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 인어공주(The Little Mermaid)>는 안데르센의 동화를 원작으로 월트 디즈니사에서 애니메이션화한 작품이다. 인어공주가 물거품으로 변하며 슬프게 끝나는 원작과는 다른 결말, 뮤지컬을 보는 듯한 다채로운 음악으로 사랑받았다. 한때 어려움에 처해 있던 월트 디즈니사를 회생시킨 작품으로 전미 흥행 수익 2억 달러를 기록했다.

포스터
감독 | 존 머스커(John Musker), 론 클레먼츠(Ron Clements) |
---|
제작연도 | 1989년 |
---|
제작사 | 월트 디즈니 프로덕션(Walt Disney Productions) |
---|
인간과의 접촉이 금지된 아틀란티카 공주의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
에리얼은 바다의 왕 트리톤의 여식으로 바다 밖 세상에 대한 호기심이 많은 철부지 공주이다. 그녀는 사람들과의 접촉을 금지하는 아버지의 엄명을 무시하고 에릭 왕자의 생일 파티가 열리는 선박을 구경하러 간다. 궁중 작곡가이자 왕의 고문관인 바닷가재 세바스찬과 에리얼의 단짝 친구 플라운더는 에리얼의 고집을 꺾지 못하고 마지못해 따라간다.
파티의 분위기가 무르익던 중 에릭 왕자가 탄 선박은 갑자기 불어 닥친 폭풍에 난파당하고 왕자는 해일에 휩쓸리고 만다. 에리얼은 사랑하는 왕자를 구하기 위해 사력을 다하고 결국 해안가로 그를 구출해오는 데 성공한다. 그녀는 에릭 왕자가 무사히 깨어나길 바라며 그의 곁에서 노래를 부른다.
사랑을 이루기 위해 위험한 거래에 응하는 에리얼
한편 에리얼이 사랑에 빠져 바다 밖 세상을 구경하러 다닌다는 사실을 알게 된 트리톤은 에리얼을 가둔다. 사랑에 빠진 에리얼은 벌을 받고 있는 와중에도 에릭 왕자의 생각뿐이다. 에릭 왕자와 같은 사람이 되어 그의 곁에 머물고 싶지만 인어가 사람이 될 방법은 없다. 그 소식을 알게 된 사악한 마법사 우슬라는 하수인 뱀장어들을 에리얼에게 보내 그녀를 꾀어낸다. 우슬라는 에리얼을 사흘간 사람으로 만들어줄 수 있다고 말하며, 그 대가로 에리얼의 목소리를 요구한다.
이때 사람으로 변한 사흘 안에 왕자와 진정한 사랑의 키스를 하면 계속 사람으로 남을 수 있으나, 그렇지 않다면 물거품이 될 것이라는 조건을 들려준다. 에릭 왕자가 자신의 얼굴을 기억할 것이라 생각한 에리얼은 우슬라의 제안에 응하고 고대하던 사람이 되어 바다 밖으로 보내진다.
해피엔딩으로 끝난 디즈니의 인어공주
여기까지는 안데르센의 동명 동화와 비슷한 이야기로 흘러간다. 물론 감초 역할을 톡톡히 해내는 세바스찬이나 플라운더 등의 설정이 가미되었지만, 이대로 이야기가 진행된다면 에릭 왕자는 인어공주를 알아보지 못한 채 다른 공주와 결혼하게 될 것이며, 인어공주는 물거품이 될 것이 뻔하다.
그러나 디즈니는 이 슬픈 동화를 해피엔딩으로 바꾸어놓았다. 인어공주의 목소리를 빼앗은 뒤 사람으로 위장해 에릭 왕자를 유혹하는 우슬라와 그녀의 꼬임에 넘어간 에릭 왕자는 결혼을 약속한다. 진실을 알고 있는 에리얼은 답답하지만, 목소리를 낼 수 없기에 그녀의 의견은 묵살된다. 바네사 공주로 둔갑한 우슬라와 에릭 왕자의 결혼식이 있던 날, 트리톤은 에리얼의 슬픈 소식을 전해 듣고 우슬라를 응징하려 한다. 우여곡절 끝에 우슬라는 처치되고 에릭은 자신을 구해준 여성이 에리얼이라는 것을 각성하고 행복한 결말에 이른다.
뮤지컬 형식과 다양한 캐릭터들을 활용해 단조로운 이야기를 극복
<인어공주>는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진 동화이므로 매우 친숙한 이야기이다. 그러나 친숙함은 이야기 면에서 지루함과 단조로움을 준다는 단점이 있다. 디즈니의 <인어공주>는 이것을 극복하기 위해 아름다운 음악들로 시각적 · 청각적 스펙터클을 만들어냈다. 또한 사랑에 빠지지만 비극적으로 생을 마감하는 인어공주의 성격을 활달하고 명랑하게 재창조했다. 문어 모습을 한 우슬라, 바닷가재 세바스찬, 열대어 플라운더 등 다양한 캐릭터를 만들어 작품의 즐거움을 더했다. 이러한 것들이 이야기의 지루함과 단조로움을 이겨낼 수 있었던 원동력이다.
신나는 멜로디로 사랑받은 인어공주의 음악
디즈니는 월트 디즈니가 사망하고 이렇다 할 작품을 내지 못한 채 몰락해가다가, <인어공주>의 흥행으로 화려하게 재기에 성공했다. <인어공주>는 누구나 다 알고 있는 친숙한 동화를 소재로 했고 뮤지컬 형식으로 즐거움을 더했다. 특히 바닷가재 세바스찬이 노래한 「언더 더 시(Under the Sea)」는 아카데미 음악상까지 수상했다. 2013년, <겨울왕국>의 「렛 잇 고(Let It Go)」가 엄청난 사랑을 받았던 것 못지않게 당시 「언더 더 시」는 실로 대단한 인기를 누렸다. 극 중 세바스찬이 부르는 이 노래의 중독성은 조금은 불량하게, “안다다씨”로 발음하는 데서부터 발생한다.
