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나라 이학계열의 대표학회인 한국물리학회, 대한화학회, 대한수학회의 역대 회장 출신학부란다.
한국물리학회 [1952 - ]
이름[출신]-약력順 [적색: 학술원회원] |
대한화학회 [1946 - ]
이름[출신]-약력順 [적색: 학술원회원] |
대한수학회 [1946 - ]
이름[출신]-약력順 [적색: 학술원회원] |
1대: 최규남[연세대 수물]-서울대 총장
2대: 권녕대[日 훗카이도]-설대 명예교수
3대: 한준택[동경대 이화학]-원자력硏
4대: 지창열[나고야 전기]-설대 명예교수
5대: 조순탁[서울대 물리]-카이스트 총장
6대: 윤세원[연세대 이과]-선문대 총장
7대: 김희규[서울대 물리]-서울대 교수
8대: 이상수[서울대 물리]-카이스트 총장
9대: 조병하[서울대 물리]-카이스트 총장
10대: 정중현[연세대 물리]-연대 명예교수
11대: 김정흠[서울대 물리]-고대 명예교수
12대: 고윤석[서울대 물리]-설대 명예교수
13대: 안세희[연세대 물리]-연세대 총장
14대: 이주천[서울대 물리]-카이스트 총장
15대: 이충희[서울대 물리]-한림원 부원장
16대: 권숙일[서울대 물리]-과기처 장관
17대: 최덕린[서울대 물리]-카이스트 총장
18대: 민석기[고려대 물리]-고려대 교수
19대: 송희성[서울대 물리]-설대 명예교수
20대: 황정남[연세대 물리]-연대 명예교수
21대: 김채옥[한양대 물리]-한대 명예교수
22대: 김정구[서울대 전기]-서울대 교수
23대: 이영백[서울대 원자]-한양대 교수
現 : 신성철[서울대 응물]-DGIST 총장
-
-
-
-
-
-
-
-
-
-
-
-
-
-
-
-
-
-
-
-
- |
1대: 이태규[교토대]-노벨화학상 후보
2대: "
3대: 안동혁[서울대 응화]- 상공부 장관
4대: 김동일[동경대 응화]- 학술원 회원
5대: "
6대: 안동혁[3대 同]
7대: 조광하[도호쿠 화학]-성균관대 총장
8대: 김동일[4대 同]
9대: 안동혁[3대 同]
10대: "
11대: 김동일[4대 同]
12대:"
13대:"
14대: 성좌경[동경공 응화]-과기처 장관
15대: 최상업[교토대 화학]-국회의원
16대: 남기동[서울대 이공]-동양시멘트
17대: 박기채[서울대 응화]-부산대 총장
18대: 장세헌[서울대 화학]-설대 명예교수
19대: 박태원[서울대 화공]-인하대 총장
20대: 한만운[서울대 - ]-항공대 총장
21대: 전민제[서울대 화공]-전인터내셔널
22대: 최재시[연세대 화학]-연대 명예교수
23대: 김태린[서울대 화학]-고대 대학원장
24대: 윤능민[서울대 화학]-서강 명예교수
25대: 김용준[서울대 화학]-고대 명예교수
26대: 이익춘[서울대 - ]-인하 명예교수
27대: 안운선[서울대 화학]-성대 명예교수
28대: 김시중[서울대 화학]-과기처 장관
29대: 채영복[서울대 화학]-과기부 장관
30대: 심상철[서울대 화학]-카이스트 총장
31대: 백운기[서울대 화학]-서강 명예교수
32대: 손연수[서울대 화교]-이대 석좌교수
33대: 이대운[연세대 화학]-한림원 부원장
34대: 진정일[서울대 화학]-고대 명예교수
35대: 진종식[연세대 화학]-서강 명예교수
36대: 정봉영[서울대 - ]-고대 명예교수
37대: 심상철[경북대 화교]-경북대 교수
38대: 이순보[성균관 화학]-성균관대 교수
39대: 신국조[서울대 화학]-서울대 교수
40대: 이 은[서울대 화학]-서울대 교수
41대: 차진순[서강대 화학]-영남대 교수
42대: 김명수[서울대 화학]-서울대 교수
43대: 윤민중[서울대 - ]-충남대 교수
44대: 도춘호[서울대 화학]-순천대 교수
現 : 김낙중[서울대 화학]-한양대 교수 |
