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늘(garlic)의 학명은 Allium scorodopram 이다. 중앙아시아와 유럽 원산으로 밭에 재배하는 여러해살이 식물이다. 땅 속에 있는 비늘줄기를 주로 요리에 사용하며, 잎과 줄기를 먹기도 한다. 맛은 자극적이지만, 구울 경우 매운 맛이 줄어들고 달콤한 맛이 난다. 마늘에 들어 있는 알리인(Alliin)은 그 자체로는 냄새가 나지 않는다. 그러나 마늘을 씹거나 다지면 알리인이 파괴되며 알리신(Allicin)과 디알릴 디설파이드(Diallyl disulfide)가 생겨나는데, 이러한 것들이 마늘의 강한 향을 만들어낸다. 한지계 마늘과 난지계 마늘이 있으며, 대체로 씨앗이 생기지 않기 때문에 영양번식을 통해 재배한다.
오랜 역사 동안 식용과 약용으로 재배되어 왔으며, 단군 신화나 드라큘라 이야기 등에 등장한다. 불교 신도들은 절에서 마늘을 오신채로 여겨 절에서는 먹지 못한다.
생태
비늘줄기는 크고 연한 갈색의 껍질 같은 잎에 싸여 있으며, 안쪽에 4-10개의 작은비늘줄기(마늘쪽)가 꽃줄기 주위에 돌려 붙어 있다. 마늘쪽은 등이 활처럼 굽고 3-4모가 졌으며, 붉은 갈색의 비늘잎으로 싸여 있고, 이 속에 새싹을 보호하고 있는 육질의 흰 부분이 있다. 잎은 어긋나고 긴 피침형으로 끝이 흔히 말리며, 밑동은 통 모양의 잎집이 되어 줄기를 감싼다. 7월에 잎 속에서 높이 60cm 정도의 꽃줄기가 나와 곧게 서며, 그 끝에 1개의 큰 산형꽃차례가 달리고, 총포는 길며 부리처럼 뾰족하다. 꽃은 연한 홍자색을 띠며, 꽃 사이에 많은 무성아가 달리고, 꽃받침은 6조각으로 타원상피침형이며, 바깥쪽의 것이 보다 크다. 수술은 6개이며 꽃받침보다 짧고, 밑부분에 2개의 돌기가 있다. 비늘줄기와 잎·꽃줄기에서 특이한 냄새가 난다.
[편집] 재배 역사
재배는 고대 이집트·그리스 시대부터이며, 근동에서는 인도·중국·한국에서 많이 재배한다. 유럽에서는 지중해 연안에 보급되어 있고 아프리카에도 전파되었다. 중국에 전파된 것은 B.C. 2세기에 지금의 이란으로부터 도입되었다고 하며, 한국으로의 도입은 명확하지 않으나 고려시대의 <향약구급방>에 마늘의 일종이 재배된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적어도 고려시대 혹은 그 이전부터 재배된 것으로 생각된다.
[편집] 품종
[편집] 육쪽마늘
한국에서 가장 널리 재배되는 마늘로서 4개의 큰 쪽이 돌려나듯이 붙고 그 중심부에 있는 짧은 줄기에 2-3개의 작은 쪽이 붙는다. 따라서 마늘통은 약간 모가 난 부정형이 되며 마늘쪽의 겉껍데기는 자줏빛을 띠는 것이 많다.
[편집] 여러쪽마늘
잎과 잎집이 가늘고 작은 쪽이 여러 개 생긴다. 마늘쪽이 작아서 이용하기 불편하나, 잎을 이용하는 데에는 좋다.
[편집] 장손마늘
마늘쪽이 10여 개나 되며 비교적 작고 껍질이 연하다. 마늘장아찌를 담그는 데 적당하다.
