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C 유럽의 위대한 수도(파리재건, 비엔나 환상도로) |
20C 제국주의(시카고, 뉴델리, 캔버라) |
이후 유럽으로 회귀(이탈리아, 베를린 재건) | ||||||||
20세기 도시미화운동은 다른 장소, 다른 문화에서 산발적으로 재등장
권위의 상징 혹은 표현, 궁극적으로 더 넓은 사회목표와 무관하게 진행
전체주의 국가 독재자들은 자신들의 수도에 과대망상적인 영광을 담으려함, 이는 1930년대에 절정을 이룸
● 미국의 근세도시와 도시계획
1. 진행과정
1) 초기정착시
유럽을 모방한 도시 : 1660년 뉴암스테르담(New Amsterdam), 1699년 윌리엄스버그(Williamsburg), 1694년 아나폴리스(Annapolis) 등
계획도시의 효시 : 1682년 윌리엄 펜(William Penn)부자에 의한 필라델피아(Philadelpia)는 2대주요가로가 도시가로의 골격을 이루는 격자형 가로망
J.Ellicot이 계획한 버팔로(Buffalo), D.베넷(D.Bennet)이 계획한 시카고(Chicago), 뉴욕(New york) 격자형 도시 등
2) 수도 워싱턴 D.C.(Washington D.C.)
피에르 랑팡(Pierre Charles L'Enfnt) : 1779년 추진, 1789년 완성
정치문화적 중심기능을 부각
가로망 : 바로크 양식(격자형에 대각선을 결합)
교차점에 공지확보 : 정부기능을 포함한 중요건물 집중 건립
신생국으로서의 위엄은 확보하였지만, 대각선으로 인한 토지이용상의 불리함이 있음
3) 기타
1807년 헐(Hull)과 우드 워드(Wood Ward)가 계획한 디트로이트(Detroit)는 육각형 채택, 단조로움은 여전
1857~1860년 F.L.옴스테드(F.L.Olmstead)의 뉴욕의 센트럴 파크계획은 미국의 모든 공원조성계획에 영향을 미침
1909년 시카고 만국박람회를 계기로 D.번햄(D.Burnham)의 주도로 도시미화운동이 전개되어 도시재개발이 활발히 시도
● 미국의 도시미화운동
1. 미국 중서부 상업도시의 미화운동
1) 시대적 상황
1890년대는 미국도시에 있어서 격렬한 내항의 시기, 인종적, 문화적 이질성 증대, 확산되는 무질서의 위협
따라서 부르주아 중 많은 이들은 도시사회조직의 보전이 당면과제라고 봄
모겐토(은행가, 사업가) : 도시는 질병, 도덕적 타락, 불만, 사회주의 등의 온상
- 도시계획가의 첫번째 목표 지지자들 : 남성, 중산층, 신문편집자, 공장경영자, 거물소매상 등의 경영자
대표적인 계획가 : 번햄(Daniel Burnham)
- 미국의 건축가로, 미국 초기의 고층 건축인 모나드노크 블록과 유리를 사용한 건축물인 릴라이언스빌딩의
공동작업에 참여, 미국 건축가협회 회장을 비롯한 건축계의 요직을 역임하고, 클리블랜드·샌프란시스코·
시카고·워싱턴 등 여러 도시계획 관여
2) 워싱턴 몰의 재건(1901)
워싱턴의 독창적 아이디어를 따른 피에르 랑팡의 1871년 계획
- 국회의사당에서 포토맥강에 이르며, 동쪽은 백악관 정면까지 뻗는 폭 400피트, 길이 1마일의 대형공원
- 미국도시들에서 실패한 상징적 사례로 간주(Hines, 1871)
1901년 컬럼비아특별구위원회 구성 : 번햄(위원장), 옴스테드2세, 맥킴(건축가), 고든(조각가) 참여
- 맥밀란 계획 : 랑팡 개념 크게 확대, 폭 2배, 공원 가르는 두 개의 주요 도로로 분할되는 몰 개념
- 1922년 링컨기념관의 개관과 함께 계획 전체 완성
캔자스, 덴버, 시에틀 등 중서부, 서부 상업도시에 영향
|
|
|
|
2. 미국의 도시계획
1) 클리브랜드(1902)
이리호수(Erie Lake) 옆에 재건된 워싱턴 계획의 판박이
1902년 번햄 위원장 임명, 다음해(1903) 계획 발표
새로운 도심에 6개의 주요 공공건축물들이 상호 연결된 공공공원 체계 안에서 위치
옆에 호수가 펼쳐지고 직각으로 넓은 몰이 놓이며, 재배치된 중앙철도역 앞쪽에 인상 깊은 공개공지 형성
2) 샌프란시스코(1905)
방사상 대로와 원형 교통광장
새로운 도심 복합체를 주상업도로인 마켓가와 벤네스로의 교차점에 위치하여 방사성 도로체계의 초점이 되게
하고, 이를 중심으로 보조방사상 도로를 간격을 두어 배치
대로들과 정형적인 건물들의 부지에 내재된 자연적 불규칙성과 각진 연접을 통해 도시의 규칙적인 격자가
기적의 형태적 균형(miraculous formal equilibrium)으로 전환
⇒ 금문공원(Golden Gate Park)으로 연결되는 연속적인 선형공원 조성
지진과 화재로 인해 계획을 실행할 수 있는 이상적 공지가 상업적 압력에 의해 기회상실
3) 시카고 계획(1909)
개념
- 시각적, 미적 조화 복구를 통해 조화로운 사회질서의 출현을 위한 물리적 필요조건 창출
- 도시질서를 위한 새로운 간선도로 건설, 슬럼 제거, 공원 확충
- 번햄(Burnham, 1909) : ‘오스만이 파리대개조와 같은 작업이 시카고에서 수행되어야 한다.’
계획의 목표
- 막강한 경제력을 가진 상인클럽을 이용하여 도시를 아름답고 매력적으로 건설
- 시카고의 발전 도모(고대 아테네의 페리클레스의 투자에 비유) : 도시자원의 유출방지, 소매업 증진, 방문자 유도
- 페리클레스(BC 495~429) : 아크로폴리스의 파르테논 신전을 비롯한 많은 건물을 축조하여 아테네를 가장 번성한 도시국가로 변모
공간 구성
- 시카고 호반인 레이크 프론트 복원 : 공원설치 및 중앙에 파크웨이 건설
- 신 시카고의 중심축 : 레이크 프론트 공원과 직각으로 놓여 있는 의회로(폭 300피트의 선형공원)
- 내륙 약 1마일 지점에서 의회로와 허버드로 교차 : 도시 중심으로부터 넓은 두 대각선 도로가 방사상으로 뻗어나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