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적벽부
赤壁賦 적벽부
chì bì fù
蘇軾소식
sū shì
壬戌之秋 七月旣望 임술년 가을 7월 보름 다음날에
rén xū zhī qiū qī yuè jì wàng
蘇子與客泛舟 나 소동파 손님들과 배를 타고
sū zǐ yǔ kè fàn zhōu
遊於赤壁之下 적벽 아래로 놀러갔다
yóu yú chì bì zhī xià
清風徐來 水波不興 시원한 바람이 불어왔으나 물결은 일지 않았다
qīng fēng xú lái shuǐ bō bú xìng
舉酒屬客 誦明月之詩 술을 들어 손님을 재촉하고 명월의 시를 읊고
jǔ jiǔ shǔ kè sòng míng yuè zhī shī
歌窈窕之章 요조숙녀를 노래했다
gē yǎo tiǎo zhī zhāng
少焉 月出於東山之上 얼마 지나지 않아 달이 동쪽 산 위로 떠올라
shǎo yān yuè chū yú dōng shān zhī shàng
徘徊於斗牛之間 두성과 견우성 사이를 배회하고
pái huái yú dòu niú zhī jiān
白露橫江 水光接天 백로가 강을 가로지르고 물빛이 하늘에 닿는다
bái lù héng jiāng shuǐ guāng jiē tiān
縱一葦之所如 조각배가 가는 곳을 따라
zòng yī wěi zhī suǒ rú
凌萬頃之茫然 막막한물결을 넘어
líng wàn qǐng zhī máng rán
浩浩乎如馮虛御風 허공에의지해 바람을 부리듯 광활해
hào hào hū rú féng xū yù fēng
而不知其所止 그멈출 곳을 몰랐네
ér bú zhī qí suǒ zhǐ
飄飄乎如遺世獨立 표표히 세상에서 떨어져
piāo piāo hū rú yí shì dú lì
羽化而登仙 날개가돋아 신선으로 올라가는 듯
yǔ huà ér dēng xiān
於是飲酒樂甚 이에 술마시는 즐거움이 깊어
yú shì yǐn jiǔ lè shèn
扣舷而歌之 뱃전을 두드리며 노래를 불렀네
kòu xián ér gē zhī
歌曰 노래는
gē yuē
桂棹兮蘭槳 계수나무 노여 목난 상앗대여
guì zhào xī lán jiǎng
擊空明兮溯流光 투명한 물을 치고 달빛을 거슬러 올라가노라
jī kōng míng xī sù liú guāng
渺渺兮予懷 아득하구나 나의 그리움이여
miǎo miǎo xī yǔ huái
望美人兮天一方 하늘 끝 미인을 기다리네
wàng měi rén xī tiān yī fāng
客有吹洞簫者 倚歌而和之 손님 중에 퉁소를 부는 사람이 있어 노래에 기대어 화답한다
kè yǒu chuī dòng xiāo zhě yǐ gē ér hé zhī
其聲嗚嗚然 그 소리가 구슬픈 듯
qí shēng wū wū rán
如怨 如慕 如泣 如訴 원망하는 듯, 사모하는 듯, 노래하는 듯, 하소연 하는 듯
rú yuàn rú mù rú qì rú sù
餘音嫋嫋 不絕如縷 남은 소리는 간드러지고 실처럼 끊어지지 않네
yú yīn niǎo niǎo bú jué rú lǚ
舞幽壑之潛蛟 그윽한 골짜기 교룡이 춤을 추고
wǔ yōu hè zhī qián jiāo
泣孤舟之嫠婦 외로운 배의 과부가 울겠네
qì gū zhōu zhī lí fù
蘇子愀然 正襟危坐 소동파가 슬피 놀라 옷깃을 바로잡고 무릎을 세우고 앉았다
sū zǐ qiǎo rán zhèng jīn wēi zuò
而問客曰 손님에게 묻기를
ér wèn kè yuē
何爲其然也 어떻게 소리가 그럴 수 있습니까
hé wèi qí rán yě
客曰 손님이 말하기를
kè yuē
月明星稀 烏鵲南飛 달을 밝고 별은 드물고 까마귀와 까치는 남으로 날아갑니다
yuè míng xīng xī wū què nán fēi
此非曹孟德之詩乎 이것이 조조의 시 아닙니까
cǐ fēi cáo mèng dé zhī shī hū
西望夏口 東望武昌 서쪽으로 하구를 바라보고 동으로 무창을 바라보고
xī wàng xià kǒu dōng wàng wǔ chāng
山川相繆 鬱乎蒼蒼 산천은 서로 얽혀 울창한데
shān chuān xiàng miù yù hū cāng cāng
此非孟德之困於周郎者乎 이것은 조조가 주유에게 당하던 곤욕은 아니겠지요
cǐ fēi mèng dé zhī kùn yú zhōu láng zhě hū
方其破荊州 下江陵 막 형주를 파하고 강릉으로 내려와
fāng qí pò jīng zhōu xià jiāng líng
順流而東也 물을 따라 동으로 갔죠
shùn liú ér dōng yě
舳艫千里 旌旗蔽空 배는 천 리에 달하고 깃발은 하늘을 덮었고
zhú lú qiān lǐ jīng qí bì kōng
釃酒臨江 橫槊賦詩 강가에서 술을 거르고 창을 옆에 두고 시를 지었죠
shāi jiǔ lín jiāng héng shuò fù shī
固一世之雄也 진실로 일세의 영웅이라