1대: 최윤식[동경대 수학]-설문리대학장
2대: 장기원[연세대 수물]-연대 부총장
3대: 박경찬[동경고등사범]-서울대 교수
4대: 김정수[서울대 수학]-서울대 교수
5대: 박을룡[서울대 수학]-설대 명예교수
6대: 권택연[서울대 - ]-고대 명예교수
7대: 박세희[서울대 수학]-설대 명예교수
8대: 조태근[서울대 수교]-서강 대학원장
9대: 임정대[연세대 수학]-연세대 학장
10대: 윤재한[서울대 - ]-설대 명예교수
11대: 김종식[서울대 수학]-설대 명예교수
12대: 우무하[경북대 수학]-고대 명예교수
13대: 주진구[서울대 수학]-충남 명예교수
14대: 장건수[연세대 수학]-수과연 위원장
15대: 김성기[서울대 수학]-서울대 교수
16대: 정동명[서강대 수학]-서강대 학장
17대: 조용승[경북대 수학]-수과연 소장
18대: 민경찬[연세대 수학]-연대 대학원장
19대: 김도한[서울대 전자]-서울대 교수
20대: "
現 : 서동엽[서울대 수학]-카이스트 교수
-
-
-
-
-
-
-
-
-
-
-
-
-
-
-
-
-
-
-
-
-
-
-
- |
총 24명 [학술원 회원 8명 배출]
-
서울대 : 14명
연세대 : 5명
고려대, 한양대 : 각 1명
-
-
외국대 : 3명 |
총 36명 [학술원 회원 11명 배출]
-
서울대 : 25명
연세대 : 3명
서강대, 성균관, 경북대 : 각 1명
-
-
외국대학 : 5명 |
총 20명 [학술원 회원 5명 배출]
-
서울대 : 11명
연세대 : 4명
경북대 : 2명
서강대 : 1명
-
외국대학 : 2명 |
※ 한국물리학회, 대한화학회, 대한수학회 역대회장 출신학부
서울대 : 50명 [물리14, 화학25, 수학11]
연세대 : 12명 [물리5, 화학3, 수학4]
경북대 : 3명 [화학1, 수학2]
서강대 : 2명 [화학1, 수학1]
고려대, 성균관, 한양대 : 각 1명
이상끝.
1. 한국물리학회 회장은 회장역임이후, 주로 대학총장이 되신분들이많음. [특히 카이스트 역대총장중 5명을 배출]
2. 대한화학회는 회장역임이후, 대학총장도 많이 배출되었지만 유독 과기처 장관을 역임하신 분들이 많음.
3. 대한수학회는 관계나 총장보다 끝까지 학계에 계신 전형적인 수학자 스타일의 회장이 많았음.
출신학부는 설대가 압도적이고, 연대가 12명으로 2위를 기록,
경북대와 서강대가 각각 3명및 2명의 회장을 배출, 전통적으로 이학계열이 강한 대학임을 입증해 줌.
.
.
.
근데 이글을 작성하면서 한가지 새로이 알게된 사실이...
반도체공학의 권위자이자, 대한물리학회 회장을 역임하신 민석기 고려대 교수의 재임용 탈락사건때문에 고대 학생들의 집단시위와 서명운동으로 시끄러웠던 적이 있었더군.
내용을 대충 보아하니 홍일식 총장이 반도체 공학 최고 권위자였던 민교수를 특별히 전임교수로 모셨는데, 후임 김정배 총장 재임하의 교원위원회에서 이분의 재임용을 부결처리함.
내용인즉은, 민교수가 워낙 유명인사인지라, 그분이 재직하고 있던 고대 서창캠퍼스의 발언권이 세지는것을 우려한 김정배 총장이 그런 결정을 내렸다는게 학생들의 주장이더라구.
(관련기사: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0010157)
민석기교수같은 분이 고대 총장을 했더라면 나았을텐데, 이공계 출신 + 서창캠 교수라는 이유때문에...
아마 그걸 우려해서 일부러 태클을 건게아닌가 싶기도...
(그래도 그렇지. 고대 이학계열 주요학회중 유일무이한 회장 아웃풋을 자르려고 했다는건 좀...)
이후 이야기가 없는 관계로 나중에 어떻게 처리되었는지 궁금하더라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