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암3:9
낙수 효과, 대기업과 고소득층의 소득을 먼저 늘려주면 그들의 소비와 투자 증가로 중소기업과 저소득층도 혜택을 볼 수 있다는 논지지만 현실은 사뭇 다릅니다. 어느 시대든 부가 공평하게 분배 되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하지만 아모스는 부의 편중 보다 의의 부재를 문제 삼고 있습니다. 찐빵 시절에는 눈물 콧물 빼면서 김이 모락모락 나는 신앙 생활을 했었습니다. 신학도 몰랐고 주석도 없었지만 적어도 가면을 쓰지는 않았습니다. 위선의 냄새는 고약하지요.
It is argued that if the falling water effect and the income of large corporations and high income earners increase first,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and low-income earners can benefit from increased consumption and investment, but the reality is quite different. In any era, wealth is rarely distributed fairly. However, Amos raises the issue of the lack of significance rather than the concentration of wealth. When I was a steamed bun, I used to live a steaming life with tears and runny noses. I didn't know theology, I didn't have any annotations, but at least I didn't wear a mask. The smell of hypocrisy is bad.
-
죄를 짓고 그 죄를 감추면서 선한 척해야 하니 그 고생이 심할 것입니다. 오, 주여! 아모스 시대에 이스라엘이 그랬습니다. 풍요를 위해서는 붙잡아야 하는데 그렇다고 선민이 하나님을 버릴 수는 없었습니다. 어제는 아모스 선지자가 “너희를 쳐서 이르시는 이 말씀을 들으라.”(3:1)고 증거 했고 오늘은“너희는 듣고 야곱의 족속에게 증거 하라”(3:13)고 합니다. 이스라엘 백성들이 자기들을 구원한 하나님을 어떻게 배신했는지, 그래서 그 결과 어떻게 될 것인지를 여호와께 듣고 증거 하라고 하십니다.
It must be painful for you to sin and hide your sins and pretend to be good. Oh, Lord! Israel did so in the days of Amos. You have to hold on to abundance, but the chosen people could not abandon God. Yesterday, Prophet Amos testified, "Listen to these words that strike you," and today, "Listen and testify to the people of Jacob" (3:13). They say to the Lord how the people of Israel betrayed the God who saved them, and what would happen as a result.
-
'증거'란 여호와의 말씀을 듣고 전하는 것입니다. 메신저(전령)는 주인의 메시지를 그대로 정확히 전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그래서 ‘여호와께서 가라사대’, ‘여호와의 말씀' 이라는 말이 10절, 11절, 12절, 13절, 15절에 반복해서 나타나고 있습니다. 이것은 이 말씀이 얼마나 엄중한 하나님의 심판의 말씀 인지를 나타내 주고 있는 것입니다. 그러나 이스라엘의 역사 속에서 보면 이러한 여호와의 말씀을 제대로 들은 적이 거의 없습니다.
"Evidence" is to listen to and convey the word of the Lord. It is most important for messengers to accurately convey the message of their masters. For this reason, the words "Jehovah says" and "Jehovah's Word" are repeated in verses 10, 11, 12, 13, and 15. This indicates how stern God's judgment is. However, in the history of Israel, these words have rarely been heard properly by the Lord.
-
물론 가끔씩 듣고 회개하고 주께로 돌이키는 일이 있었지만 그러나 그들은 곧 또다시 여호와의 말씀을 듣지 아니하고 반역을 행했습니다. 거짓 선지자들의 말을 듣기는 좋아하여도 하나님께서 보내신 참된 선지자들의 말을 듣기는 싫어하였던 것입니다.(사30:8-14, 고전10:1-13) 하나님께서는 이스라엘의 패역을 아스돗과 애굽에 광포하라고 합니다. 하나님께서 택하심을 입은 적도 없는 그래서 그들 마음대로 악을 행사하며 살아가는 그들의 성읍보다 더 무질서하고 폭력적인 사마리아 성을 보라는 것입니다.
