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육절통(六節痛)
1. 항통(項痛:頸部疾患)
1) 태양경
2) 양명경
3) 소양경
1. 해부학적 구조
경추를 비롯한 척추는 모두 33개의 추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각 경추 7개, 흉추 12개, 요추 5개, 천추 5개, 미추 4개로 구성된다.
특징적인 척추골은 한 개의 추체와 두개의 척추경, 2개의 추궁판으로 구성되며 뒷부분에서 극돌기가 있고, 양 옆으로 두개의 횡돌기와 상하관절 돌기가 있다. 각 관절 돌기는 서로 인접한 추체와 활막관절을 형성하며 관절면의 방향에 따라 운동의 정도와 방향이 결정된다. 또한 극 돌기와 횡돌기는 여러 근육의 부착점이 된다. 척추경은 척추의 전방부와 후방부를 연결하는 원통형의 구조물로서 그 위치 및 각도에 약간씩 차이가 있다. 최근 흉요추부에 척추경나사의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이에 대한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척추경의 크기는 횡단면으로 보았을 때 제 5요추가 가장 크고 제 5흉추가 가장 작으며, 시상면으로 볼 때는 제 11흉추가 가장 크고 제 1흉추가 가장 작다.
2. 경추질환
1) C-spine HNP
일반적으로 경추 추간판 탈출증은 두 가지 의미로 사용된다. 하나는 수핵의 팽륜이 나 탈출로 인해 신경근이나 척수가 압박되는 소위 연성 추간판과, 다른 하나는 골관절증에 의해 형성되는 골극에 의해 척수나 신경근이 압박되는 경성 추간판이 그것이다. 경추에서는 구상돌기가 있어 수핵이 이 부위로 탈출되는 것이 예방되며 척추종판의 모양이 수핵의 탈출을 어느정도 예방하기 때문에 요추에서와 같이 수핵탈출증이 흔치 않으며, 대부분의 경추신경근 압박은 골관절염에 의한 골증식체에 기인한다.
경추추간판은 제 1경추와 제 2경추 사이에는 존재하지 않으며, 제 7경추와 제 1흉추까지 6개의 추간판이 있다. 경추부 추간판은 전방이 후방보다 약간 두꺼워 정상적인 경추전만에 기여하고 있다. 수핵은 추간판의 약간 앞쪽에 치우쳐 위치하고, 추간판의 전면과 후면은 전방 종인대와 후방 종인대에 의해 보강되어 있다. 출생시에는 관찰되지 않지만 10대가 되면서 구상돌기와 이와 맞닿는 상부척추체사이의 섬유륜에 균열이 생겨 이곳에 초자연골과 활막이 생기면서 형성되는데, 이 관절을 구추관절 또는 Luschka관절이라 한다.
연성 및 경성 추간판은 모두 추간판의 퇴행성 변화에 기인한다. 그 결과 추간판 간격은 좁아지고 경추는 불안정해지며 추체와 후방관절에는 골극이 형성되어 후방관절과 Luschka관절사이를 지나는 신경근은 전후방 골극에 의해 압박을 받게 된다. 때에 따라서는 추간판 부위에서 추체를 가로지르는 횔골극이 형성되며, 이때에는 척수가 압박되어 이로인한 증상이 나타난다.
섬유륜의 팽륜이나 수핵의 탈출은 퇴행성 변화의 초기에 볼 수 있는 현상이므로 경성 추간판의 연령분포가 50세 이후에 호발하나, 연성추간판은 30-40대에 호발하며, 흡연은 섬유륜의 팽륜이나 수핵의 탈출을 조장하는 것으로 보인다.
경추에서의 신경근은, 척수에서 기시하여 직각으로 주행하여 같은 위도상의 추간공으로 빠져나오기 때문에, 제 6-7경추 추간판 탈출시에는 제 7경추 신경이 압박 받는다.
※ 임상소견 : 경추추간판 탈출증의 초기증상은 경추부 동통과 강직이다. 이러한 증상은 소실과 재발을 반복하다가 후에는 견관절 동통, 견갑골 내측을 따라 방사되는 통증, 전흉부동통, 상완부 및 전완부 동통과 쇠약, 수지의 감각둔화 등을 수반한다.
