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병이란 ?
직업병이란 재해 (어떤 한사건)에 의하지 않고 불량한 작업환경이나 조건에 장기간 작업하여 발생하는 질병을 말한다. 직업병 (업무상 질병)으로 나눌수 있다.
업무상 재해는 신체적 외상이 발생하는 사고 등을 말한다.
업무상 재해는 원인이 비교적 뚜련하여 재해가 발생하면 해당 근로자에 대한 적절한 의학적 처치, 재활 및 보상은 물론 발생원인의 분석을 통해 동종의 사고가 다시 발생하지 않도록 적절한 대책을 수립할 수 있다. 반면 직업병은 열악한 작업환경에 의해 발생하는 질병을 말하는데 이들 질병이 일반 질병과 크게 다르지 않고 작업환경과의 관련성을 쉽게 밝힐 수 없는 경우가 많다.
직업병은 원인 가능한 요인이 있더라도 인과관계를 밝히기가 쉽지 않고, 취업 중에 발생하기도 하나 대부분 오랜 시간이 지나서 또는 퇴직 후에 발생하므로 그 원인을 찾기는 더욱 어렵다.
2. 직업병의 특성
1) 열악한 작업환경에 장기간 노출된 후에 발생
2) 폭로시간과 첫 증상이 나타나기 까지 긴 시간적인 차이가 있다.
3) 인체에 대한 영향이 확인되지 않은 새로운 물질이 많다.
4) 임상적 또는 병리적 소견이 일반 질병과 구분하기가 어렵다.
5) 많은 직업성 요인이 비직업성 요인에 상승작용을 일으킨다.
6) 임상의사가 관심이 적어 이를 간과하거나 직업력을 소홀히 한다.
7) 보상과 관련된다.
3. 직업병 발생요인
직업병의 발생요인은 여러가지가 있는데 이를 인자별로 분류해보면 다음과 같다.
1) 물리적 원인 : 온도, 복사열, 소음과 진동, 유해광선, 작업자세 및 작업조건
2) 화학적 원인 : 중금속, 유기용제, 가스등 화학적 유해물질, 분진
3) 생물학적 원인 : 세균, 곰팡이, 바이러스 등 생물학적 요인
4. 직업병의 보상절차
1) 건강진단 의뢰, 비용지불
2) 결과통보 : D1(직업병 유소견자)에 대한 의사의 조치
3) 직업병 유소견자 발생보고
4) 접수후 법에 따른 조치 (건강진단 관리 규정 제 4조)
5) 요양신청서 또는 장해보상 청구서
6) 결정 통지서 통보 (보상)
5. 직업병의 종류
1) 진폐증
2) 소음성 난청
3) 연중독
4) 비중격 천공
5) 유기용제 중독
6) 직업성 천식
7) 접촉성 피부염 (크롬등)
8) 근골격계 질환 등
6. 직업병의 예방대책
1) 조직관리 : 전담조직, 협력조직
2) 유해인자관리 :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인자관리
3) 작업환경관리 : 평가(측정)-보호구, 개선 (공학적, 관리적)
4) 작업공정관리
5) 건강관리 : 건강진단, 영양관리
6) 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