Of course, there were times when they heard, repented, and turned to the Lord, but they soon did not listen to the Lord again and did treason. He liked to listen to the false prophets, but did not like to listen to the true prophets sent by God. (Psalm 30:8-14, classics 10:1-13) God tells Ascot and Egypt to spread the defeat of Israel. God has never been chosen, so see Samaritans, who are more disorderly and violent than their towns, where they live in evil at will.
-
옛날 우리 선조들은 자식이 말을 듣지 않을 때 집에서 조용히 매를 들었습니다. 그래도 말을 듣지 아니하면 온 동네에 내어 놓고 수치와 창피를 주었습니다. 소쿠리를 뒤집어 쓰고 소금 얻으러 다닌 기억은 지금도 창피합니다. 이와 같이 이방 나라들을 통해 이스라엘의 패역을 입증 해서라도 주님께로 돌이키시려고 하시는 것입니다. 허나, 이러한 수치만이 아니라 온갖 재앙을 다 보내어도 그들은 돌아 오지 아니하였습니다(사4:6-11). 별 수 없습니다. 제 멋대로 살도록 내버려 둘 수밖에.
In the old days, our ancestors quietly swore at their children when they did not listen. But if they did not listen, they would put them all over the neighborhood and humiliate them. I am still embarrassed to remember wearing a basket and going to get salt. They are trying to turn Israel back to the Lord even if they prove their defeat through the foreign countries. However, not only these figures but also all kinds of disasters did not bring them back (Psalm 4:6-11). There is nothing we can do. We have no choice but to let them live their own lives.
-
그러나 이것은 비극입니다. 내버려 두시는 것이 심판입니다. 하나님께서는 당신의 사랑 하시는 자를 반드시 징계하십니다. “너희가 참음은 징계를 받기 위함이라. 하나님이 아들과 같이 너희를 대우하시나니 어찌 아비가 징계하지 않는 아들이 있으리요, 징계는 다 받는 것이어늘. 너희에게 없으면 사생자요, 참 아들이 아니니라(12:7-8).”고 했습니다. 그렇습니다. 징계가 사랑입니다. 사랑하기 때문에 징계하시는 것입니다. 그 많은 재앙을 통해 자신들의 죄악을 깨닫고 회개하고 돌아오기를 원하신 것입니다.
But it is a tragedy. Letting him be the judge. God will discipline your loved ones without fail. "Your patience is to be punished. How can a father not discipline you when God treats you like a son? You are always disciplined. Without you, you are an illegitimate son. That's right. Disciplinary action is love. You are disciplined because you love them. Through all the disasters, they realized their sins, repent and wanted to come back.
-
그러나 재앙 앞에서도 회개하고 돌아오지 않았습니다. “자기 궁궐에서 포학과 겁탈을 쌓는 자들이 바른 일행할 줄을 모르느니라(10). 권력자들이 자기들의 힘을 가지고 가난하고 약한 자들을 폭력으로 약탈하여 자기의 궁궐에 쌓아두었습니다. 이들에게 선지자의 외침은 쇠귀에 경 읽기라는 표현이 적절할 것입니다. 예레미야가 말씀했듯이(렘13:23) 구스 인이 그 피부를 변하게 할 수 없고, 표범이 그 피부의 반점을 변하게 할 수 없듯이 악에 익숙한 이스라엘이 선을 행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But in the face of disaster, he repented and did not return. "Those who commit atrocities and intimidation in their own palaces do not know how to be a good party (10). The powerful have taken their power to pillage the poor and the weak with violence and piled them up in their own palaces. For them, the prophet's cry would be appropriate to say, "Read the Lord in the ear." Just as Jeremiah said (Rem 13:23), Israel, which is accustomed to evil, cannot do good, just as the goose cannot change its skin, and the leopard cannot change its spots.
-
이것이 선지자들이 증거 하는 이스라엘의 모습입니다. “그러므로 주 여호와께서 가라사대 이 땅 사면에 대적이 있어 네 힘을 쇠하게 하며 네 궁궐을 약탈하리라. 여호와께서 가라사대 목자가 사자 입에서 양의 두 다리나 귀 조각을 건져냄과 같이 사마리아에서 침상 모퉁이에나 걸상에 비단 방석에 앉은 이스라엘 자손이 건져냄을 입으리라(11-12)”이제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사면에서 대적을 일으켜 그들의 힘을 쇠하게 하고 그 궁궐을 약탈하게 될 것입니다.