이학적 소견상 경부 근육의 강직, 경부 운동제한 등이 보인다 . 머리를 수직으로 눌러 추간공을 좁혀주면 증상이 악화되고, 머리를 견인하면 증상이 완화하기도 한다. 특히 머리를 누른 상태에서 이환된 쪽으로 돌리면 쉽게 증상이 재현된다(Spurling 검사법). 이환된 신경근이 나오는 경추부위를 압박하면 상완부 및 전완부 동통이 재현되거나 악화된다. 압박되는 신경근이나 척수부위에 따라 증상이 달라져, 제 6경추와 제 7경추 사이의 추간판이 탈출될 경우는, 제 7경추신경이 압박됨으로 삼두박근의 근력이 약화되고, 이의 건반사가 소실되거나 약해진다. 또한 제 2수지와 제 3수지의 감각이 둔화되고, 상완외측과 전완배부에 통증이 있다. 제 7경추와 제 1흉추사이에 추간판이 탈출된 경우에는 제 8경추신경이 압박되어 척측수근굴근, 심지굴근, 무지의 내전근, 수지신전근, 사완 삼두근의 근력이 약화된다. 제 4수지와 제 5수지의 감각이 둔화되며 상완과 전완부의 내측에 동통이 유발된다. 추간판이 중앙으로 돌출되거나 경추체의 추간판 부위에서 추체를 가로지르는 골극이 형성되면 신경근보다는 척수를 압박하게 된다. 이때에는 양측상지나 때에 따라서는 사지의 근력약화와 감가이상이 초래되고, 경추를 굴곡시키면 족저부의 감각이상이 악화된다. 경추의 신전운동이 제한되며, 심하면 보행장애, 양측하지의 강직성 마비등이 초래되기도 한다.
※ 진 단 : 문진과 이학적 검사에 의해 가능하나 정확한 부위와 정도 등을 알기 위해서는 X-선, 근전도 검사, 척수조영술 등이 필요하다. 근래에는 CT, MRI로 더욱 정확한 진단이 가능하게 되었다.
감별을 요하는 질환으로는, 견관절 동통 및 동통성 견구축증(寒性肩臂痛)을 유발하는 질환증과 흉곽출구 증후군, 주관절 터널증후군 등이 있으며, 척수를 침범하는 다발성 경화증, 근위축성 측색경화증, 척수종양, 척수공동증 등이 있다.
※ 치 료 : 대부분 고식적인 방법으로 치료가 가능하다. 침상안정, 경부견인, 소염진통제의 사용, 온 찜질 등의 열치료 등을 시행한다. 경부보조기로 경부운동을 제한하는 것도 좋다. 동통이 경감하는 대로 동통이 악화되지 않는 범위내에서 경부운동을 시행한다. 동통이 너무 심하여 고식적인 방법이 불가능하거나, 신경학적 변화가 호전이 없거나 악화되면 수술을 시행한다. 수술은 병변의 위치나 정도에 따라 전방 또는 후방 도달법을 사용하여 척추전방 유합술, 골극절제술, 후방감압술, 후궁절제술 등을 시행한다.
2) 사경
; 경부의 회전 및 굴곡 변형으로 머리가 한 쪽으로 기울고 턱이 돌아가는 변형을 말하며, 그 원인에 따라 선천성 사경과 후천성 사경으로 나뉜다.
① 선천성 사경
선천성 사경은 흉쇄유돌근이 구축되고, 이로 인해 머리가 환측으로 기울고 턱은 건측으로 돌아가는 병변이다.
② 후천성 사경
후천성 사경의 원인으로는 경추자체의 이상에 의한 경우와, 경추에는 이상이 없으나 신경학적 또는 심리적 원인에 의한 경우가 있으며, 화상과 같이 연부조직의 구축에 의한 경우도 있다. 경추자체의 이상으로는 외상에 의한 염좌, 아탈구, 탈구, 골절 등이 있으며, 염증성 질환으로는 척추결핵, 화농성 척추염, 류마토이드 관절염, 강직성 척추염, 골관절염 등이 있고, 경추종양에 의해서도 사경이 있을 수 있다. 신경학적 또는 심리적 원인으로는 경렺성 사경, 히스테리성 사경, 척수종양이나 경추신경의 마비에 의한 마비성 사경, 임파선의 급성 감염때 볼수 있는 반사성 사경 등이 있다.
5-10세 유년기에 흔히 볼 수 있는 급성 사경의 원인으로는 외상, 감염, 편도선염, 심한 수두, 척추결핵 등을 들 수 있다. 외상은 하위경추보다 주로 환축관절의 이상에 의한 것이며, 심하지 않은 외력에도 사경은 생길 수 있다. 외상 후 경추근육의 반사성 경련에 의해 수시간 후에 비로소 사경이 생기기도 한다. 감염에 의한 경우에는 경부의 동통외에 오한과 발열 등을 볼 수 있고, 연하운동이 여려우며 심한 경우 패혈증에 빠지기도 한다.
이학적 소견상, 한쪽 흉쇄유돌근에 동통과 압통이 있고, 근육이 강직되어 있으며, 심한면 머리가 환측으로 기울어지고 턱은 건측을 향한다. 억지로 자세를 바르게 하려면 흉쇄유돌근에 심한 동통이 따른다.
X-Ray소견상 환추축 관절이 비대칭으로 보여 아탈구를 의심할 수 있으며, X-Ray촬영때 목보다는 머리의 위치에 맞추는 정확한 촬영술이 필요하다. 원인에 대한 치료가 필요하며 예후는 양호하다.