[편집] 난지형과 한지형
마늘은 생태적으로 온난한 지대에 적응된 난지형과 한랭지에 적응된 한지형으로 구별된다. 난지형은 한지형에 비해 저온단일성이고 휴면기간이 짧으며, 8-9월에 재식하면 곧 싹이 나와 연말까지는 상당히 큰 마늘로 생장한다. 남해 연안과 그 부근의 도서지방, 제주도에서 재배하는 마늘이 이에 속한다. 한지형은 난지형에 비해 고온장일성으로 뿌리내림도 늦고 맹아도 늦어 대부분 연말까지는 지상맹아를 볼 수 없으며, 해동기부터 맹아가 생장한다. 대부분의 육쪽마늘이 이에 속하고 내륙 및 고위도 지방에서 재배된다.
[편집] 재배
마늘은 따뜻한 기후를 좋아하며 내한성은 파보다 약하다. 더위에도 약하여 6월 하순경에는 지상부가 마르고, 약 3개월간 휴면기에 들어간다. 파종 후 저온기를 경과하여야 비늘줄기의 비대가 촉진되므로 대개 10월 하순·11월 상순에 파종하는 데, 이보다 빨리 파종하여 연내에 지상부가 자라날 경우 추위에 약하게 된다. 봄에 파종할 경우에는 해동되자마자 파종해야만 비늘줄기가 알차게 성숙된다. 파종시에 복토를 얇게 하면 솟아 나와서 동해를 입으므로 약 2-3cm 가량 흙을 덮고 그 위에 두엄을 덮어서 보온하고, 이듬해 3월 중·하순에 벗긴다. 심는 거리는 이랑 너비 45cm에 2줄을 모아 넓은 사이 30cm, 좁은 사이 15cm 가량으로 하여 넓은 사이에 덧거름을 주고, 포기 사이는 9-10cm 정도로 한다. 번식은 보통 비늘조각에 의하나 주아(珠芽)를 배양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이와 같이 마늘은 영양 번식에 의해 재배되므로 한 번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계속해서 바이러스에 감염된 것을 심게 되어 생산량이 현격히 줄어든다. 토양은 유기질이 많으며 배수가 좋고 항상 적당한 수분을 지지는 점질양토가 적당하며, 마늘밭은 비옥해야 하므로 잘 썪은 두엄을 많이 쓰고 덧거름은 4월 이전에 주어야 한다.
[편집] 성분 및 이용
[편집] 성분
수분 70%, 탄수화물 20%, 단백질 1.3%이며, 가식부의 무기물은 10,000분 중 회분 99, 칼륨 33, 칼슘 21, 마그네슘 5, 인산 5등이 들어 있고, 비타민 B1, B2, C를 소량 함유한다. 마늘 특유의 자극적 냄새는 알리신에 의하는데, 이는 전초(全草), 특히 비늘줄기에서는 알리인 상태로 존재하다가 세포가 죽거나 파괴되면 공존하는 효소 알리나아제에 의해 분해되어 향균성 물질인 알리신으로 되는 것이다.
[편집] 이용
비늘줄기는 양념으로 널리 애용되며, 구워 먹기도 하고 생으로 이용하기도 한다. 또 마늘종(꽃줄기)의 연한 것은 고추장속에 넣었다가 반찬으로 이용하고, 아직 여물지 않은 마늘은 설탕·초·간장에 절여 마늘장아찌를 만든다. 약용주로 마늘주를 담그기도 하며, 분말로 가공된 마늘이 시판되고 있다. 생약의 호산은 비늘줄기를 말하며, 한방에서는 비늘줄기를 이뇨·거담, 살충·구충·건위 및 발한약으로 사용한다. 구미 각국에서도 소스·육가공 및 향신료로 널리 쓰이며, 세계에서 마늘 소비가 가장 많은 나라는 중국과 남아메리카 북부의 여러 나라이고 한국도 많은 편이다.
두번째 재배법
1) 밭 만들기
마늘의 뿌리는 곧게 자라므로 뿌리가 쉽게 뻗을 수 있도록 깊게 갈아 줘야 한다. 파종 1∼2주일 전에 퇴비와 석회를 밭 전체에 골고루 뿌린 다음 깊이 갈아야 합니다. 파종 1∼2일전에 화학비료 및 토양 살충제를 고루 뿌리고 땅을 고릅니다.