This is the image of Israel that the prophets prove. "So the Lord said, You will have enemies on the four sides of the land, reducing your power and pillaging your court. Just as a shepherd takes two legs or a piece of ear from a lion's mouth, the Israelites who sit on a cushion in the corner of a bed from Samaria (11-12) will be taken out." Now God will raise the enemy on the four sides of Israel, reducing their power and pillaging their palace.
-
그 결과 목자가 사자의 입에서 양의 두 다리나 귀 조각을 건져냄과 같이 사마리아의 사람들이 심판을 당하고 겨우 몇몇 남은 자가 건짐을 받을 것입니다. 하나님의 심판은 정치 도시 사마리아 성읍에서 종교의 중심지인 벧엘로 이어집니다. 벧엘의 단들을 벌하여 그 단의 뿔들을 꺾어버리겠다고 하십니다(14-15). 이스라엘의 타락이란 언제나 제사의 의미가 상실되기에 일어나는 것 입니다. 하나님의 약속을 따라 어린 양의 피를 바르고 애굽에서 나온 이스라엘 백성들이 날마다 제사를 지내면서 하나님의 희생의 덕분으로 살아가는 그 정신 상태를 잊어버리면 제사 자체도 이방의 주술과 같아져 버리는 것입니다.
As a result, the people of Samaria will be judged and only a few others will get their hands on it, just as a shepherd takes two legs or a piece of ear out of a lion's mouth. God's judgment leads from the political city of Samaria to Bethel, the center of religion. He said he would punish Bethel and break the horns of the altar (14-15). Degradation of Israel always occurs because the meaning of the sacrifice is lost. If you apply the blood of the lamb according to God's promise and forget the mental state of living through God's sacrifice by the Israelites who came out of Egypt.
-
그러면 그것이 우상숭배가 됩니다. 그래서 벧엘이 심판을 받습니다. 우리가 아는 대로 벧엘은 야곱이 형 에서와 아버지를 속이고 축복을 강탈한 후 도망가다가 들판에서 돌베개 하고 자다 하나님을 만난 곳입니다. (창28장) 하나님께서 야곱에게 나타나셔서 아브라함과 이삭에게 언약하신 내용을 야곱에게 하신 장소이지요. 그래서 야곱은 이 그곳에서 돌베개로 단을 쌓고 나중에 돌아오게 하시면 다시 전을 짓겠다고 하던 곳입니다.
Then it becomes an idolatry, and Beth-el is judged. As we know it, Beth el met God while sleeping in a stone pillow in a field after Jacob deceived his brother and father and robbed him of his blessings. (Genesis 28) It was the place where God appeared to Jacob and made a promise to Abraham and Isaac. So Jacob said that he would build a platform with a stone pillow and build a temple again if he would let him come back later.
-
그러나 이곳에 북 이스라엘의 초대 왕인 여로보암이 금송아지 우상을 만들어 성전이라고 하였습니다. 단에도 동일하게 세운 것입니다. 그렇게 하여 예루살렘의 성전으로 가고자 하는 이스라엘 백성들의 마음을 금송아지에게로 옮기게 한 곳이 벧엘입니다. 그러니 어찌 이 벧엘을 가만히 둘 수가 있겠습니까? 이러한 예언은 이미 초대 왕 여로보암 왕 때에 예언되었고(왕상 13:1-3절), 요시아 왕 때 성취된 것입니다(왕하 23:15-16).
But Jeroboam, the first king of North Israel, created an icon of a golden calf and called it a temple. The same was built on the altar. It was Beth el who transferred the minds of the Israelites who wanted to go to the temple in Jerusalem to the golden calf. So how can we leave Beth-el alone? These prophecies were foretold during the reign of Jeroboam, the first king (Genesis 13:1-3) and were fulfilled during the reign of Josiah (Queen 23:15-16).