20-35세 성인에게서 급성사경은, 대부분 경추골관절염의 초기증상으로 외상에 기인하기도 하지만 불량한 자세로 여러시간 작업한 후 흔히 발병하며, 남녀의 비는 비슷하다. 흉쇄유돌근과 승모근에 심한 압통이 있으며 경추운동은 한 방향으로는 제한되어 있으나 다른 방향으로는 가능하다. 목은 환측으로 기울기도 하고 건측으로 기울기도 하며 회전 변형은 없다. 앉아 있으면 동통이 더욱 심해지는 경향이 있고, 수일 동인 지속되다가 1-2주후면 완치된다. X-선 소견상 외상에 의한 경우는 환축추 관절의 아탈구 소견을 보일 수도 있으나 대부분 근육 강직에 의한 전만 소실 이외의 특이 소견은 없다. 안정과 소염 진통제 복용, 물리 치료가 도움이 된다.
경련성 사경은, 중추신경계나 경추 신경근의 병변에 의한, 경부근육의 불수의적인 주기적 혹은 간헐적 수축으로 인하여 발생하며, 경우에 따라 가족력이 있고, 진전이 동반되기도 한다. 동통은 없고, 수면중에는 사경이 사라진다. 초기에는 외력에 의해 변형의 교정이 일시적으로 되나 후기에는 경부근육의 구축과 퇴행성 골관절증이 병발하여 교정시 동통이 따르게 된다.
소염 진통제의 사용, 경부근육의 신장 및 운동, 맛사지, 경부견인 등 물리치료가 도움이 되기도 하지만 예후는 일정치 않다.
히스테리성 사경의 특징은 다른 사경과 달리 경부운동이 모든 방향에서 제한되어 있다. 능동적인 관절운동 범위의 제한이 심하다. 그러나 수동적으로 경추관절을 움직일 때는 관절운동이 용이한 특징을 비교 관찰할 수 있으며, 동통이 심하고 히스테리성 행동이 관찰된다. 견갑골이 거상되어, 머리가 거상된 견갑골 쪽으로 기울며, 지속적인 견인으로 변형이 교정되는 경향이 있다. 파킨슨병과 감별을 요하며 골관절염이 동반되므로 X-선상 진단이 용이하지 않다. 히스테리에 대한 정신과적 치료를 요하며 예후는 일정치 않다.
韓醫學的 治療
※ 主要原因
① 風寒濕
② 痰熱
③ 大腸, 三焦經의 所生病
④ 小腸, 膀胱經의 所生, 是動病
⑤ 肝腎의 虛弱
※ 臨床治方
① 加味回首散 : 項强筋急에 일반적으로 쓰이는 처방
② 養化二四湯 : 氣血虛衰로 순환이 안 되어 아플 때
③ 五積散 : 빈혈경향으로 上熱下寒, 하복부가 싸늘하고 복부연약할 때
④ 芍藥甘草湯 : 급박성 근육연축과 통증을 목표로, 근육구급이 있으면 사용
⑤ 開結舒經湯 : 부인의 칠정울결로 상지통, 수족마비시
⑥ 正氣補元湯 : 氣血虛弱型 사지마비시
⑦ 消痰除濕湯 : 痰飮으로 어깨에 寒痛이 있을 때
⑧ 十味挫散 : 초로기의 冷寒症, 혈색이 나쁠 때
※ 鍼灸治療
① 頸椎
太陽經, 督脈의 流注處로
申脈, 後谿, 列缺, 風池 + 瀉血(天宗, 肩中兪, 心兪)
② 項强, 落枕
後谿, 申脈 : 강한 염전
項强穴 刺鍼
③ 상지 방산통
十宣穴 瀉血
八邪穴
風池, 手三里, 合谷, 中渚, 外關
신경근부 협척혈
견부질환
1. 해부학적 구조
견갑골의 관절강과 상완골두가 이루는 대표적인 구상관절로 인체에서 운동범위가 가장 넓다. 이 관절은 관절두에 비하여 관절와가 얕기 때문에 탈구를 방지하기 위해서 관절와 주변에 섬유연골인 관절순으로 보강하고 있으며, 오구돌기와 상완골 대결절을 잇는 오구상완인대 및 오구돌기와 견봉을 잇는 오구견봉인대, 관절순에서 대결절사이를 지나는 관절상완인대 등이 있으나, 전반적으로 관절낭과 인대들의 발달이 미약하여 탈구가 쉽게 일어나는 관절이다.
또한 견관절 주위에서 간접적으로 관절을 보강하고 있는 인대들은 상완골의 대결절과 소결절사이를 연결하는 상완횡인대, 견갑극의 외측연에서 관절강연을 잇는 하견갑횡인대 등이 있으며, 삼각근과 견관절사이에 삼각근하활액낭, 그리고 견갑하근과의 사이에는 견봉하활액낭 등이 있어 역시 견관절의 운동을 도와주고 있다.
