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조 남선 교수님과 함께하는 풍수답사입니다. *
정기답사는 홀수달 둘째주 일요일에 실시하며 일정에 변동이 생길 시 미리 공지하겠습니다.
원주시는 반도의 백두대간 구룡령과 진고개 사이의 두루봉에서 갈라져 오대산을 만드는 한강기맥이
한반도의 중심부이자, 강원도의 남서부에 있으며, 부족국가시대부터 중요한 군사요충지였고, 충절과 문화의 고장으로 조선시대와 근현대에서도 많은 독립유공자를 배출한 지역입니다. 이번 답사는 치악산의 정기가 서린 원주지역의 명혈길지를 교수님의 자세한 설명과 함께 공부해 보고자합니다.
조금 이른 감은 있지만 '새봄맞이' 답사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아지랑이 피어 오르는 따뜻한 봄날을 생각하시면서, 가는 겨울 건강하게 잘 보내시어요 (*.*)
1. 일시 : 2011년 3월 13일 (일)
2. 장소 및 시간 : 아주대 정문 오전 9시 출발
3. 답사지
1) 원주향교 (원주시 명륜동 255)
원주향교는 고려 인종(재위 1122년∼1146년) 때 처음 지었고, 조선 태종 2년(1402년)에 다시 지었다. 이후 여러 차례 수리·복원하였다. 현재 남아 있는 건물로는 대성전, 명륜당, 동무·서무, 동재·서재, 외삼문, 수복실 등이다. 맨 뒤쪽 가운데에 제사 공간인 대성전이 있고, 그 양쪽에 동무·서무를 배치하였다. 대성전 앞쪽에는 교육 기능을 수행하는 강당인 명륜당을 두고, 명륜당 앞 양쪽에 학생들의 기숙사인 동재·서재를 배치하였다. 동재 옆에 수복실을, 명륜당 앞에 외삼문을 배치하였다. 대성전에는 공자를 비롯한 그 제자와 우리나라 성현들의 위패를 모시고 있다. 조선시대에는 나라에서 토지와 노비·책 등을 지원받아 학생을 가르쳤으나, 지금은 교육 기능은 없어지고 제사 기능만 남아 있다.
2) 원주강원감영지(原州江原監營址) (원주시 일산동 54-1)
2002년 3월 9일 사적 제439호로 지정되었다. 강원감영은 조선시대인 1395년(태조 4년)에 원주에 설치되었다. 감영은 조선시대에 각도의 관찰사(觀察使:監司)가 정무를 보던 청사로 원주·전주·평양의 감영을 제외하면 한곳에 계속 있지 않고 소재지의 변천과 도시화 등으로 그 본래의 형태를 찾아보기 어렵다. 강원감영지는 당시의 건물인 선화당(宣化堂), 포정루(布政樓), 청운당 등이 원래 위치에 남아 있고 중삼문지, 내삼문지, 담장지 등 관련유구가 보존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강원감영 이전의 원주목 관아의 건물지 등이 하층에 그대로 잘 남아 있다는 점에서 우리나라 관아 건물의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된다. 강원감영 청사로 사용된 선화당은 정면 7칸, 측면 4칸으로 단층이며 팔작지붕이다. 선화당 건물은 임진왜란 때 소실된 것을 원주목사 이후산이 1667년(현종 8년)에 완공하였다고 전해진다. 내부는 네 방향에 내진주(內陳柱)를 세워 모두 툇간으로 달았으며, 바닥은 우물마루를 깔았고 천장은 연등천장이다.
3) 원천석(元天錫)묘 (원주시 행구동 산 37)
고려 말의 혼란한 정치를 개탄하며 치악산에 들어가 은거했던 운곡 원천석(元天錫 1330년~?)의 묘역으로, 2000년 11월 18일 강원도기념물 제75호로 지정되었다. 원천석은 조선 태조 이방원의 어릴 적 스승으로, 조선 개국 후 벼슬이 내려졌으나 끝내 거절하고 태조가 찾아왔을 때에도 만나지 않으며 고려에 대한 충절을 지켰다. 강원도 원주시 행구동 치악산 산자락에 있는 원천석의 묘 앞에는‘고려국자진사원천석지묘(高麗國子進士元天錫之墓)’라 새겨진 묘비와 상석이 놓여 있고, 묘에서 조금 떨어진 곳에 1670년(현종 11년)에 세운 묘갈이 있다. 원천석의 유언에 따라 본래 표석을 세우지 않았다가 4대가 지난 후에 묘표가 세워졌다 하는데 묘갈의 글과 전서(篆書)는 조선 중기의 학자 미수 허목(許穆 1595년~1682년)이 짓고 썼으며, 글씨는 이명은(李命殷)이 썼다. 전하는 얘기에 의하면 원천석의 묘지는 무학대사가 잡아 주었다 한다. 묘역에는 1704년에 건립하고 1984년 개축한 재사(齋舍)인 모운재(慕耘齋)와 2006년 8월 31일 운곡대종회와 운곡학회에서 건립한 사당 창의사(彰義祠)가 있으며, 모운재 옆에 시비(詩碑)가 세워져 있다.