<인어공주> 성공의 일등 공신, 제프리 카젠버그
디즈니는 경영난을 타개하기 위해 파라마운트 픽처스(Paramount Pictures Corporation)에서 마이클 아이스너와 제프리 카젠버그를 영입했다. 제프리 카젠버그는 마이클 아이스너 밑에서 제작 담당 부사장을 맡아 <인어공주>, <미녀와 야수>, <라이온 킹> 등을 제작했으며, 동물적인 감각으로 제작하는 애니메이션마다 큰 성공을 거두었다.
그의 노력 덕분에 업계 최하위권이었던 디즈니는 10년 만에 연 45억 달러를 버는 제작사로 변모했으나 1994년, 마이클 아이스너와 경영권 다툼으로 불화를 일으킨 제프리는 디즈니를 떠나게 된다. 이후 제프리 카젠버그는 스티븐 스필버그, 데이비드 게펀과 드림웍스를 설립해 <이집트 왕자>, <슈렉> 등을 성공시키며 애니메이션계의 미다스의 손으로서 명성을 이어가고 있다.
■ 캐릭터 분석
에리얼
[목소리 역: 조디 벤슨(Jodi Benson)]
명랑하고 쾌활한 인어공주 에리얼은 우연히 마주친 에릭 왕자를 짝사랑한다. 사랑에 빠진 에리얼은 에릭 왕자처럼 사람이 되고자 바다의 사악한 마법사 우슬라를 찾아가고, 사람이 되는 대가로 목소리를 빼앗긴다.
에릭 왕자
[목소리 역: 크리스토퍼 대니얼 반스(Christopher Daniel Barnes)]
자신의 생일날 선상에서 열린 생일 파티를 즐기다 폭풍우에 휘말려 익사할 위기를 맞은 에릭 왕자는 아름다운 목소리를 가진 여성의 도움으로 목숨을 구한다. 목소리를 잃은 에리얼의 등장으로 사랑의 감정을 품게 되지만, 아름다운 목소리가 없는 것을 보고 자신을 구해준 여성을 찾는다. 에릭 왕자는 에리얼의 목소리를 빼앗은 우슬라가 변신한 바네사 공주를 자신의 목숨을 구한 은인으로 착각하고 바네사 공주와 결혼하려 한다. 하지만 결국 오해가 풀린 뒤 에리얼을 알아보고 사랑의 결실을 맺는다.
우슬라
[목소리 역: 팻 캐럴(Pat Carroll)]
보라색 문어 모습을 한 마법사 우슬라는 사람처럼 다리를 만들어달라는 에리얼의 요구에 아름다운 목소리를 대가로 요구하는 사악한 캐릭터이다. 우슬라는 에리얼의 목소리를 빼앗아 자신이 에릭 왕자를 구한 여성이라 주장한다. 하지만 에릭 왕자와 결혼하려던 우슬라의 술수는 결국 에리얼의 아버지, 트리톤에 의해 저지당한다.
세바스찬
[목소리 역: 새뮤얼 E. 라이트(Samuel E. Wright)]
아틀란티카의 궁중 음악사 세바스찬은 가재이다. 트리톤 왕의 신임을 받고 있으며, 궁중 악사답게 즐겁고 신나는 음악을 연주하고 노래하는 재능을 지녔다. 에리얼을 보호하는 임무를 부여받고 그녀의 안전을 위해 애쓰는 캐릭터이다.
플라운더
[목소리 역: 제이슨 마린(Jason Marin)]
인어공주와 가장 가까운 단짝 플라운더는 노란색과 금빛의 무늬가 매력적인 열대지방 물고기이다. 겁이 많지만 친구 에리얼이 위험에 처했을 때는 용기를 내 그녀를 구하고 무조건적인 지지를 보내는 캐릭터이다.
■ 명장면 명대사
<인어공주>는 뮤지컬 애니메이션인 만큼 캐릭터들이 노래하는 장면을 명장면으로 꼽을 수 있다. 그중에서 세바스찬이 「언더 더 시」를 부르는 장면은 누구라도 따라 부르지 않고는 못 견딜 만큼 흥겹다. 경쾌한 리듬과 멜로디에 맞춰 바닷속 물고기들과 퍼레이드를 벌이는 장면은 디즈니 특유의 뮤지컬적인 환상을 보여준다. 현재 많은 애니메이션들에서 보여주는 화려한 영상미에 비하면 소박하게 보이기도 하지만 <인어공주>의 「언더 더 시」 장면은 관객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
■ 수상내역
연도 | 수상내역 |
---|
1990년 | - 제61회 아카데미상 최고 음악상 - 제61회 아카데미상 최고 음악 스코어상 |
1991년 | - 제33회 그래미상 어린이 음악 부문 최고상 - 제33회 그래미상 최고 영화 음악 앨범상 |
■ 부가정보
원작 | 한스 크리스찬 안데르센(Hans Christian Andersen)의 동화 「인어공주(The Little Mermaid)」 |
---|
장르 | 판타지, 멜로 |
---|
음악감독 | 앨런 멘켄(Alan Menken) |
---|
제작기법 | 2D |
---|
상영시간 | 82분 |
---|
국가 | 미국 |
---|
배급 | 브에나 비스타(Buena Vista Pictures)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