견관절의 운동은 굴곡 180도, 신전 45도, 내전 0도, 외전 180도, 내측회전 70도, 외측회전 90도 등 다양하다.
2. 견관절 질환
A. 흉곽 출구 증후군(Thoracic Outlet Syndrome)
1. 경늑골 증후군(Cervical Rib Syndrome)
① 정의
: 경추에서 transverse process의 ant. portion이 자라나와 8경추 신경근이나 1흉추 신경근을 압박하거나 쇄골하 동맥이나 정맥을 압박하는 것
② 증상
상완신경총 자극 - 동통(척골신경을 따라 방사)
정맥압박 - 상지의 동통, 청색증, 부종
동맥압박 - 색전증에 의한 수지 말단의 괴사
③ 이학검사 :
경부압통 및 운동의 제한
동맥이 협착되면 잡음, 진동이 느껴짐
Adson test 양성
X-ray : 잘 관찰되나 7경추 횡돌기와 1늑골 연골부를 연결하는 섬유대에 의해 증상이 유발되어 X-ray상 특이 소견이 없을 수 있다.
④ 치료 :
고식적인 치료로 자세의 교정, 견갑대의 근육에 대한 근력강화운동, 일하는 자세나 잠자는 습관의 변화. 수술적 요법도 고려해 볼 수 있다.
2. 전사각근 증후군(Scalenus Anticus Syndrome)
① 정의 :
상완신경총과 쇄골하동맥이 사각근 공간에서 비정상적으로 비후된 전 사각근에 의해 압박을 받아 생기는 증후군
중년, 여자에게 호발
② 증상 :
경늑골 증후군과 유사
③ 진단 :
X-ray나 기타 검사로 배제진단.
MRI로 확진
④ 치료 :
대부분 고식적인 치료로 효과, 불량한 자세교정, 견갑대 근력 강과, 일하는 자세나 수면자세의 변화, 소염진통제나 물리치료, 국소마취
3. 늑쇄증후군(Costoclavicular Syndrome)
1) 정의 :
쇄골과 제1늑골사이가 정상에서 보자 좁아져 있거나 그 모양이 변형되어 이 사이를 지나는 신경 및 혈관이 압박되는 증후군
2) 원인 :
① 경흉추부 측만증
② 쇄골골절
③ 제1늑골 골절의 부정유합
④ 과다한 가골형성
⑤ 팔을 위로 올리고 목을 뒤로 젖혀 일하는 직업
⑥ 전신쇠약으로 견갑대 지지근의 위축이나 쇠약
3) 증상 :
다른 증후군과 비슷
4) 이학검사 :
Wright test : 어깨를 뒤로 젖혀 차려자세를 취하고 하고 손을 아래로 잡아당기면 손목에서 맥박의 변화를 볼 수 있다.
또 어깨를 뒤로 젖힌후 목을 뒤로 젖혀도 증상이 악화된다.
X-ray, CT
척추측만증이나 늑골의 변형, 쇄골의 골절, CT를 이용한 늑골과 쇄골의 간격측정
5) 치료 :
고식적치료, 호전이 없을때는 수술적 치료
4. 과외전 증후군(Hyperabduction Syndrome)
① 정의 :
팔을 과외전시키면 소흉근이 긴장되고 신경, 혈관은 오구돌기에 걸쳐 견인되므로 그로 인해 수부 및 수지의 팽만감, 둔감, 저린감이 초래되는데 이를 과외전 증후군이라 한다.
② 원인 :
목이 짧고 두꺼운 근육질의 젊은 남자가 손을 위로 쳐들고 목을 젖혀 일하는 직업에 종사할때.
수면중의 팔의 과외전 자세로 발생
→ 신경압박 보다는 지속적인 혈관의 잦은 외상에 의함
③ 이학적 검사 :
오구돌기 하방의 소흉근 부착부위를 누르면 동통이 유발
과외전 검사 - 팔을 과외전 시키면 손목에서의 맥박이 소실
X-ray, 혈관조영술로 타질환과 감별
④ 치료 :
대부분 작업 중의 자세교정으로 증상이 소실, 팔을 위로 올리고 목을 젖히는 자세를 피하도록 한다.
B. 견봉하 증후군(Subacromial Syndrome)
정의 : 견봉하 공간이란 견봉과 상완골 사이의 공간으로 이 공간에는 견봉하 점액낭과 삼각근하 점액낭이 있다. 이 공간의 지붕은 오구돌기, 오구상완 인대 및 견봉으로 이루어지며 바닥은 회전근개로 구성되어 있다. 이 견봉하 공간에서 주위조직의 자유로운 운동이 이루어 진다. 점액낭과 더불어 회전근개와 상완이두건도 이 공간에 위치하는데 여기에 염증, 유착, 파열이 있는 경우 여러가지 임상증상이 나타나며 이를 총칭하여 견봉하 증후군이라 한다.