gù yī shì zhī xióng yě
而今安在哉 그러나 지금 도대체 어디에 있습니까
ér jīn ān zài zāi
況吾與子 漁樵於江渚之上 하물며 나는 그대는 섬에서 고기 잡고 땔나무 하며
kuàng wú yǔ zǐ yú qiáo yú jiāng zhǔ zhī shàng
侶魚蝦而友麋鹿 고기와 새우와 함께하며 노루와 사슴과 벗하며
lǚ yú xiā ér yǒu mí lù
駕一葉之扁舟 작은 배를 타고
jià yī yè zhī biǎn zhōu
舉匏樽以相屬 표주박과 술동이 들고 서로 권하니
jǔ páo zūn yǐ xiàng shǔ
寄蜉蝣於天地 천지에 하루살이가 붙어있는 것이고
jì fú yóu yú tiān dì
渺滄海之一粟 창해의 좁쌀같이 미미할 뿐이죠
miǎo cāng hǎi zhī yī sù
哀吾生之須臾 오직 우리의 짧은 생을 슬퍼하며
āi wú shēng zhī xū yú
羨長江之無窮 장강의 무궁함을 흠모하고
xiàn zhǎng jiāng zhī wú qióng
挾飛仙以遨遊 신선을 끼고 즐겁게 놀고
jiā fēi xiān yǐ áo yóu
抱明月而長終 밝은 달을 안고 오래 가고자 하나
bào míng yuè ér zhǎng zhōng
知不可乎驟得 갑자기 얻을 수 없다는 것을 알기에
zhī bú kě hū zhòu dé
托遺響於悲風 소리를 슬픈 바람에 맡겨 보내는 것이오
tuō yí xiǎng yú bēi fēng
蘇子曰 소동파가 말하기를
sū zǐ yuē
客亦知夫水與月乎 손님은 대저 물과 달을 아시오
kè yì zhī fū shuǐ yǔ yuè hū
逝者如斯 而未嘗往也 강이 흐르는 것이 저렇지만 일찍이 다 흘러가버린 적 없고
shì zhě rú sī ér wèi cháng wǎng yě
盈虛者如彼 달이 차고 기우는 것이 저렇지만
yíng xū zhě rú bǐ
而卒莫消長也 별안간 소멸하거나 늘어나지도 않는다오
ér zú mò xiāo zhǎng yě
蓋將自其變者而觀之 무릇 변화라는 쪽에서 그것을 본다면
gài jiāng zì qí biàn zhě ér guān zhī
則天地曾不能以一瞬 즉 천지는 한 순간이라도 멈추는 것이 불가능하고
zé tiān dì céng bú néng yǐ yī shùn
自其不變者而觀之 변화하지 않는다는 쪽에서 그것을 보면
zì qí bú biàn zhě ér guān zhī
則物與我皆無盡也 사물과 내가 모두 다함이 없는 것이오
zé wù yǔ wǒ jiē wú jìn yě
而又何羨乎 그러니 또 어떤 것을 흠모하겠오
ér yòu hé xiàn hū
且夫天地之間 物各有主 대저 천지지간에 모든 물질은 각각 주인이 있으니
qiě fū tiān dì zhī jiān wù gè yǒu zhǔ
苟非吾之所有 만약 나의 소유가 아니라면
gǒu fēi wú zhī suǒ yǒu
雖一毫而莫取 비록 털 하나라도 함부로 취하지 못하지만
suī yī háo ér mò qǔ
惟江上之清風 강위의 시원한 바람과
wéi jiāng shàng zhī qīng fēng
與山間之明月 산간의 명월은
yǔ shān jiān zhī míng yuè
耳得之而爲聲 귀로 그것을 들으면 음악이 되고
ěr dé zhī ér wèi shēng
目遇之而成色 눈으로 보게 되면 아름다움을 이루죠
mù yù zhī ér chéng sè
取之無禁 用之不竭 그것을 취해도 누가 막지도 않고 사용해도 마르지 않습니다
qǔ zhī wú jìn yòng zhī bú jié
是造物者之無盡藏也 이것이 조물주의 무궁한 저장물이기 때문이죠
shì zào wù zhě zhī wú jìn cáng yě
而吾與子之所共適 그런데 나와 그대가 함께 좋아하는 바이죠
ér wú yǔ zǐ zhī suǒ gòng shì
客喜而笑 객이 기쁘게 웃으며
kè xǐ ér xiào
洗盞更酌 肴核旣盡 잔을 씻고 다시 따르며 포와 과일은 모두 소진되고
xǐ zhǎn gèng zhuó yáo hé jì jìn
杯盤狼藉 술상은 어지러웠다
bēi pán láng jiè
相與枕藉乎舟中 배중에 서로 포개어 누워
xiàng yǔ zhěn jiè hū zhōu zhōng
不知東方之旣白 동쪽하늘이 밝아 옴을 알지 못했다
bú zhī dōng fāng zhī jì bái
大江东去,浪淘尽,千古风流人物。故垒西边,人道是,三国周郎赤壁。乱石穿空,惊涛拍岸,卷起千堆雪。江山如画,一时多少豪杰。
遥想公瑾当年,小乔初嫁了,雄姿英发。羽扇纶巾,谈笑间,樯橹灰飞烟灭。故国神游,多情应笑我,早生华发。人生如梦,一樽还酹江月。
Tune: " Charm of a Maiden Singer"
Memories of the Past at Red Cliff
The Great River eastward flows,
With its waves are gone all those
Gallant heroes of bygone years.