2) 심는 거리
마늘의 줄기는 곧게 자라므로 밀식에 견디는 힘이 강합니다. 따라서 촘촘히 심을수록 단위 면적당 생산량은 늘어나지만 작은 마늘통이 많아져 상품성이 떨어집니다. 마을을 심는 거리는 마늘쪽의 크기에 따라 다소 다르나 5∼7g짜리 씨마늘의 경우 줄사이를 20cm, 포기사이는 10cm가 알맞으며, 120cm이랑 폭에 고랑을 30cm로 하면 10a당 40,000개 정도의 마늘쪽을, 40cm인 경우는 37,500개의 마늘쪽을 파종할 수 있습니다.
3) 심는 방법
마늘심을 골은 6∼7cm 깊이로 파고 마늘을 심습니다. 뿌리부분이 밑으로 가도록 심어야 하며 옆으로 비스듬히 심거나 거꾸로 심으면(그림 2) 마늘통의 모양이 비뚤어져 상품가치가 떨어집니다. 너무 깊게 심으면 싹이 늦게 나오고 또 너무 얕게 심으면 뿌리가 흙을 차고 마늘쪽이 땅위로 올라와 겨울동안 언피해를 받거나 김매기를 할 때 뿌리나 엽초부가 상할 염려가 있습니다.
·거름주기
마늘은 파종후 뿌리를 내리면서 양분을 흡수하게 됩니다. 처음에는 주로 씨마늘의 저장양분에 의존하나 월동후 봄이 되어 기온이 올라가면서 생육이 진전됨에 따라 흡수량도 상대적으로 늘어납니다. 시비방법의 기본은 요소와 칼리는 전량의 1/3, 인산질 비료는 전량을 밑거름으로 주고 웃거름은 해빙기와 4월 중순에 각각 1/3씩 줍니다.
그러나 요즈음은 파종과 동시에 비닐을 입하기 때문에 비닐을 걷고 웃거름을 주기에는 무리가 뛰따릅니다. 따라서 비닐멀칭을 할 경우에는 대부분 밑거름을 위주로 하되 퇴비를 충분히 시용하며, 질소가 부족하면 비오기 전에 비닐 위에 난지형 마늘은 3월 중하순경, 한지형 마늘은 3월 상순부터 4월 하순까지 4∼5kg의 요소를 2∼3회 뿌려줍니다.
마늘은 유황을 많이 필요로 하는 작물이기 때문에 염화칼리 대신 황산칼리를 시용하면 품질이 향상됩니다. 그리고 인산은 산성이 강한 토양(pH 5.0 이상)에서 이용이 불가능한 불가급태로 되어 흡수가 곤란하므로 석회 등으로 산도를 조정해야 합니다.
·멀칭
비닐 피복을 하면 지온을 상승시켜 초기 생육을 촉진시키고, 숙기를 3∼4일 가량 앞당길 수 있습니다. 특히 논 뒷그루작물 재배에 유리하며 20∼40% 정도 수확이 늘어납니다. 비닐을 덮는 시기는 파종과 동시에 이루어지며 비닐위에 짚을 깔아 주는 경우도 있습니다.
·물주기
마늘은 특히 마늘통의 비대기에 다량의 수분을 요구합니다. 마늘통이 비대하는 시기인 4∼6월은 상습적인 가뭄으로 인해서 토양이 건조한 상태이므로, 마늘이 가장 큰 크기로 성장하는 시기에 맞춰 충분하게 물을 줘야 합니다. 한지형인 의성토종마늘은 5월 중순∼6월 중순까지는 충분히 물을 대줘서 마늘의 비대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관리합니다.
5월 하순∼6월 상순경에 마늘쫑이 엽초 밖으로 나오기 시작합니. 이 때에 총포(總苞: 마늘 꽃차례를 싸고 있는 주머니) 속에 있는 주아가 발육을 합니다. 그런데 이 때에 주아를 그대로 두면 양분의 이동이 분산돼 마늘통의 성장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기 때문에 주의해야 합니다.
·마늘수확
주로 6월상순부터 6월하순까지 마늘을 수확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