1. 극상근 건염(Supraspinatus Tendinitis)
① 정의 :
견관절 자체의 통증의 가장 흔한 원인
회전근개의 퇴행성 변화에 의해 초래
② 원인 :
상지를 외전시키면, 극상근은 상완골 대결절과 견봉사이에 끼게 된다.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점액낭의 보호가 약해지며 계속적인 외상에 의한 기계적 자극과 불충분한 회복은 극상건의 조기마모와 국소허혈을 일으키며 염증반응과 석회화가 나타날 수 있고 심하면 파열될 수 있다.
③ 분류 :
급성염증 - 석회화 현상과 동반되는 일이 많으며 이런 경우 급성 석회화 건염이라 부른다. 젊은 층에 호발, 견관절을 과용한후 극심한 통증을 호소한다. 회전 및 외전운동은 현저히 제한되나 시상면으로의 운동은 거의 제한되지 않는다.
만성염증 - 50-60세에 호발
견관절을 60-90도 외전시킨 상태에서 견봉이 병변과 접촉되므로 이 범위에서 견관절을 능동적으로 외전시킬 때 동통이 유발된다. 이범위 외에서는 동통이 없거나 경미함.
④ 감별진단 :
견봉쇄골관절의 퇴행성 관절염도 외전시 통증을 야기하므로 감별을 요한다. 이 경우의 통증은 제한된 범위에 있는 것이 아니고 90도 이상 외전한 전 범위를 통하여 나타난다.
⑤ 치료 :
흡인 : 급성건염이 석회화를 동반하여 심한 통증과 장애가 있을 때 가장 좋은 방법
급성인 경우 : 부목 또는 벨포 붕대법으로 안정요법, 항염제 투여
만성인 경우 : 보존적 요법, 냉온요법
견관절의 운동요법 : 견관절의 수동적인 굴곡, 상태가 호전되면 회전운동을 첨가하고 외전은 마지막에 시킨다.
2. 점액낭염(Bursitis)
가) 견봉하 점액낭염(Subacromial Bursitis)
① 병리 :
견봉하 점액낭은 견봉과 삼각근 및 상완골 대결절 사이에 존재한다.
극상건의 병변이 반흔조직으로 치유되면 건이 정상적인 탄력성을 상실하여 견봉과 상완골 두 사이에서 미끌어짐이 원활하지 못하게 된다. 그러면 마찰을 줄이기 위하여 견봉하 점액낭 및 삼각근하 점애낭이 비후되며 만성적 염증이 유발될 수 있다.
② 증상 :
견관절의 외전이나 내회전시 통증
야간에 통증이 심하다.
Dawbarn's sign : 완전히 외전하여 점액낭이 견봉 밑으로 들어가면 통증이 없어진다.
③ 치료 :
안정이나 온열요법 및 항생제 투여 등 보존적 요법으로 대부분 호전
나) 오구돌기하 점액낭염(Subcoracoid Bursitis)
오구돌기의 끝과 견관절 관절낭 사이에 위치하며 상완골두의 소결절까지 연장된 경우도 있다. 압통이 이사이에서 촉진되면 진단이 가능하다.
다) 견갑하 점액낭염(Subscapular Bursitis)
견갑하건과 견관절의 관절낭 사이에 위치하며 견관절과 통해있다. 점액낭염은 견관절의 염증이 있는 경우 이차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3. 충돌 증후군(Impingement Syndrome)
① 정의 :
전방거상시 상완골의 대결절은 견봉의 전연과 오구견봉인대 및 견봉쇄골 관절의 하연과 마찰을 일으켜 동통을 야기할 수 있는데 이를 충돌증후군이라 한다.
② 병리 :
초기에는 부종과 출혈로 인해 발생할 수 있으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극상건의 섬유화 및 퇴행성변화로 진행, 심하면 극상건의 파열을 초래할 수도 있다.
③ 진단 :
충돌징후 : 통증은 90도 외전시 제일 심하고 팔을 갑자기 굴곡시킬때 동통을 느끼거나 90도 굴골한 상태에서 상완을 내회전시킬때 통증이 유발된다.
X-ray : 견봉주위의 경화 및 대결절 주위의 경화와 낭포성 병변이 보일 수 있다.
MRI : 극상건이 얇아지거나 파열된 경우나 견봉하 점액낭의 점액증가를 관찰할 수 있다.
④ 치료 : 보존적 치료를 3-4개월 시행해도 잔여증세가 남는 경우 수술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4. 극상건 파열(Rupture of Supraspinatus Tendon)
① 정의 :
극상건은 상완골 대결절의 가장 윗부분에 부착하며 파열은 항상 부착부에서 나타난다. 거의 대부분은 견관절 전방탈구나 무거운 물건을 갑자기 들어올리는 외상의 병력이 있다. 퇴행성 변화는 극상근건 파열의 필수적 선행조건이다.