West of the ancient fortress appears
The Red Cliff. Here General Zhou won his early fame
When the Three Kingdoms were all in flame.
Jagged rocks tower in the air,
Swashing waves beat on the shore,
Rolling up a thousand heaps of snow.
To match the hills and the river so fair,
How many heroes brave of yore
Made a great show!
I fancy General Zhou at the height
Of his success, with a plume fan in hand,
In a silk hood, so brave and bright,
Laughing and jesting with his bride so fair,
While enemy ships were destroyed as planned
Like shadowy castles in the air.
Should their souls revisit this land,
Sentimental, his wife would laugh to say,
Younger than they, I have my hair all turned gray.
Life is but like a passing dream,
I'd drink to the moon which once saw them on the stream.
壬戌之秋,七月既望,苏子与客泛舟游于赤壁之下。清风徐来,水波不兴。举酒属客,诵明月之诗,歌窈窕之章。少焉,月出于东山之上,徘徊于斗牛之间。白露横江,水光接天。纵一苇之所如,凌万顷之茫然。浩浩乎如冯虚御风,而不知其所止;飘飘乎如遗世独立,羽化而登仙。
于是饮酒乐甚,扣舷而歌之。歌曰:“桂棹兮兰桨,击空明兮溯流光。渺渺兮予怀,望美人兮天一方。”客有吹洞萧者,倚歌而和之,其声呜呜然:如怨如慕,如泣如诉;余音袅袅,不绝如缕;舞幽壑之潜蛟,泣孤舟之嫠妇。
苏子愀然,正襟危坐,而问客曰:“何为其然也?”客曰:“月明星稀,乌鹊南飞,此非曹孟德之诗乎?西望夏口,东望武昌。山川相缪,郁乎苍苍;此非孟德之困于周郎者乎?方其破荆州,下江陵,顺流而东也,舳舻千里,旌旗蔽空,酾酒临江,横槊赋诗;固一世之雄也,而今安在哉?况吾与子,渔樵于江渚之上,侣鱼虾而友糜鹿,驾一叶之扁舟,举匏樽以相属;寄蜉蝣与天地,渺沧海之一粟。哀吾生之须臾,羡长江之无穷;挟飞仙以遨游,抱明月而长终;知不可乎骤得,托遗响于悲风。”
苏子曰:“客亦知夫水与月乎?逝者如斯,而未尝往也;盈虚者如彼,而卒莫消长也。盖将自其变者而观之,而天地曾不能一瞬;自其不变者而观之,则物于我皆无尽也。而又何羡乎?且夫天地之间,物各有主。苟非吾之所有,虽一毫而莫取。惟江上之清风,与山间之明月,耳得之而为声,目遇之而成色。取之无禁,用之不竭。是造物者之无尽藏也,而吾与子之所共适。”
客喜而笑,洗盏更酌,肴核既尽,杯盘狼藉。相与枕藉乎舟中,不知东方之既白。
