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ore 의 어원은 우리말로 “샀다” 같아요
물건들을 사는 곳이기 때문입니다
물론 저장이라는 개념으로 보면
"쌓다"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영어는 발음이 비슷하면 같이 우겨 넣어서 하나로 사용합니다
이런 경우는 셀 수 없이 많이 있습니다
세계의 언어를 보니 거의 “창고” 같은 개념으로 쓰이는 것 같습니다
헝가리어는 bolt 라고 하네요
"(돈을) 벌다"로 보였습니다
아이슬란드어는 verslun 이네요
"(돈을) 벌어 쓰라는"으로 생각이 듭니다
포르투갈어어는 loja 라고 합니다
"(가게에, 창고에) 넣자"로 보였습니다
독일어는 geschaft 하고 하는데
"(장사를) 개시 해삤다"로 생각이 들었습니다
2102. store (스토어, 가게, 저장, ~을 저장(축적)하다):
1. (물건을) 샀다, 사다가 어원 (⇒ 가게)
2. (물건을) 쌓다 (⇒ 저장)
* 라틴어: store ((물건을) 샀다, 사다)
* 남아프리카어: winkel ((물건이) 있거늘)
* 카탈루냐어: gotiga ((창고에 물건을) 가두자)
* 중국어: 商店
* 크로아티아어: ducan ((창고, 상점에) 둘까 하는)
* 체코어: obchod ((상점에, 창고에 물건을) 엎치다)
* 덴마크어: butik ((창고에) 부어둘까)
* 네덜란드어: op te slaan ((상점에 물건이) 없다 해서 넣은)
* 핀란드어: myymala ((가게를) 봐 봐라) (* ㅁ ⇋ ㅂ 호환 관계 적용 시)
* 프랑스어: le magasin ((가게를) 봐 주시는) (* ㅁ ⇋ ㅂ 호환 관계 적용 시)
* 독일어: geschaft (발음: 예셰프트) ((장사를) 개시 해삤다)
* 헝가리어: bolt ((돈을) 벌다)
* 아이슬란드어: verslun ((돈을) 벌어 쓰라는)
* 인도네시아어: toko ((가게, 창고에) 둘까)
* 아일랜드어: siopa ((물건을) 세어삐)
* 이탈리아어: negozio ((물건을) 내 가지요)
* 한국어: 저장
* 일본어: 格納
* 말레이시아어: kedai ((창고에) 끄어다 (놓다))
* 노르웨이어: butikk ((창고에) 부어둘까)
* 폴란드어: sklep ((창고에 물건을) 쌓을까 하나봐)
* 포르투갈어: loja ((가게에, 창고에) 넣자)
* 스페인어: almacenar ((상점, 창고에 물건이) 알맞구나)
* 스웨덴어: lagra ((창고에) 넣거라)
* 터키어: magaza ((가게를) 봐주자) (* ㅁ ⇋ ㅂ 호환 관계 적용 시)
* 베트남어: cua hang (발음: 끄어 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