② 증상 :
45-65세 사이에 잘 일어난다.
외전모순 : 수동적으로 상지를 90도이상 외전시켜 주면 환자는 자신의 삼각근에 의하여 외전을 유지할 수 있다.
상완낙하징후 : 점차 외전각도를 줄일때 어느 지점에서 갑자기 팔이 떨어지는 현상
③ 치료 :
90%정도가 수술없이 치유된다.
부분적 파열은 보존적 요법
팔걸이 붕대로 수일간 안정을 취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5. 상완이두건막염(Tenosynovitis of Biceps)
① 정의 :
이두근의 장두는 견관절 내에서 횡인대로 덮인 이두근구를 통과한다. 따라서 견관절을 침범하는 염증성질환에 의해 쉽게 건초염이 유발된다. 또한 건이 지나가는 길이 좁아 건자체가 비후되어 협착성 건막염을 일으키는 경우도 흔하다.
② 증상 :
40세 초반의 여자에게 빈발
통증은 서서히 시작
상완이두근구에서 직접적인 압통
③ 진단 :
Speed test : 주관절을 신전하고 전완부를 회외전하며 일정한 저항을 주어 견관절을 굴곡시키면 상완이두근건 위에 통증이 유발
Yergason's test : 주관절을 굴곡하고 일정한 저항에 대해 전완부를 회외전할 때 통증이 유발
6. 상완이두근 파열(Rupture of Biceps Brachii)
① 정의 :
상완이두근의 장두 파열은 관절와상 결절의 기시부 가까이에서 발생한다.
② 원인 :
견관절의 퇴행성 관절염에 병발한 골극에 의하여 건이 마찰되어 발생할 수 있으며 건 자체의 퇴행성 변화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
③ 증상 :
예리한 통증, 탄발음, 파열부위 압통, 이두근이 튀어 나오도록 힘을 주게하면 상완부 중간 부위에 불룩한 이두근의 덩어리가 현저하게 나타남
7. 유착성 관절낭염(Adhesive Capsulitis, Frozen Shoulder)
① 정의 :
어깨 주위의 동통으로 견관절의 사용을 거부하며 수주가 경과되면 견관절에 심한 운동장애를 초래, 원발성 질환의 악화 혹은 말기에 나타나는 관절의 강직
② 원인 :
내인 - 견관절 자체의 질환
석회성 극상근 건염
회전근개의 부분파열
상완이두근건염
수술이나 외상 및 지속적 고정
외인 - 견관절 외부의 질환에 속발된 경우
심근경색
경추의 추간판 탈출증
뇌혈관 사고
반사성 교감신경 이영양증
③ 병리 :
관절낭의 변화는 종창, 섬유화, 경도의 염증
견관절의 활막은 연골에 유착되므로 관절용적이 감소되어 관절운동에 현저한 장애가 일어남
오래된 경우에는 관절주위조직이 탄력성을 잃고 섬유화되어 관절와에 상완골두를 고정시킨다.
④ 증상 :
45-50세 사이에 흔함
통증과 강직이 주 증상
통증은 외전, 외회전, 신전시킬때 악화
야간통이 심하다.
압통은 견관절의 하방에서 느껴지는 것이 보통
⑤ 치료 :
수개월의 물리치료가 필요
초기에는 추운동, 통증이 감소된 후부터는 손가락으로 벽을 집고 올라가는 운동
그러나 수동적 운동 및 힘을 이용한 조작은 섬유성 유착과 정상조직을 파열시켜 반흔조직을 형성하게 하여 더욱더 강직을 초래
C. 기타 견갑부 문제
1. 견갑거근 점액낭염(Levator Scapulae Bursitis)
① 정의 :
매우 흔한 질환으로 누구나 평생 몇 번은 경험하게 되는 질환
② 증상 :
동통은 매우 심하며, 주로 어깨에 있으나 경부 및 상완부에 있을 수도 있다.
건갑골이 거상될 때 동통은 더욱 심해진다.
2. 발음성 견관절(Snapping Shoulder)
상완이두근 장두가 상완 이두근구로부터 미끄러질 경우, 상완 이두근 단두와 오구완근 사이에 소결절이 끼일 경우, 극상건 증후군 등이 원인이 된다.
3. 발음성 견갑골(Snapping Scapula)
흉벽과 견갑골 사이의 골구조 변화, 주로 건염에 의해 발생
4. 상견갑 신경 포착 증후군(Suprascapular Nerve Entrament Syndrome)
견인이나 상견갑 절흔에서의 압박에 기인하며 간혹 결절종 등의 신생물에 의한 압박에 의한 경우도 있다.
5. 견갑부의 마비와 구축
견갑부는 분만마비와 같은 상완신경총 마비나 각종 신경 및 근육의 고유 질환시 마비가 올 수 있다. 하루에 몇번 정도 견관절의 전 운동범위를 운동시켜 주면 강직이 발생하는 일을 드물다.