-
그러면 이러한 내용들을 왜 증거 하라고 하시는 것입니까? 왜 기록하여 두었습니까? 오늘날 나를 위하여 기록하여 두었습니다. 인간이 도대체 어떤 모습인지를 보라는 것이지요. 얼마나 악하고 악한지 도대체 하나님께로 돌아가기를 죽기보다 싫어하면서 반역하는 모습을 보라는 겁니다. 지금 아모스 선지자의 외침만이 아니라 모든 선지자들이 한결같이 외치는 바가 인간의 악함입니다. 예언자들이 이렇게 외침은 그 당시의 상황에서 그들의 죄악을 지적하는 것이지만 그러나 그러한 지적이 다시 율법으로 돌아가자는 이야기가 아닙니다.
Then why do you ask me to prove these contents? Why did you record them? I made a note for myself today. It's about seeing what humans really are like. Rather than dying to return to God, how evil and evil they are, to see them rebel. Now, not just the cries of the prophet Amos, but what all the prophets are uniformly shouting about is human evil. These cries of prophets point out their sins in the circumstances of the time, but they are not about returning to the law.
-
새로운 약속을 바라보게 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율법의 요구를 얼마나 이루어 내는가 의 문제가 아니라, 도대체 어떻게 된 인간이기에 내가 너만 알았다고 그렇게 선택하시고 구하여 내신 여호와 하나님을 버리는가 하는 것입니다. 여기서 율법과 복음의 다리 역할을 예언자들이 하고 있는 것입니다. 율법의 정신에 비추어 그들의 죄악 됨을 처절하게 드러내는 것입니다. 그렇게 하심으로 인간의 의로서는 하나님의 의에 이를 수 없는 지를 보게 하시면서 새로운 약속을 바라보게 하시는 것입니다.
It is about looking at new promises. Therefore, it is not about how much the law's demands are fulfilled, but rather about how much I choose and save the Lord and God that I only knew because I am a human being. The prophets are acting as a bridge between the law and the gospel here. It reveals their sins desperately in the light of the spirit of the law. By doing so, you see that human righteousness cannot reach God's righteousness, and you look at new promises.
-
하나님께서 아브라함에게 언약하신 일방적인 은혜의 언약을 모세의 율법을 통하여 그 한계와 인간의 불가능을 보여주시면서 새로운 언약을 바라보게 하는 것이 선지자의 기능입니다. 그래서 이렇게 처절하게 이스라엘의 죄악을 고발하던 아모스 선지자도 결론에서 다윗의 무너진 장막이 다시 세움을 입을 것이라고 예언하고 있는 것입니다. “그 날에 내가 다윗의 무너진 천막을 일으키고 그 틈을 막으며 그 퇴락한 것을 일으켜서 옛적과 같이 세우고 저희로 에돔의 남은 자와 내 이름으로 일컫는 만국을 기업으로 얻게 하리라. 이는 이를 행하시는 여호와의 말씀이니라(9:11-12).”
It is the function of the prophet to see the one sided covenant of grace that God made to Abraham, showing its limits and the impossibility of man through the law of Moses, and looking at the new covenant. So even the prophet Amos, who had been so desperately accusing Israel of sin, predicted in his conclusion that David's fallen tent would be re-established. "That day, I will set up David's collapsed tent and block the gap, and bring about the decline, as it once was, and we will establish it as a company, the rest of Edom and the world by my name." This is the word of the Lord who does this (9:11-12)
-
하나님께서 다윗의 무너진 천막을 일으키신다고 합니다. 그 틈을 막고 그 퇴락한 것을 일으켜 옛날과 같이 세우신다고 하십니다. 에돔의 남은 자와 자신의 이름으로 일컫는 만국을 기업으로 얻게 하시겠다고 합니다. 이것을 성경이 증거 하고 있는 것입니다. 여호와께서는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말씀하신 대로 이루셨습니다. 이것을 적용하면 “회개하라. 천국이 가까이 왔다”는 말입니다(마 3:2). 이것이 회개의 최종 형태입니다.
God is said to cause David's collapsed tent. He will block the gap and make the degeneracy stand as it used to be. He said he would get the rest of Edom and the world he called by his name as a company. This is what the Bible proves. Jehovah has done through Jesus Christ as he said. Applying this, "Repent. Heaven is near" (Matthew 3:2). This is the final form of repentance.