是岁十月之望,步自雪堂,将归于临皋。二客从予过黄泥之坂。霜露既降,木叶尽脱,人影在地,仰见明月,顾而乐之,行歌相答。已而叹曰:“有客无酒,有酒无肴,月白风清,如此良夜何!”客曰:“今者薄暮,举网得鱼,巨口细鳞,状如松江之鲈。顾安所得酒乎?”归而谋诸妇。妇曰:“我有斗酒,藏之久矣,以待子不时之需。”于是携酒与鱼,复游于赤壁之下。江流有声,断岸千尺;山高月小,水落石出。曾日月之几何,而江山不可复识矣。予乃摄衣而上,履巉岩,披蒙茸,踞虎豹,登虬龙,攀栖鹘之危巢,俯冯夷之幽宫。盖二客不能从焉。划然长啸,草木震动,山鸣谷应,风起水涌。予亦悄然而悲,肃然而恐,凛乎其不可留也。反而登舟,放乎中流,听其所止而休焉。时夜将半,四顾寂寥。适有孤鹤,横江东来。翅如车轮,玄裳缟衣,戛然长鸣,掠予舟而西也。
须臾客去,予亦就睡。梦一道士,羽衣蹁跹,过临皋之下,揖予而言曰:“赤壁之游乐乎?”问其姓名,俯而不答。“呜呼!噫嘻!我知之矣。畴昔之夜,飞鸣而过我者,非子也邪?”道士顾笑,予亦惊寤。开户视之,不见其处。
《前赤壁赋》
壬(rén)戌 (xū)之秋,七月既望,苏子与客泛舟,游于赤壁之下。
徐来,水波不兴。举酒属(zhǔ)客,诵明月之诗,歌窈窕之章。少(shǎo) 焉,月出于东山之上,徘徊于斗(dǒu )牛之间。白露横江,水光接天。纵一苇之所如,凌万顷之茫然。浩浩乎如冯(píng)虚御风,而不知其所止;飘飘乎如遗世独立,羽化而登仙。 于是饮酒乐甚,扣舷而歌之。歌曰:“桂棹(zhào)兮兰桨,击空明兮溯流光。渺渺兮予怀,望美人兮天一方。”客有吹洞箫者,倚歌而和(hè)之。其声呜呜然,如怨如慕,如泣如诉,余音袅袅,不绝如缕。舞幽壑之潜蛟,泣孤舟之嫠(lí)妇。 苏子愀(qiǎo)然,正襟危坐,而问客曰:“何为其然也?”客曰:“‘月明星稀,乌鹊南飞。’此非曹孟德之诗乎?西望夏口,东望武昌。山川相缪(liáo),郁乎苍苍,此非孟德之困于周郎者乎?方其破荆州,下江陵,顺流而东也,舳(zhú)舻(lú)千里,旌(jīng)旗蔽空,酾(shī)酒临江,横槊(shuò)赋诗,固一世之雄也,而今安在哉?况吾与子渔樵(qiáo)于江渚(zhǔ)之上,侣鱼虾而友麋(mí)鹿。驾一叶之扁舟,举匏(páo)樽以相属(zhǔ)。寄蜉(fú)蝣(yóu)于天地,渺沧海之一粟(sù)。哀吾生之须臾(yú),羡长江之无穷。挟(xié)飞仙以遨游,抱明月而长终。知不可乎骤得,托遗响于悲风。” 苏子曰:“客亦知夫水与月乎?逝者如斯,而未尝往也;盈虚者如彼,而卒莫消长也。盖将自其变者而观之,则天地曾不能以一瞬。自其不变者而观之,则物与我皆无尽也,而又何羡乎?且夫天地之间,物各有主。苟非吾之所有,虽一毫而莫取。唯江上之清风,与山间之明月。耳得之而为声,目遇之而成色。取之无禁,用之不竭,是造物者之无尽藏(zàng)也,而吾与子之所共适。” 客喜而笑,洗盏(zhǎn)更酌 (zhuó)。肴(yáo)核既尽,杯盘狼籍(jí)。相与枕藉(jiè)乎舟中,不知东方之既白。
[1]选自《经进东坡文集事略》卷一(《四部丛刊》本),这篇散文作于宋神宗元丰五年(1082),在此之前苏轼因乌台诗案(元丰二年)被贬谪黄州(今湖北黄冈)。因后来还写过一篇同题目的赋,故称此篇为《前赤壁赋》,十月十五日写的那篇为《后赤壁赋》[4] 。赤壁:实为黄州赤鼻矶,并不是三国时期赤壁之战的旧址,当地人因音近亦称之为赤壁,苏轼在此借景以抒发自己的怀抱。
첫댓글 진은선생 고생이 많군요..念奴娇·赤壁怀古를 들으니 뜨거운 가슴이 요동을 치는군요..대륙의 기질이 느껴집니다,,
이번 방학때 前赤壁赋를 중국어로 도전해 보고 싶은데 할수 있을까요? ㅎ 松月齋
그렇게 감상하고 도전하시는 분들을 위한 글입니다. 욀 수 있을 겁니다.
삼가 故人의 冥福을 비옵니다..
白巖 선생님의 人品과 高邁한 風流는 萬世에
전해질것입니다..
松月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