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불원 사념처 16회 2013.12.17.mp3
16회 사념처 수행
경기 불교문화원 2013.12.17
요약 - 마음 89(121)가지
1. 마음의 역할
1) 마음은 대상을 아는 것으로는 하나지만, 각각의 마음이 하는 역할은 14가지다.
마음의 역할은 존재를 지속하는 역할과 대상을 인식하는 역할로 나눌 수 있다.
존재를 지속하는 역할이란 재생연결식, 존재지속심(바왕가), 죽음의 마음을 의미하고,
대상을 인식하는 역할이란 오문전향, 전오식(前五識), 받아들임, 조사하는, 결정하는(의문전향),
속행(자와나), 등록의 마음을 의미한다.
이런 인식과정에서 속행만 선하거나 불선한 업을 짓는 마음이고, 나머지는 모두 해롭거나 유익한 과보의 마음이다.
2. 마음의 종류 - 업을 짓는 마음과 업을 짓지 않는 마음이 있다.
1) 업을 짓는 마음은 해로운 것과 유익한 것이 있다.
유익하다는 것은 해탈열반에 도움이 된다는 뜻이다.
선심 - 깨끗한 마음의 작용(A+C그룹)과 결합한 마음으로, 욕계에서는 8가지다.
불선심 - 불선한 마음의 작용(A+B그룹)과 결합한 마음으로 욕계에서는 12가지이다.
2) 업을 짓지 않는 마음은 과보인 것과 작용만 하는 것이 있다.
과보심 - A그룹 마음의 작용과 결합한 마음으로 18가지 원인 없는 마음이다.
작용만하는 마음 - 성자의 마음은 선심이지만 업이 되지 않고 단지 작용만하는 마음으로 욕계에서 8가지다.
3. 세간의 마음 81가지
1) 욕계 마음 54가지
(1) 욕계의 해로운 마음 12가지
탐욕에 뿌리박은 마음 - 8가지 (기쁨, 평온, 사견의 유무, 자극의 유무)
성냄에 뿌리박은 마음 - 2가지 (분노, 자극의 유무)
어리석음에 뿌리박은 마음 - 2가지 (들뜸, 의심)
※ 욕계의 12가지 해로운 마음은 불선업을 짓는 마음으로 생사윤회의 원인이 된다.
(2) 욕계의 원인 없는 마음 18가지
선한 과보의 마음 8가지 [안식- 신식(5). 받아들임, 조사하는(2)]
불선한 과보의 마음 7가지 [안식- 신식(5). 받아들임, 조사하는]
오문전향 1가지
의문전향(결정하는) 1가지
미소짓는 마음 1가지
※ 욕계의 원인 없는 마음 18가지는 오문 인식과정에서 일어나는 17심찰나의 마음 중 속행을 제외한 마음들이다.
(3) 욕계의 깨끗한 마음 -24가지
욕계 유익한 마음 8가지 (기쁨, 평온, 지혜의 유무, 자극의 유무)
욕계 과보의 마음 8가지 (인간. 욕계 천상에 태어나는 재생연결식)
욕계 작용만하는 마음 8가지 (붓다와 아라한의 마음)
※ 욕계 유익한 마음 8가지는 선업을 짓는 마음으로 해탈열반에 도움이 되는 마음이다.
2) 색계 마음 15가지 (초선~ 5선)
색계 유익한 마음 5가지
색계 과보의 마음 5가지 (색계 천상에 태어나는 재생연결식)
색계 작용만하는 마음 5가지
3) 무색계 마음 12가지 (공무변처, 식무변처, 무소유처, 비상비비상처)
무색계 유익한 마음 4가지
무색계 과보의 마음 4가지 (무색계 천상에 태어나는 재생연결식)
무색계 작용만하는 마음 4가지
4. 출세간의 마음 8/40가지
수다원의 도과, 사다함의 도과, 아나함의 도과, 아라한의 도과. - 8가지
또는 출세간의 도의 마음을 초선에서 5선으로 배대하여 40가지가 된다.
※ 출세간의 마음으로 사는 세계는 없고, 출세간의 마음의 경지만 있다.
5. 오문 인식과정과 의문 인식과정
※ 오문 인식과정은
바왕가의 흐름 → 바왕가의 동요 → 바왕가의 끊어짐 → 오문전향 → [안식- 신식] → 받아들임 →
조사하는 → 결정하는(의문전향) → 속행(자와나, 7) → 등록(2) → 바왕가의 흐름이 지속된다.
오문의 대상은 반드시 오문 인식과정의 후속과정인 의문 인식과정을 통해서 대상을 선명하게 안다.
이 과정은 오문으로 들어온 대상을 결정하는 마음(의문전향)에서 의문인식과정으로 들어간다.
그래서 대상을 어떻게 할 것인지 결정하고 그 다음 업을 짓는 속행으로 이어진다.
※ 모든 마음은 그 역할에 따라 세 가지로 볼 수 있다.
① 인식할 수 없지만 존재를 지속시키는 역할을 하는 마음
② 오문과 의문에서 인식과정에 참여하는 역할을 하는 마음
③ 선하거나 불선한 업을 짓는 역할을 하는 마음이다.
89(121)가지 마음에서 인식과정을 벗어난 마음은 재생연결식, 존재지속심, 죽음의 마음이다.
이 마음들은 대상을 만날 때 선하거나 불선한 마음으로 지은 업의 과보로 일어난다.
그래서 마음은 인식과정의 마음과 바왕가의 마음이 교대하면서 끊임없이 일어나고
마음에 따른 물질이 생성되어 한 생명이 지속된다.
첫댓글 교수님~! 늘 건강하시고 많은 가르침을 주심 감사한 마음을 내려놓고 귀한 자료 묘셔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