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9월 시행 (보험가입경력 인정대상 확대) 제도
기명피보험자의 보험가입 경력만 인정하고 가족 등 다른 피보험자는 실제 운전을 하더라도
경력을 인정받지 못해 신규 보험가입시 보험료 할증의 불이익을 받아온 점을 개선한 것.
개선안은 기명 피보험자 이외의 피보험자 1명에 대해서도 보험가입경력을 인정하는 내용이다.
부부한정특약으로 남편의 기명피보험자로 등록됐던 아내가 새로 차를 구입해 보험에 가입한 경우
종전에는 남편의 차를 운전한 경력이 무시됐지만 이제는 경력을 인정받을 수 있다.
자동차 보험 신규가입자에 대해 보험사가 사고발생 위험이 높은 점을 감안해 최대 38%의
할증요율을 적용하고 이후 1년만다 요율을 낮춰 3년 이상이 되면 할증을 적용하지 않았다.
"제도 개선으로 가입경력을 인정받으면 최초 자동차 보험가입시 38%까지 보험료 절감이 가능" .
보험가입시 경력인정을 받으려면 보험계약자가 대상자 1명을 지정해 보험회사에 신청해야 한다.
자동등록이 안된다.
보험가입시 등록하지 못한 경우에도 보험기간중 언제든 등록이 가능하며
가입경력 인정대상자를 정정하더라도 보험계약의 가입시점부터 경력이 인정된다.
보험기간이 끝난 뒤에는 등록·정정이 불가능.
경력 인정대상자로 등록하려면 개인정보를 보험회사에 제공해야 하고 당사자의 사전동의가 필요.
한정특약이 아닌 '누구나 운전'을 선택했다면
부모, 자녀, 법률상·사실혼 배우자, 며느리, 사위 등 가족 중에서 지정을 해야 한다.
◇보험가입경력 인정대상
구 분 | ’13.9. 이전 | ’13.9. 이후 | |
누구나 운전 | 기명피보험자 | + 지정 1인* | |
운전자 한정특약 | 부부 한정 | +배우자 | |
가족 한정 | +지정 1인* | ||
지정1인 한정 | +지정 1인 | ||
기 타 | +지정 1인 |
*표는 보험계약자가 기명피보험자의 가족 중 1명을 지정
※자료:금융감독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