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에 관련된 입장으로 성선설, 성악설, 성무선무악설, 성유선유악설이 있다. 성유선유악설은 성선설 로, 성무선무악설은 성악설과 비슷한 입장을 가지고 있다. 나는 성악설을 지지한다. 성악설에 대한 내 입장을 설명하기에 앞서 성선설에 대해 이야기 해보고자 한다. 성선설은 맹자의 입장으로 측은 지심, 수오지심, 사양지심, 시비지심인 사단이 본성으로 내재되어 있어 인간의 본성이 순수하게 선 하다고 본다. 추가로 칠정이 있는데 희노애구애오욕으로 가선가악의 특징을 가지고 있어 이 부분이 성유선유악의 입장의 토대가 된다. 성선설의 예로 살신성인한 한국 유학생의 이야기가 있다. 일본 유학중이던 한국 유학생이 철로에 떨어진 일본인을 구하려다 목숨을 잃은 사건이다. 한국 유학생과 그 일본인은 아는 사이도 아니었고 그 일본인에게 잘 보일 필요도 없었다. 성선설은 이러한 행동을 뒷받침해주는 입장이 된다. 하지만 내 생각은 다르다. 성선설은 모든 사람들의 본성이 선하다는 입장이다. 그렇다면 모든 사람이 한국 유학생처럼 뛰어들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인데 실제로 그렇지 못한다. 모두 실행하기 어려운 행동임을 알기에 그 행위를 높이 사고 박수쳐주는 것이 아닐까한다. 반면 성악설은 순자가 주장한 것으로 성무선무악설을 토대로 한다. 왜냐하면 성악설은 본성 자체가 악이 라는 것이 아니라 인간이 본연으로 태어나는 본성을 방치하면 악이 된다는 의미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어린아이에게 모유를 주는 엄마가 있다고 해보자. 엄마는 자신이 아플 때 아이에게 안 좋 은 영향을 줄까봐 모유를 주지 않는다. 만약 성선설이 맞다면 아이는 젖을 주지 않는 엄마에게 측 은지심을 느끼고 이해해주어야 하는데 실제로 아이들은 모유를 주지 않는다고 운다. 즉, 본성에 영 향을 주는 외부 환경이 없는 아이의 사단이 선천적으로 내재하는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한다. 순자 가 말하는 성악설은 이익을 좋아하는 본성을 말하는 것이다. 이러한 이익을 방치하면 치우치고 위 험에 빠지고 어지럽고 어그러지는 현상이 발생하는데 순자는 이것을 악으로 본다. 따라서 화성기위 를 통해 본성을 변화시켜 선한 사회를 만드는 것이 순자의 목표이다. 선한 사회를 만드는 것은 맹 자와 목적이 같다. 이처럼 나도 학교 현장에서 학생들이 자신의 본성을 변화시켜 긍정적인 사회를 만들 수 있도록 예의를 중심으로 인성 교육에 중점을 두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절도에 맞는 감정표출의 중요성을 가르치고 이익을 좋아하는 학생들의 본성을 이용하여 학습 동기를 유발하는 방법이 있다.