4) 이기(李墍) 묘 (원주시 지정면 간현리 694-2)
1522년(중종 17년)∼1600년(선조 33년).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가의(可依), 호는 송와(松窩). 지란(之蘭)의 아들이다. 어려서부터 시서에 능하였고, 생원시에 이어 1555년(명종 10년) 식년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1565년 장령, 1567년 수찬을 역임한 뒤 전한이 되어 편수관으로 《명종실록》 편찬에 참여하였다. 그 뒤 1571년(선조 4년) 직제학이 되었으며, 이듬해 좌승지에 올랐으나 노모가 원주에서 병으로 눕자 이를 봉양하기 위하여 사직을 청하였다. 그러자 노모를 봉양하도록 1573년에는 강원도관찰사에 제수되었고, 이듬해 중앙으로 돌아와 우승지가 되었다. 1578년 다시 양주목사로 내려갔는데, 이때 선정을 베풀었다는 사실이 경기감사에 의하여 조정에 보고되었다. 1583년 다시 중앙으로 돌아와 부제학을 역임한 뒤 장흥부사를 거쳐 1591년 대사간이 되었다. 이듬해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순화군(順和君) 보를 보필하면서 강원도에 내려가 의병을 모집하였다. 1595년 다시 부제학이 되고, 이듬해 대사간·대사헌·동지중추부사를 차례로 역임한 뒤 이조판서에 올랐다. 1597년 다시 지중추부사·대사헌·지돈령부사·예조판서 등을 차례로 역임한 뒤 1599년 다시 대사헌이 되고, 이어 예조판서·이조판서를 역임하였다. 이듬해 지돈령부사를 끝으로 벼슬에서 물러났다. 죽은 뒤 1603년에 2품 이상 재신을 청백리로 뽑는 데 녹선되었고, 그 뒤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그가 대사헌으로 있을 때 종로 네거리를 지나는데 말이 너무 말라 가지 못하고 주저앉았다. 그러나 그는 개의하지 않고 소리를 지르며 앞으로 나아갔는데, 그 뒤에 사람들이 말이 피곤하여 땅에 주저앉는 것을 보면 ‘대사헌의 말’이라고 일컬었다 한다. 그는 이와 같이 청빈하여 한사(寒士)나 다름없이 벼슬생활을 하였다. 시호는 장정(莊貞)이다.
5) 김제남(金悌男)묘 (원주시 지정면 안창리 산67-3)
본관 연안. 자 공언(恭彦). 시호 의민(懿愍). 선조의 장인. 1585년(선조 18년) 사마시에 합격, 1594년 의금부도사 ·공조좌랑을 거쳐 연천현감을 역임하였다. 1597년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1601년 정언 ·헌납 ·이조좌랑이 되었다. 1602년 딸이 선조의 계비(繼妃: 仁穆王后)가 되자, 돈령부영사를 제수받고 연흥부원군(延興府院君)으로 봉해졌다. 1613년 인목왕후의 소생 영창대군(永昌大君)을 추대하려 한다는, 이이첨(李爾瞻) 등의 무고를 받고 사사(賜死)되었다. 1616년(광해군 8년) 폐모론이 일자 부관참시(剖棺斬屍)되었다. 세 아들도 죽음을 당하고, 부인과 어린 손자 천석(天錫)만이 화를 면하였다. 1623년 인조반정 뒤 관직이 복구되고 왕명으로 사당이 세워지고,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6) 김탄행(金坦行)묘 및 김두한(金斗漢)가옥 (원주시 문막읍 건등리 852-4번지)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안동. 자는 숙평(叔平).1714년(숙종 40년)∼1774년(영조 50년). 할아버지는 영의정 창집(昌集)이며, 아버지는 승지 제겸(濟謙), 어머니는 도사 송병문(宋炳文)의 딸이다. 경종연간에 신임옥사가 일어나 1722년(경종 2년)에 할아버지와 아버지가 사사되고 어린 나이에 금산(錦山)에 유배되었다가 1726년(영조 2년)에 풀려나 여주의 양지(陽智)에서 살았다. 소론이 몰락하고 노론이 집권하자 1755년 선공감역(繕工監役)과 익위사부수에 보직되었으나 동료관원 가운데 소론이 끼어 있다고 나아가지 않았다. 뒤에 내시교관(內侍敎官)을 거쳐 장흥고주부에 승진하고 장례원사평·서흥현감·사복시판관·원주판관·금산군수·남원부사를 지낸 뒤 첨지중추부사에 이르러 여주에 돌아와 죽었다. 김두한 가옥은 1985년 1월 17일 강원도유형문화재 제86호로 지정되었다. 원주목사와 남원부사를 지낸 김탄행(1714년∼1774년)의 묘를 관리하기 위해 건립된 묘막이다. 건립연대는 약 240여 년이 되었다고 하나 확실하지는 않으며, 1936년에 크게 보수하였다. 현재 2동이 남아 있으며 가옥주는 9대손이다.
4. 회비 : 4만원 (차량 대여비 및 중식 석식 기타 비용 포함) (당일 총무에게 납부)
5. 연락처 : 총무 김 은 희 (010 - 3228 - 6489) 회장 김 종 대 (018 - 234 - 7074)
|
첫댓글 기대 많이됩니다
열심히 최선을 다해 준비하겠습니다. 고맙습니다 (
)
준회원도 참가 가능한지요?
정회원으로 변경했습니다. 지금은 예약완료 되어서 자리가 없습니다. 혹시 취소하시는 분이 계시면 연락드리겠습니다. 제 연락처는 010-3228-6489입니다. 연락처를 남겨주시면 고맙겠습니다(
)
감사합니다. 전화번호는 016-373-7389 입니다.
3월9일 처음으로 강의듣고 가입했는데 답사인력이 많아서 참석하기가 어렵겠네요?
원주 답사 세부시간스케쥴이 어떻게 되나요? 제 전화번호는 010-5382-5706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