견관절의 구축은 유착성 관절염의 경우와 같이 물리치료에 의해 회복되는 것이 대부분이다.
肩關節의 한방적 치료
1. 鍼灸
1) 小腸經
진단 : 天宗穴 압통. 견갑부의 압통.
2) 三焦經
진단 : 手臂擧上이 잘 안됨
3) 기타 大腸經, 肺經
4) 치료
① 淸溪, 尺松
② 肩髎, 肩井
③ 소속 經絡 파악
④ 患側 經絡에 취혈
⑤ 小腸經 - 後谿
陽明經 - 合谷
風寒邪 - 外關
肺經 - 魚際
三焦經 - 中渚
心包經 - 內關
⑥ 通用 : 中渚, 後谿, 合谷, 淸溪, 尺松, 條口, 曲池, 足三里, 天宗
2. 약물치료
① 補中益氣湯 加 桃仁 紅花
② 八物湯 加 香附子 靑皮 陳皮 白芷 升麻 柴胡 黃栢 紅花
C. 韓方
1. 肩臂痛
(1) 原因
① 痰飮, 風寒濕, 消化器障碍
② 肩關節周圍炎, 心肺의 病變, 頸椎DISC
③ 打撲, 肝의 疲勞累積(肝虛), 體質이 弱하고 神經을 많이 쓰는 사람에게 好發
(2) 種類 및 症狀
① 頸椎에서 오는 肩臂痛 : 3頸椎下 - 7頸椎下 까지 疼痛
② 心邪로 인한 肩臂痛 : 7頸椎下에서 오는 것과 증상이 비슷
左側이 다발, 새끼 손가락이 저린다.
聽診異常시 心臟病變 check
관상동맥 부전, 심부전, 심근경색 등 과거병력 check
③ 肺邪로 인한 肩臂痛 : 3頸椎下 疼痛
④ 肩井 部位 壓痛 : 頸椎病變으로 오는 경우가 많으며 肺의 邪氣로 오는 경우는 적다.
(3) 檢査
① 손이 뒤로 안도는 것 - 太陽經筋 異常
② 손바닥을 위로 해서 올릴 때 이상 - 大腸經筋 異常
③ 손등을 위로 해서 위로 올릴 때 이상 - 三焦經筋 異常
④ 손을 등뒤로 돌렸을 때 이상 - 小腸經, 大腸經 異常
⑤ 손을 들어 목 뒤로 하여 반대편 귀를 잡을 때 : 小腸經筋 異常
2. 순수한 肩關節 病變에서 오는 경우
(1) 특징 : 手臂不擧(운동제한), 痺痛(저린감)
(2) 經絡에 따른 分類
① 小腸經型
- 天宗穴 부위의 壓痛이 甚 : 天宗穴 부위의 浮腫이나 陷沒을 살핀다.
- 肩胛部에 壓痛이 甚
- 乾附缸이나 瀉血을 했을 때 患側에 자주색이 있으면 그것이 환전히 소실될 때까지 매일 또는 격일로 시행한다.
② 三焦經型
- 手臂擧上이 잘 안된다.
- 症狀이 심하지 않다.
③ 大腸經型, 肺經型은 드물다.
(3) 治療
① 淸溪 尺松 - 巨刺法
② 肩髎 肩井 - 繆刺法
③ 所屬 經絡型 把握 - 各 經의 兪穴 取穴, 부은 기가 있으면 井穴 瀉血
④ 患側 經絡에서 取穴
⑤ 患部周圍穴 瀉血後 刺鍼
⑥ 通用穴 : 中渚 後谿 合谷 淸溪 尺松 條口 或 曲池 足三里 天宗
⑦ 小腸經 - 後谿
陽明經(脾主四末) - 合谷
風寒邪 侵入 - 外關
肺經 - 魚際
三焦經 - 中渚
心包經(心邪病變) - 內關
(4) 藥物
① 補中益氣湯 加 桃仁(酒) 紅花(酒)
② 八物湯 加 香附子 靑皮 陳皮 白芷 升麻 柴胡 黃栢(酒) 紅花(酒)
3. 風寒濕에 의한 肩臂痛
(1) 病理 : 風寒濕의 邪氣에 의해 氣血凝滯로 手臂不擧
(2) 治療
① 淸溪
② 合谷 - 氣血循環을 목적
③ 太衝 - 氣血循環을 목적
4. 痰飮에 의한 肩臂痛
(1) 治療
① 胃經 淸溪 或 豊隆 或 足三里 - 祛痰
② 肝主筋 - 尺松
③ 各 經絡의 異常 種類에 따라 刺鍼 - 通經原理에 따라 巨刺法
ex) 大腸經筋 異常時 胃經取穴
手太陽經筋 異常時 足太陽 取穴
④ 患側 : 手太陽經筋은 天宗에 反應이 多發하므로 瀉血
手陽明經筋은 肩髃
手少陽經筋은 肩髎
(2) 藥物
① 半夏芩朮湯(下 132)
② 通順散(中 154)
③ 加減法
- 虛 加 附子
- 實 加 大黃
- 痰 加 南星 半夏
- 流注 加 獨活
- 氣虛 加 人蔘
- 痰結 加 白芥子
- 冷 加 生薑 附子
5. 消化器 障碍로 인한 肩臂痛
(1) 治療
① 淸溪
② 足三里
③ 合谷
④ 太衝
(2) 藥物
① 左 手拈散 合 蔘朮健脾湯 或 香砂六君子湯
右 蟠蔥散 合 蔘朮健脾湯 或 香砂六君子湯
② 手拈散(中 131)
③ 蟠蔥散(下 136)
6. 慢性 膽道性 疾患
(1) 治療
① 二陳湯이 들어가야 한다.