-
세례요한이 “회개하라. 천국이 가까이 왔다”고 외친 그 외침은 바로 뒤에 오시는 예수님께서 천국을 몰고 오시는 분이시라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예수님을 믿는 것이 회개입니다. 그동안 자기 힘과 노력과 애씀으로 자기가 주인이 되어 사는 삶 을 회개 하고, 이제 예수를 주로 믿고 사는 것을 말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오늘날에도 회개하는 자는 적은 숫자입니다. 아모스시대에 사자가 삼키고 나서 두 다리나 귀 조각이 남은 것처럼 오늘날도 회개하는 자의 수는 적습니다.
The cry that John the Baptist shouted, "Repent. Heaven is near," is that Jesus, who comes right behind him, is the one who brings heaven. Therefore, believing in Jesus is repentance. It is about repenting for one's life as a master through one's strength, effort, and effort, and now believing in Jesus mainly. But even today, those who repent are small. Just as two legs or ear pieces remain after a lion swallowed in the Amos era, the number of people who repent today is small.
-
오늘날도 많은 사람들이 예수를 믿는 다고 말은 하지만 여전히 자신의 힘을 의지합니다. 하나님 없이도 구원의 길로 들어갈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리하여 자기들에게 긍휼을 베풀어 주신 주님을 더 이상 부르지 않습니다. 예수를 믿는다는 사람들이 대부분 예수님을 믿고 나서 이제 내가 예수 믿고 새롭게 거듭났으니 이제 우리가 더 선하고 더 좋은 일을 만들어 보자고 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여러 가지 사업을 구상하여 내는 것입니다.
Even today, many people say they believe in Jesus, but they still rely on their power. I believe that we can enter the path of salvation without God. Thus, we no longer call the Lord, who has given them pride. Most people who believe in Jesus believe in Jesus and now that I believe in Jesus and have been reborn, now that we are willing to make better and better things. That's why I'm devising various businesses.
-
그러나 예수 믿는다는 것은 내 실력과 노력으로는 선한 열매를 맺을 수 없다는 것을 인정하는 것입니다. 예수 그리스도의 영이 있는 자는 날마다 자기를 부인하고 십자가를 지신 주님만 바라 보는 것입니다. 오직 그에게서 모든 것을 공급받아서 사는 자입니다. 율법과 선지자는 요한의 때까지 입니다. 그 이후에는 하나님의 나라, 곧 그 아들의 나라인 것입니다. 그래서 사도들이 “회개하고 예수를 믿으라.”고 한 것입니다. 믿음역시 우리의 실력이 아니라 성령 하나님께서 믿게 하시는 것입니다.
But to believe in Jesus is to acknowledge that I cannot produce good fruit with my strength and effort. Every day, he who has the Holy Spirit of Jesus Christ denies himself and only looks at the Lord who has crossed him. He lives only by receiving everything from him. The law and the prophet are until John. After that, it is the kingdom of God, that is, the kingdom of his son. That's why the apostles said, "Repent and believe in Jesus." Faith is also not our power, but the Holy Spirit God believes.
-
그러므로 구약의 이러한 증거들은 왜 예수님이 오셔야 하셨으며, 예수님께서 왜 다 이루셔야 하는지를 보여주는 것입니다. “모세의 법을 폐한 자도 두 세 증인을 인하여 불쌍히 여김을 받지 못하고 죽었거든 하물며 하나님 아들을 밟고 자기를 거룩하게 한 언약의 피를 부정한 것으로 여기고 은혜의 성령을 욕되게 하는 자의 당연히 받을 형벌이 얼마나 더 중하겠느냐 너희는 생각하라(히10:28-29)” 하나님은 무엇에 분노하시는가? 나는 이웃을 돌보지 않고 사치하고 살지 않았는가?
Therefore, these testimonies of the Old Testament show why Jesus had to come and why he had to fulfill it. "Those who abandoned Moses' law were not pitied by the two or three witnesses and died, much less the blood of the covenant that stepped on God's son and made him holy, and how much more punishment would be given to those who dishonor the Holy Spirit of Grace?" What is angering about God? Didn't I live in luxury without caring for my neighbors?
