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가 보존하는 세계문화유산
창덕궁은 서울에서 두 번째로 유네스코 선정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가장 먼저 종묘가 선정됐고 이어 창덕궁이 등재됐다. 자랑스러운 우리의 문화이자 세계가 함께 보존하고 지켜가는 문화재다. 유네스코 선정 세계문화유산은 진정성과 뛰어난 보편적 가치를 전제로 한 10가지 조건 가운데 하나 이상을 충족시켜야 하는데, 창덕궁은 ‘동아시아 궁전 건축사에 있어 비정형적 조형미를 간직한 대표적 궁으로 주변 자연환경과의 완벽한 조화와 배치가 탁월하다’는 이유로 선정됐다. 창덕궁은 평지가 아닌 산자락에 지어진 궁궐로 전체 면적의 2/3가 북악산의 응봉산 자락에 있다. 산세를 적절히 활용한 궁궐인 셈이다. 창덕궁 후원의 가치가 각별한 이유도 이같은 자연의 지세를 거스르지 않고 녹아들었기 때문이다. 가장 한국적인 건축과 조경의 특징이다.
창덕궁은 1405년 태종에 의해 세워졌다. 경복궁에 이어 두 번째로 지어진 조선 왕조의 이궁(離宮)이었다. 하지만 조선 왕조의 역사를 돌이켜보면 가장 오랜 시간 법궁(法宮)의 역할을 한 궁궐이다. 조선은 임진왜란을 겪으면서 경복궁과 창덕궁을 모두 잃었다. 그 후 경복궁은 터가 불길하다는 이유로 방치됐고, 광해군 2년(1610)에 재건된 창덕궁은 약 270년간 조선의 법궁으로 쓰였다. 이웃한 창경궁과 특별한 경계를 두지 않고 사용했다. 하지만 대부분의 조선 궁궐이 그렇듯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훼손됐다.
1917년 창덕궁 대조전(大造殿)에서 큰 화재가 발생해 내전의 대부분이 손실되고 말았다. 이에 일제는 창덕궁을 복원한다는 미명 아래 경복궁의 전각을 헐어서 사용했다. 경복궁의 강녕전(康寧殿)과 교태전(交泰殿)을 허물어 창덕궁의 희정당(熙政堂)과 대조전 등을 지었다. 창덕궁과 경복궁을 동시에 훼손시킨 것이다. 순종의 승하 이후에는 더욱 심하게 훼손됐다. 창덕궁은 1991년에 들어서야 복원사업이 진행됐다. 그리고 1997년에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며 그 가치를 다시금 입증했다.
옥류천에서 낙선재까지
창덕궁은 1960년 일반에 개방했다. 하지만 훼손이 심해지자 1977년부터 3년간 폐쇄했고 1979년부터 오랜기간 안내원 제도를 시행했다. 경복궁이나 덕수궁 등 여타의 궁궐과 달리 안내원의 지시를 따라야 하며, 자유로운 관람이 허락되지 않는 것이 창덕궁 관람이었다. 그러나 2010년 5월부터 관람제도가 바뀌어 현재는 자유로이 관람이 가능하다.
창덕궁은 크게 두 가지 관람 프로그램을 가진다. 첫 번째는 일반 관람이다. 정전인 인정전(仁政殿)을 중심으로 낙선재(樂善齋)까지 아우르는 기본적인 관람 코스다. 또한 안내원의 통제 없이 궁궐 곳곳을 자유로이 감상할 수 있다.
낙선재는 헌종의 서재 겸 사랑채로 쓰이던 공간이다. 검소한 헌종의 생활과 서양 문물에 대한 관심을 읽을 수 있다. 소박한 단청과 청나라의 영향을 받은 창살과 벽체 무늬가 두드러진다. 곁에 있는 석복헌(錫福軒)은 경빈의 처소로 궁궐 안에 후궁을 위해 건물을 지은 건 이례적이다. 낙선재에는 수강재(壽康齋)도 있다. 조선의 마지막 황녀로서 일제강점기의 아픔을 마지막까지 간직했던 덕혜옹주의 거처였다.
두 번째는 후원 특별 관람으로 후원의 초입 부용지에서 후원의 백미 옥류천에 이르는 코스다. 후원은 창덕궁의 뒤편에 자리한 궁궐 정원으로 일제에 의해 비원(秘苑)이라고 불리기도 했으나 후원이 가장 일반적인 표현이다. 북쪽에 있다 하여 북원(北苑)이라고도 한다. 후원의 아름다움은 자연을 거스르지 않는 데에 있다. 생태계의 보존 상태가 좋고 연못과 정원 등에는 차경의 흔적이 두드러진다.