② 대개 藿香正氣散(中 14) 合 人蔘養胃湯(中 16) 去 人蔘
③ 便秘가 있으면 加 木香 檳榔
上肢部
1.肩臂痛 ; 合谷, 曲池, 中渚, 後谿, 手三里, 肩井
2.肩甲痛 ; 肩髃, 肩井, 肩貞, 天突, 合谷, 後谿
3.肩痺痛 ; 三焦正格, 液門, 中渚, 肩髃, 肩髎
3.臂痛 ; 肩井, 曲池, 手三里, 通里
4.臂泛痺痛; 臨泣, 肩井, 曲池, 外關, 三里
5.兩手痺痛; 曲池, 合谷, 肩髃
6.五指不伸; 中渚
7.腕關節痛; 合谷, 陽池, 陽谿, 外關
한의학적 치료
1. 實證
․大羌活湯 合 淸熱瀉濕湯
․蔘朮健脾湯加減(소화장애가 있는 경우)
2. 虛證
補氣, 祛風濕, 强筋骨
․大防風湯
․獨活寄生湯
․蔘芪飮
․十全大補湯
* 下肢部
1. 坐骨神經痛 ; 環桃, 殷門, 委中, 崑崙
2. 足麻痺 ; 環桃, 陽陵泉, 陰陵泉, 陽輔, 太谿, 至陰
3. 足踝以上病 ; 灸三陰交, 絶骨, 崑崙
4, 足踝以下病 ; 灸照海, 申脈
5. 脚轉筋發時不可忍; 灸 上 1 壯內踝急 - 灸內踝
外踝急 - 灸外踝
6. 腰腿無力 ; 風市, 陰市
7. 脚弱 ; 委中, 三里, 承山
8. 膝痛 ; 內外膝眼, 膝陽關, 足三里
9. 膝以下痛 ; 灸環桃, 風市
10.膝以上痛 ; 灸犢鼻, 膝關, 三里, 陽陵泉
11.鶴膝風 ; 陽陵泉, 陰陵泉, 臨泣, 行間, 風市
12.足踝關節 ; 崑崙, 丘虛, 解谿, 太沖
4. 요통(腰痛)
腰背部
1.腰痛 ; 委中, 腎兪, 崑崙
2.腰背强痛; 人中, 委中
3.腰背强不可面仰; 申脈, 腰兪, 膏盲, 委中
4.腎虛 ; 腎兪, 委中, 太谿, 白環兪
★★主要常用穴★★
1.四關穴 ; 消化器疾患, 氣滯
2.四總穴 ; 主腹 - 足三里, 腰背 - 委中, 頭項 - 列缺, 口面 - 合谷
3.八邪穴 ; 五肢痛, 五肢麻痺
4.十井穴 ; 中暑, 救急
5.十宣穴 ; 熱性疾患, 救急
6.八會穴 ; 臟會 - 章門, 腑會 - 中脘, 氣會 - 膻中, 血會 - 膈兪
筋會 - 陽陵泉, 脈會 - 太淵, 骨會 - 大棱, 髓會 - 絶骨
7.十三鬼穴; 人中, 頰車, 海泉, 上星, 風府, 少商, 勞宮, 大陵, 曲池, 隱白,
申脈, 承漿, 會陰 - 精神疾患
8.脚氣八處穴; 風市, 伏兎, 犢鼻, 膝眼, 足三里, 上巨虛, 下巨虛, 絶骨
- 脚氣
9.會陽九鍼穴; 啞門, 勞宮, 合谷, 中脘, 環桃, 足三里, 三陰交, 太谿, 湧泉
- 卒倒, 人事不省
10.中風七處穴 ; 百會, 曲鬢, 肩井, 曲池, 風市, 足三里, 絶骨 - 中風
11.奇經八穴 ;內關, 公孫 - 心胸位
後谿, 申脈 - 目內皆, 頸項, 耳扁部, 小腸, 膀胱
臨泣, 外關 - 目銳皆, 耳后, 頸項, 肩
列缺, 照海 - 肺系, 咽喉, 胸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