콘크리트
② 중량 콘크리트 : 주로 생물체를 보호 위해 X선, γ선 및 중성자선을 차폐할 목적으로 쓰이는 콘크리트
③ 수밀 콘트리트 : 콘크리트 자체 밀도를 높여 특히 수밀성이 높고 투수성이 작은 콘크리트
④ 해양 콘크리트 : 해수작용에 내구성이 있는 콘크리트
⑤ 수중 콘크리트 : 일반수중이나 현장말뚝, 지하 연속벽에 사용되는 콘크리트
⑥ 프리팩트 콘크리트 : 골재를 먼저 다져넣고 파이프를 통해 시멘트를 적당한 압력으로
⑦ 제물치장 콘크리트 : 외장을 하지 않고 노출면 콘크리트가 자체 마감되는 콘크리트
⑧ 진공 콘크리트 : 콘크리트 경화전에 진공매트로 수분과 공기를 제거와 다짐작업으로 초기강도
⑨ 매스 콘크리트 : 부재 단면치수가 80cm 이상이고, 콘크리트 내외부 온도차가 25℃ 이상인 콘크리트
⑩ 고강도 콘크리트 : 건축물 20층 이상 보통 설계기준 강도가 400kg/㎠ (40MPa) 이상인 콘크리트
⑪ 쇼트 크리트 (Sprayed 시멘트) : 모르타르를 압축공기로 분사하여 바르는 건나이트 라고도 한다.
*레미콘의 종류
① Central mixed : 믹서 비빔완료 ⇒ 트럭교반 ⇒ 현장운반
② Shrink mixed : 믹서에서 반비빔 ⇒ 운반도중 반비빔
③ Transit mixed : 트럭믹서에 재료공급 ⇒ 운반도중 완전비빔
*레미콘 규격 : Remicon (25-210-18)
① 25 = 골재최대치수 ② 210 = 압축강도 ③ 18 = Slump 값
*용어해설
① 골재는 전혀 사요하지 않고 물, 시멘트, 발포제만으로 만든 경량 콘크리트 (Thermo-con)
② 온도변화에 따른 콘크리트의 수축으로 생긴 균열을 최소화하기 위한 철근으로 하중지지와는
관계없이 주로 1방향 Slab의 장변방향에 배근된다 (온도철근)
③ 슬립바(Slip bar) 처리방법 : 두 슬래브의 수평유지 목적으로 슬래브 중심선 방향으로
이동할수 있도록 삽인한 철근으로 함쪽은 고정하고 다른쪽은 아스팔트나 유제를 칠한 다음
Cap을 씌워 이동이 되도록 한다
④ 수직, 수평 부재의 접합부 보강을 위하여 단면을 크게 한 부분 (헌치, Haunch)
⑤ 일정 중량이 될 때까지 110℃ 이하의 온도로 가열 건조한 상태 (절건상태)
⑥ 분탄이 보일러내에서 연소할 때 부유하는 회분을 전기집진기로 채집한 표면이 매끄러운 구형의
미세립 분말 (플라이 애쉬)
⑦ 선철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부유물질인 Slag를 냉각시켜 분말화 한것 (고로 Slag)
⑧ 가수후 발열하지 않고 10~20분 정도 굳어졌다가 이후 순조롭게 경화가 진행되는 이상응결 현상으로
석고에 기인한다 (헛응결)
⑨ AE제 사용에 의한 독립된 미세기포로써 볼베어링 역할을 한다. 3~6% 정도 들어있는 균일한 분포의
공기기포로 연행공기이다. (Entrained Air)
⑩ 일반 콘크리트에 자연적으로 1~2% 정도 함유된 상호연속된 부정형의 기포로 갖힌공기
(Entrapped Air)
⑪ 물, 시멘트, 골재의 각재료를 정확하게 계량하여 자동으로 혼합해주는 생산기계설비 (Batcher plant)
⑫ 아직 경화하지 않은 콘크리트를 다시 비벼 쓰는 것 (다시 비빔)
콘크리트가 응결을 시작한 것을 다시 비벼 쓰는 것 (되비빔)
⑬ 화재와 같이 극히 단시간에 800~1,000℃의 고온에 견딜 수 있는 콘크리트 (내화 콘크리트)
공업용 용광로 등 1,000℃가 넘는 온도에서 장시간 반복 사용되는 콘크리트 (내열 콘크리트)
⑭ 콘크리트의 슬럼프를 시험할 때 사용되는 높이 30cm, 하단 안지름 20cm, 상단 안지름 10cm의
원추형 철제통 (슬러프 콘)
⑮ 슬럼프 손실 :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콘크리트의 반죽질기가 감소하는 현상으로
콘크리트 혼홥물에서 수화작용, 증발 등 자유수가 감소함에 따라 발생한다.
⑯ 콘크리트에 일정한 하중이 계속 작용하면 하중의 증가없이도 시간의 경과에 따라 변형이
증가하는 현상 (Creep)
⑰ 대형 현장말뚝 시공, 수중 콘크리트 타설시 쓰이는 안지름 25~30cm 정도의 끝이
항상 닫혀있는 철관 (Tremie pipe)
⑱ 모르타르, 콘크리트에 명반과 비누물의 뜨거운 용액을 여러번 시간간격을 두고 바르는 방법으로
주로 수밀콘크리트에 사용되는 방수공법 (실베스터 법)
⑲ 콘크리트 내부에 연속공극을 가져 투수성, 투기성을 가진 환경문제에 대응 (녹화 콘크리트)
⑳ 건물의 경량화를 목적으로 Slab 내부에 일 방향으로 연속한 구멍이 있는 PSC 슬래브,
경량이며 휨 저항성이 크다 (중공 Slab)
*추가 용어 해설
① 타일붙임 몰탈의 기본 접착강도를 얻을 수 있는 한계시간 (Open time)
② 방사선 차폐용 모르타르 (Barite 모르타르)
③ 마그네시아 시멘트에 콜크, 안료 등을 가하여 혼합한 바닥 미장재료 (Lignoid stone)
④ 가스 절단이나 용접시 비산하는 물질이 금속표면에 경화된것 (Spatter)
⑤ 인조석 바름 후 경화시켜 정으로 잔 다듬하여 마무리 하는 것 (Cast Stone)
⑥ 지하연속벽 (Slurry Wall) 시공시 굴착작업에 앞서 굴착구 양측에 설치하는 것으로 인접지반의
붕락을 방지하는 가설벽 (Guide Wall)
⑦ 철근의 단면을 산소-아세틸렌 불꽃 등을 사용하여 가열, 기계 압력을 가하여 맞댄이음 (가스압접)
⑧ 불투수성 피막을 형성하여 방수하는 공사를 총칭 (Membrane 방수)
⑨ 블리딩과 재료분리에 대한 저항성을 뜻하는 궂지 않은 콘크리트 성질을 나타내는 용어 (안정성)
⑩ 굳지얺은 콘크리트에서 변형능력의 총칭 (유동성)
⑪ 콘크리트를 부어 넣은 후 침강으로 인한 균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표면 다짐 (Retamping)
⑫ 칼슘 클링커에 광재 및 포틀랜드 클링커를 넣어 만든 시멘트로 무수축 시멘트 (팽창 시멘트)
⑬ 기둥중심에서 1ㅡ 정도 떨어져 치는 먹줄 (비킴먹)
*레미콘 주문시 반드시 알려주어야 하는 사항
① 주문수량 (㎥)
② 콘크리트 강도 (kgf/㎠)
③ 골재의 최대 치수 (mm)
④ 슬럼프 값 (c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