옥류천은 그 제일 안쪽에 자리한 계곡으로 인조 14년(1636)에 소요암을 깎아내고 유상곡수연(流觴曲水宴)을 즐기기도 했다. 소요암에는 인조가 새긴 옥류천(玉流川) 세 글자가 또렷하다. 소요정(逍遙亭), 태극정(太極亭), 청의정(淸漪亭) 등이 자리한다. 그 가운데 청의정은 볏짚으로 지붕을 인 정자로 주변에는 왕이 직접 농사를 지은 논이 있다.
-
창덕궁의 정문인 돈화문(敦化門) 전경
-
창덕궁의 정전인 인정전(仁政殿)과 인정문(仁政門)
-
창덕궁의 정전인 인정전(仁政殿)
-
창덕궁의 정전인 인정전(仁政殿)
-
진선문(進善門)에서 바라본 인정문(仁政門)과 숙장문(肅章門)
-
왕과 신하가 연회를 베풀고 활쏘기를 했다는 영화당(暎花棠)
-
영화당(暎花棠) 앞은 후원 입구의 쉼터이기도 하다.
-
2층 겹육모지붕의 정자인 후원의 존덕정(尊德亭)
-
부용지(芙蓉地)와 접한 부용정(芙容亭)은 열 십(十)자 모양의 특이한 구조를 가진 정자다.
-
부용지(芙蓉地) 너머 주합루(宙合樓)와 서향각(徐香閣) 풍경은 창덕궁 후원의 백미다.
-
1996년까지 덕혜옹주가 기거했던 낙선재(樂善齋)
-
옥류천의 중심에 자리한 소요정(逍遙亭)
-
유상곡수연을 즐겼다는 소요암과 소요정(逍遙亭) 모습
-
소요암(逍遙岩)에 새겨진 옥류천(玉流川) 세 글자는 인조의 친필이다.
-
옥류천 제일 위쪽에 있는 태극정(太極亭) 모습
-
옥류천 가는 길에 있는 '학자들이 모인다는 뜻'의 취규정(聚奎亭)
-
주합루(宙合樓) 오르는 길에 있는 어수문(魚水門)
-
궁궐 다리 가운데 가장 오래된 금천교(錦川橋)와 진선문(進善門)
창경궁 창경궁 대온실 서울 봄나들이 가기좋은곳 추천 ~
어제 창경궁 갔었습니다. 날씨좋고 따뜻한 봄날씨 였습니다. 여기 저기 파릇 파릇 하게 봄의 향기가 피어나고 있었습니다. 진달래 는 곳곳에 피어있었고 미선나무꽃도 피어오르고
곳곳에 새싹이 올라오더군요. ~ 따뜻해서인지 춘당지에는 원앙새가 오고 가고
따스한 햇볕맞으며 산책하는 사람들로 고궁이 빛나더군요.
이번주말 다음주중이면 꽃들이 더올라오겠네요. 나무들도 파릇 파릇 해질듯 싶구요.

봄나들이 로 벚꽃구경가기전에 고궁 으로 봄나들이 가면 좋을것 같습니다.
창경궁 의 고운꽃 ~ 진달래는 활짝피었거든요.
곳곳에 작은꽃들 도 보물 찾기 하듯 숨겨져 있고 ~ ( 위 - 제비꽃)
(adsbygoogle = window.adsbygoogle || []).push({});
산수유 와 생강나무 그리고 진달래 등 드문드문 피어있습니다.
소나무숲의 대나무인가요~ ? 햇빛받으니 이쁘더라구요
춘당지 ~ 의 원앙새 찍는 사람들 ..
모이를 주는지 사진찍으시는 분들 앞에 원앙새들이 모여 들었습니다.
원앙새들..
창경궁 대온실에 도착했습니다.
온실이 라 따뜻했구요 다양한 식물들 꽃들 이름모를 꽃들..
대부분 표말이 붙어 있어서 식물 이름 알기는 좋더라구요.
창경궁 대온실
이쁜꽃 금낭화
영산홍 인가 ?
철죽류
동백꽃
깽깽이풀 꽃
철쭉
창경궁 대온실의 예쁜꽃들..
온실근처 에 여러 식물 자생식물 심겨진곳 - 산마늘
노란 민들레
히어리
창경궁 나가는중에 ~ 파릇 한 잎을 내민 나무 ..
주말 봄나들이 갈때 창경궁 등 고궁 가보는것도 생각해보세요. ~
댓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