-
사마리아 왕실을 향한 심판 선언(9-15)
a.사마리아 왕실의 죄악:9-10
b.사마리아 왕실에 임할 심판:11-12
c.종교적, 정치적 중심지에 임할 심판:13-15
상류층 여성들을 향한 심판 선언(4:1-3)
-
아스돗의 궁궐들과(9a)
애굽 땅의 궁궐들에(9b)
선포하여 이르기를(9c)
너희는 사마리아 산들에 모여 그(9d)
성 중에서(9d)
얼마나 큰 요란함과(9e)
학대함이 있나 보라 하라(9f)
-
자기 궁궐에서(10a)
포학과 겁탈을 쌓는 자들이(10b)
바른 일, 행할 줄을 모르느니라(10c)
여호와의 말씀이니라(10d)
-
그러므로 주 여호와께서(11a)
이와 같이 말씀하시되(11b)
이 땅 사면에 대적이 있어(10c)
네 힘을 쇠하게 하며(10d)
네 궁궐을 약탈하리라(10e)
-
여호와께서(11a)
이와 같이 말씀하시되(11b)
목자가 사자 입에서(11c)
양의 두 다리나(11d)
귀 조각을 건져냄과 같이(11e)
-
사마리아에서(12a)
침상 모서리에나(12b)
걸상의 방석에 앉은(12c)
이스라엘 자손도(12d)
건져냄을 입으리라(12e)
-
여호와(13a)
만군의 하나님의 말씀이니라(13b)
너희는 듣고(13c)
야곱의 족속에게 증언하라(13d)
-
내가 이스라엘의 모든 죄를(14a)
보응하는 날에(14b)
벧엘의 제단들을 벌하여(14c)
그 제단의 뿔들을 꺾어(14d)
땅에 떨어뜨리고(14e)
-
겨울 궁과 여름 궁을 치리니(15a)
상아 궁들이 파괴되며(15b)
큰 궁들이 무너지리라(15c)
여호와의 말씀이니라(15d)
-
사마리아의 산에 있는(16a)
바산의 암소들아(16b)
이 말을 들으라(16c)
너희는 힘 없는 자를 학대하며(16d)
-
가난한 자를 압제하며(1a)
가장에게 이르기를(1b)
술을 가져다가(1c)
우리로 마시게 하라 하는도다(1d)
-
주 여호와께서(2a)
자기의 거룩함을 두고(2b)
맹세하시되(2c)
때가 너희에게 이를지라(2d)
사람이 갈고리로(2e)
너희를 끌어 가며(2f)
낚시로 너희의 남은 자들도(2g)
그리하리라(2h)
-
너희가 성 무너진 데를 통하여(3a)
각기 앞으로 바로 나가서(3b)
하르몬에 던져지리라(3c)
여호와의 말씀이니라(3d)
-
이방인보다 더 악한 이스라엘_Israel, worse than the Gentiles_
악의 중심지가 된 사마리아_Samaria Becomes the Center of Evil_
압제의 중심이 된 사마리아_Samaria at the center of oppression_
-
성령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은혜를 주사 야곱 족속에게 주시는 계시의 말씀을 오늘날 우리들에게 주시는 말씀으로 받게 하여 주시기를 원합니다. 그 말씀 앞에 두렵고 떨림으로 우리의 삶을 돌아보고 회개하며 하나님 앞으로 돌아오게 하여 주시기를 원합니다.
그리하여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 앞에 무릎 꿇게 하시고, 그의 통치를 받아가게 하여 주시기를 원합니다. 특별히 우리가 스스로의 능력을 의지 하면 주께서 심판을 통해 사치를 제거 하신다고 하신 말씀을 귀담아 듣겠습니다.
I want the Holy Spirit God to give us the words of revelation that he gives to the Jacobs with the grace and the words that he gives us today. I want you to look back on our lives, repent and return to God with fear and tremors before those words. Thus, I want you to kneel before the name of Jesus Christ and accept his rule. I will listen to your words that the Lord will remove luxury through judgment if we rely specifically on our own abilities.
2024.12.7.sat.Cl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